KCI등재
[特輯/21世紀 北韓의 選擇] 北韓의 對外政策 = North Korea's Foreign Polic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DC
34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1-202(22쪽)
제공처
본 논문은 북핵문제에 대한 일본의 안보 외교적 대응과 그에 따른 안보정책의 변화를 살피고 한국의 대응에 관하여 간략히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은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원하지만 무력충돌과 북한의 체제전환도 고려하고 있다. 북한으로부터 안보위협을 느끼는 일본은 이번 북핵문제를 잘 마무리하여 북한위협을 제거하고자 한다. 북한의 위협을 기회로 삼아 보수성향의 일본정부는 보통국가화와 군사대국화, 헌법개정과 유사법제제정. 국제공헌과 국제역할의 확대 등을 추구하고 있다 .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의 대외관계, 즉 미일동맹의 강화와 대테러전쟁의 지원 등과 연계되어 있다 .
일본의 대북정책은 대화와 압력으로 미국과 함께 압력에 무게를 싣는 경향이 있었으나 , 이라크전쟁의 후유증으로 미국의 무력공격 선택지가 약해지 자 일본도 대화 쪽으로 정책방향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일본은 만경봉호를 비롯한 북한 화물선에 대한 검색강화와 입항규제를 법제화하고 있으나 실행은 별개의 문제이다. 북한에 미사일부품을 판매한 일본 내 기업을 수사 하고, 조총련시설에 대한 면세혜택을 취소했다. 일본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자금원을 차단하는 경제제재의 목적이다. 북한이 항공편으로 이란에 수출한 미사일이 발각되어 미국의 북한과 이란에 대한 제재와 경고. 압박이 거셌지만 별다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한국은 북한과의 긴장고조를 막는 차원 에서 기본적 교류를 유지하면서 . 북한이 6 자회담에서 핵 포기와 폐기를 통해 국제적 경제협력을 얻도록 설득해야 할 것이다 한국전쟁이후 최대의 위가 이자 기회를 활용하여, 한반도에서 일어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철저한 준비를 하고, 한반도 비핵화 및 전략적 중립화 등의 복합적인 통일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핵문제는 다자체제에 의해 평화적으로 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의 억지력과 중국의 압력 등이 효과적으로 작용해야 할 것이다. 일본은 필요시 선제공격까지 언급하면서 억지력 을 보이는 동시에 북한이 모든 것을 포기하면 경제지원을 하겠다고 했다. 북 한이 포기해야 할 ‘모든 것‘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에 대해 논의가 있고 과연 북한이 모두 포기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 북한이 제시한 단계별 핵 포기를 조건으로 체제보장과 경제지원을 요구한 포괄적 타결안에 미국이 고려해 본 다는 입장을 취했고 협상이 계속될 전망이다. 협상이 진전됨에 따라 북한이 미사일과 생화학무기, 군사재배치에 이르기까지 포기할 것인지 핵 폐기와 사 찰에 신뢰성어 있을지 난제가 산적하다. 일본은 이 기회에 북한으로부터의 안보위협을 없애고 자주 국방력을 든든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중국도 북한에의 영향력을 잃지 않고 핵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구상이 있다.
북핵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는가에 따라 북한의 개혁개방, 경제성장, 남북평화체제구축 , 남북통일 등의 많은 문제가 제시될 수 있고, 한반도비핵화와 전략적 중립화 등 다양한 계획에 의한 새로운 동북아 국제질서가 형성될 수 있다 . 미국과 일본의 협력, 중국의 중재에 의해 북핵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 되고 남북한 평화정착과 함께 장기적으로 통일에 접근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 여를 위해 한국은 한미일 공조를 든든히 하고 미중일과 협력하여 정보교류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It is hardly realistic to expect a rationalistic approach to provide a correct approach to understand North Korea's foreign policy performances. Among other things, it is notable that N0l1h Korea's conduct of diplomacy during the past years has been characterized by a startling simplicity in its objectives. North Korea's foreign policy has steadfastly had its objectives confined to consolidating its solidarity with "international revolutionary forces" as a means to undermining South Korea as a step toward unification achieved on N0l1h Korea's own terms.
It was doubtful if North Korea actually had a foreign policy of its own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t the outset. As North Korea came into being in 1948 as one of the Soviet Union's "satellite states," euphemistically referred to by some scholars as a "baggage train state," its foreign policy had a role confined to taking care of its relations with a dozen Communist countries that included the Soviet Union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With the inconclusive ending of the Korean War in 1953 in a cease-fire, however, North Korea came to face a triad of challenges: 1) legitimizing of the DPRK, an illegitimate creation of its own in defiance of the United Nations (UN) mandate, 2) ridding itself of the label of an "aggressor" earned by means of its unprovoked invasion of South Korea in 1950, and 3) ceasing to be tre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one of the Soviet Union's "satellite states."
North Korea's diplomatic choice to those ends was a fiercely fought and costly diplomatic campaign, with the Soviet Union and the PRC patronizing it, to win the support of the Non-aligned countries primarily as a means to outnumber South Korea in countries with which the two Koreas respectively normalized their diplomatic relations. North Korea made it an annual event to stage a showdown of vote in the UN General Assembly over rival resolutions on Korea, only to wind up being the loser each year until 1974 when the detente-oriented UN General Assembly adopted both the rival resolutions on Korea.
North Korea's diplomatic surroundings underwent sweeping changes again from the 1970s through 1980s as the post-World War II Cold War confrontation between East and West began melting down with the dawning of a detente in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s traditional security alliance in the context of a "northern triangle" together with the Soviet Union and the PRC collapsed what with PRC's experiment of reform and opening, what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empire followed by de-Communization of the former Soviet satellites in Eastern Europe and what with the German unification. North Korea's frenetic diplomatic efforts to keep both Koreas from becoming members of the UN pending unification turned into a failure, forcing North Korea, albeit reluctantly, to join the world body separately but simultaneously with South Korea in 1991.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reafter has remained glued to a campaign to drive a wedge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as a step to a U.S. troop withdrawal from Korea and a breakup of the ROK-U.S. security alliance. Capitalizing on a "brinkmanship diplomacy" uniquely of North Korea's own brand built up around its suspected nuclear weapons program in addition to development of long-range ICBMs, North Korea has been successful in engaging the U.S. both in bilateral as well as multilateral settings. However, the North Korean diplomatic "brinkmanship" does not necessarily seem to be aimed at resolving the nuclear issue at all. North Korea has, among other things, two reasons why it cannot let its nuclear card go away. First, without the nuclear card and the resultant tension on the peninsula, North Korea will be unable to justify the kind of "social mobilization" that it continues to maintain to keep Kim long II's dictatorial regime afloat. Second, without the nuclear card, North Korea does not have hope for continued i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