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사회안보와 위협의 안보화 과정 = Societal Security of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and Securitization Process of Threa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7-215(3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ocietal security sectors and referent object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and to analyze the securitization process of threats. This study derived from the societal security concept and the theory of securitization of the Copenhagen School.
The societal security sectors and referent object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eduction of economic activity in the economic sector. Second, it is the crisis of collective identity loss in the societal sector. Third, there ar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environmental sector.
The process of securitization of threats on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non-politicization phase (1987-1996). As it became possible to openly discuss the right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after the 1987 “Murmansk Declaration,” RAIPON as indigenous peoples’ national umbrella organization, local and ethnic groups were established one after another. Besides, some international indigenous organizations have also begun their activities in Russia.
Second, the stage of politicization (1996-2009). RAIPON gained permanent participant status upon the establishment of the Arctic Council in September 1996. Since then, the Arctic indigenous organizations have strengthened the capacity of the indigenous communities through raising societal security issue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at the level of international discourse. They established an information center and pushed for legislation to guarantee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The societal security threat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have become politicized as the Arctic indigenous organizations demand solutions to societal security threats within the existing political process, and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manage them within the existing political process.
Finally, it is the “silenced-securitization” phase (2009~present). Since early 2009, th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strengthen its influence on the Arctic indigenous communities and started putting financial and organizational pressure on them. In addition to conducting a special audit of RAIPON's activities and ordering the suspension of its activity, the government also blocked financial support for the Arctic indigenous organizations from abroad and replaced RAIPON’s representatives and staffs with pro-government personnels. As a result, the societal security threats of the Arctic indigenous peoples in Russia have failed to be determined as security issues by the audience: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general public.
이 연구의 목적은 코펜하겐 학파의 사회안보 개념과 안보화 이론에 기초하여,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사회안보 영역과 대상을 규정하고, 위협의 안보화 과정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사회안보 영역과 대상은 경제영역에서 삶의 질 하락과 경제활동 축소, 사회 영역에서 집단정체성 상실 위기, 환경영역에서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 등으로 규정할 수 있다.
러시아 북극 원주민 문제의 안보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먼저, 비정치화 단계(1987~1996년)에서 1987년 ‘무르만스크 선언’ 이후 북극 원주민의 권리를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전국 단위, 지방 및 민족 단위원주민 단체가 잇따라 창설되고, 국제 원주민 단체도 러시아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다음으로, 정치화 단계(1996~2009년)에서 1996년 9월 전국 단위 원주민 단체인RAIPON이 북극이사회의 설립과 동시에 상시 참여자 지위를 획득한 이후 북극 원주민단체는 활발한 국제활동을 통해 러시아 북극 원주민 문제를 국제적 담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정보센터 설립 및 원주민의 권리 보장을 위한 법률 제정 추진을 통해원주민 공동체의 역량을 강화했다. 북극 원주민 단체가 기존 정치과정 내에서 사회안보 위협에 대한 해결책을 요구하고, 연방 및 지방정부 역시 이를 기존 정치과정내에서 관리하게 되면서,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사회안보 위협은 정치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침묵의 안보화’ 단계(2009년~현재)에서 2009년 초부터 정부는 북극 원주민 단체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시도하고 재정적, 조직적 차원의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 RAIPON의 활동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하고 활동 중지 명령을 내렸을 뿐만아니라, 해외로부터 북극 원주민 단체에 대한 재정지원을 차단하고 RAIPON의 대표및 스텝을 친정부인사로 교체했다. 그 결과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사회안보 위협은수용자인 연방 및 지방정부와 일반 국민에 의해 안보 문제로 규정되지 못해 안보화에실패하게 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3 | 0.604 | 0.3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