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야사에 대한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전후’적 관심 -‘문화국가’ 역사가의 전후 일본 재건기- = Yasukazu Suematsu’s postwar interest in unofficial history in the Joseon period: Reconstruction of postwar Japan by a historian of the ‘cultural stat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3-132(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에서는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의 패전을 맞고 본국으로 귀환한 조선사 연구자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保和: 1904-1992)의 전후 행보를 중심으로, 포스트제국의 학술공간을 돌아보며 조선시대 야사에 관한 그의 관심이 ‘문화국가’ 일본의 재건 현장과 접속한 경위와 논리를 검토하였다.
포스트제국의 학술공간은 출발부터 제국과 강한 연속성을 띠었다. 스에마쓰가 재개한 조선사 연구는 조선학회와 가쿠슈인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선학회는 식민지 조선에서 제국 일본에 ‘충성’했던 귀환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스에마쓰를 가쿠슈인대학으로 끌어준 것도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지낸 가쿠슈인 원장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 1883-1966)였다.
1952년, 스에마쓰는 아베와 함께 세계학계로의 공헌을 표방하며 ‘문화국가’ 일본을 실현할 동양문화연구소(가쿠슈인대학)를 설립했다. 거기에는 메이지 시대 이래의 일본을 계승한 포스트제국으로서 ‘동양 연구’를 주도한다는 확신이 있었다. 스에마쓰는 연구소 1호 사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영인 간행에 착수했다. 뒤늦게 착수한 한국에서 영인 간행이 먼저 종료될 즈음, 스에마쓰는 그에 맞춰 실록을 소개하는 영어 논문 “Introduction to the Ri Dynasty Annals”(1958)를 발표했다. 그 후, 동양문화연구소에서 실록의 보급판 간행이 종료되기 1년 전에는 조선시대 야사를 개괄한 논문 「이조의 야사 총서에 대하여」(1966)를 발표했다. ‘문화국가’의 역사가 스에마쓰는 이 논문에서, 태피스트리와 같은 조선시대 야사 속의 다성성(多聲性)을 실록(정사)과 대립하는 단일한 역사(균질한 텍스트)로 환원시켰다.
그로부터 20년 가까이 지난 1984년, 80대에 접어든 스에마쓰는 ‘역사가 유성룡’에 관한 강연수기를 『조선학보』에 발표했다. 그는 강연에서 일본인이야말로 ‘징비록’을 써야 한다며, 『징비록』에 대한 종래의 자기본위적 해석과 내러티브에 대해 자성과 반성을 촉구했다. 그것은 자신을 ‘역사가 유성룡’과 겹쳐보려는 듯한 시도로도 보였다. 그의 호소는 ‘문화국가’의 역사가로 환원되지 않는 목소리, ‘야사 총서’에서 개별 야사의 단독성을 발견한 또 다른 ‘역사가 스에마쓰’의 목소리에 더 가까웠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postwar academic endeavors of Yasukazu Suematsu, a Japanese scholar of Korean history who returned to Japan from Joseon in 1945. It investigates how Suematsu’s interest in Yasa(野史unofficial history) of the Joseon period was intertwined with Japan’s reconstruction efforts as a ‘cultural state(Kulturstaat).’ In 1952, Suematsu, in collaboration with Yoshishige Abe (安倍能成: 1883-1966), established the Research Institute for Oriental Cultures at Gakushuin University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a ‘cultural state,’ asserting its significance within the academic world. This endeavor was driven by the belief that it would continue the tradition of ‘oriental studies’ established since the Meiji period. As its inaugural project, the institute, under Suematsu and Abe’s leadership, initiated the publication of a reprint of “The Joseon wangjo sillok”(朝鮮王朝實錄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Interestingly, just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sillok’s reprinting project in Korea in 1958, Suematsu authored an English paper titled “Introduction to the Ri Dynasty Annals” (1958). Subsequently, a year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sillok’s reprinting project at the Research Institute for Oriental Cultures, Suematsu published a paper in 1966 titled “On the Collection of Yasa of the Joseon period.” Notably, in this paper, Suematsu, a proponent of the ‘cultural state,’ simplified the intricate tapestry of Yasa into a singular narrative, contrasting it with the sillok(official history).
In 1984, Suematsu, who had entered his eighties, penned a lecture memoir focused on ‘historian Ryu Seong-Ryong(柳成龍)’ in the in the Journal of the Academic Association of Koreanology in Japan. At the end of the lecture, he strongly urged that it was the Japanese who should reflect and write “Jingbirok(懲毖錄).” Suematsu also seemed to be trying to overlap himself with ‘Historian Ryu Seong-Ryong.’ It seemed closer to the voice which discovered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queness of each Yas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