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덕조(張德祚) 장편소설 『십자로(十字路)』 연구 = A Study on the (Novel) Sibjalo(Crossroads) of Jang Deog-j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5-378(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y, content, and meaning of Jang Deok-jo's novel, Sibjalo, which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academic world. I have the book and I want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Jang, Deok-jo literature.
Although female writer Jang Deok-jo(1914-2003) has left a number of works, but we do not even have a basic bibliography and data acquisition for the whole work. Notably, the bibliography, which was specifically addressed in this article, was not precisely confirmed, and has not been studied for the loss of serialized weekly magazines and the loss of Sibjalo.
Sibjalo tells us that a female character(Lee, Young-ran) who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nglish at C College loves a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Han, In-jun) and then gives up him and chooses the professor of medical school(Kim, Min-soo), but he eventually chooses a businessman and goes to the United States with him.
Sibjalo is a story in which the romance and conflict of the vested interests of men and women are in the foreground, and it is a story of escape from it and envy of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a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of Korea.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acceptance of aid and the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of Korea at that time, and her attitud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was replaced by the United States.
이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장덕조 장편소설 『十字路』(文星堂, 1953)에 대한 서지, 내용, 의미 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필자는 단행본 『십자로(十字路)』를 소장하고 있어, 장덕조 문학 연구에 기여하고자 이 연구를 통해 학계에 보고하고자 하였다. 여류작가 장덕조(1914-2003)는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학사에서는 평가가 인색할 뿐 아니라, 작품 전체에 대한 서지 파악과 자료 확보가 덜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별히 이 글에서 다룬 단행본 『십자로(十字路)』는 서지 사항이 정확하게 확정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연재 주간지 소실 및 단행본 소실로 연구가 미흡하였다.
『십자로(十字路)』는 1949년 12월 5일(?)부터 1950년 6월 26일(?) 사이에 『주간서울』에 연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한국전쟁 와중인 1953년 2월 5일 대구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십자로(十字路)』는 한국전쟁 직전인 1940년대 후반 장편소설로서 장덕조의 문학 세계를 밝히는데 의미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십자로(十字路)』는 C대학 영문과를 졸업한 여성 인물(이영란)이 정치학 교수(한인준)를 사랑하다가 포기하고 의과대학 교수(김민수)를 선택하게 되지만, 그의 방탕으로 결국 사업가(최한직)를 선택하여 그와 함께 미국으로 간다는 이야기이다.
『십자로(十字路)』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면서 기득권층 남녀 인물들의 연애와 갈등이 전경화된 이야기로서, 당대 한국 현실과의 대결 의식보다는 그것으로부터의 도피와 미국에 대한 선망의식을 나타낸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원조의 수용과 당대 한국에서의 ‘고뇌에 찬 현실’로부터의 거리두기이며, 작가의 미국에 대한 태도가 반영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