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감염방지의무 위반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civil law, the legal nature of the duty to prevent infection and the nature of the violation,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burden of proof of the victim, the theory of the scope of damages in the civil liability for violation of the duty to prevent infection, and the protection plan for the victims of infectious diseases were reviewed.
    In particular, in the general section, the liability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the liability under the civil law were examined together,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ivil law, the issue of reducing the victim's burden of proof and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were reviewed.
    If a victim occurs due to a violation of the duty to prevent infection, the victim can exercise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in accordance with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 administrative law, and the parties become a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or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On the other hand, the victim can directly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amages as a tort liability against the perpetrator under the Civil Act, and the parties can be divided into ordinary people and ordinary people.
    However, since th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is regarded as a tort liability system under the Civil Act, the scope of damage compensation is reviewed as tort liability under the Civil Act,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r between individuals.
    In the scope of damages under the Civil Act, Article 393 of the Korean Civil Act limits the continuous recognition of liability for damages. Currently, the scope of damages is divided into ordinary damages and special damages in the theory of the scope of damages in all fields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civil law in Kore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ictims of infectious diseases, it is judged that the scope of damages can be reasonably approached in the Special Damage Compensation section. If the victim recovers from asymptomatic conditions and damages occur later, the perpetrator can calculate the extent of the damage by applying the compensation reduction theory under Article 765 of the Civil Act applied to the offender.
    In addition, as a protection measure for infectious disease victims, the introduction of the testimony system of health and medical experts in civil litigation,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to the perpetrators of infectious diseases with malice in civil litigation, the limit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malicious perpetrators of infectious diseases in civil litigation, and the emergency treatment of doctors The provision of legitimacy under the Civil Act in the transfer of patients and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Center were suggested.

    더보기

    이 논문은 민법적 관점에서 감염방지의무의 법적 성질과 그 위반의 성질, 감염방지의무 위반의 인과관계 입증책임과 민사책임에서 손해배상 범위론, 감염병 피해자의 보호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감염방지의무의 법적 성질은 행정 규제에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감염병예방법)에서 법적 의무와 민법에서의 법률행위에서 신의칙상으로 포섭하여 사회생활상의 감염방지의무가 있다.
    감염방지의무를 위반하여 피해자가 발생하면 피해자는 행정 규제상인 감염병예방법상에서 손실보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고, 여기서 당사자는 정부 또는 질병관리청과 사인 간의 관계가 된다. 그와 반면에 피해자가 민법상 직접 가해자에게 불법행위책임으로 손해배상청구권도 행사할 수 있는데, 여기서 당사자는 사인과 사인 간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감염병예방법에서 행정 규제상인 손실보상제도는 민법상의 불법행위책임 체계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정부 또는 질병관리청과 사인 간의 관계이든, 사인과 사인 간의 관계이든 손해배상 범위는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에서 검토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민법상 손해배상 범위에서는 우리 민법 제393조에서 계속적인 손해배상 책임 인정을 제한하는 것으로써, 현재 다수설과 판례인 상당인과관계설에 의한 경험칙에 의존하는 상당성보다는 행위규범설을 보완한 상당인과관계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손해배상에 대한 민법 규정은 독일의 규정에서 계수하였기 때문에 모든 분야의 손해배상 범위론에서 통상손해와 특별손해에서 범위를 결정하고 있다. 특히 감염병 피해자 사례의 경우에 특별손해 부분에서 충분히 손해배상 범위를 합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만약 피해자가 무증상인 채로 있다가 완치되었다면, 나중에 후속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그 가해자는 경과실을 범한 자에게 적용되는 민법 규정은 765조에 의해 배상액을 감경하는 이론을 적용하여 손해배상 범위를 산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감염병 피해자의 보호방안으로 민사소송 시 보건 및 의료 전문가 증언제도 도입, 악의의 감염병 가해자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악의의 감염병 가해자의 소멸시효 기간 제한, 민법적 관점에서 의사의 응급환자 이관 시 해석론적으로 정당성 부여, 감염병관리센터 도입 및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제2장 감염방지의무의 개관 8
    • 제1절 감염방지의무의 의의와 법적 성질 8
    • Ⅰ. 감염방지의무의 의의 8
    • Ⅱ. 감염방지의무의 법적 성질 9
    • 1. 감염병예방법상의 관점 9
    • 2. 민법상의 관점 10
    • 제2절 감염병의 입법례 11
    • Ⅰ. 국내 입법례 11
    • 1. 감염병법제의 역사 11
    • 2. 감염병예방법 13
    • Ⅱ. 해외 입법례 17
    • 1. 독일 17
    • 2. 일본 20
    • 3. 미국 22
    • 제3절 감염방지의무 위반의 효과 25
    • Ⅰ. 감염방지의무 위반의 효과 25
    • 1. 감염병예방법상의 효과 25
    • 2. 민법상의 효과 27
    • Ⅱ. 민법상에서 불법행위 포섭 31
    • 1. 불법행위 책임으로 포섭 31
    • 2. 공동 불법행위 책임으로 포섭 32
    • 제4절 감염방지의무로서 강제조치 34
    • Ⅰ. 감염병 피해자 개인정보의 보호와 공개 34
    • 1. 감염병 피해자의 개인정보보호 34
    • 2. 감염병 피해자의 개인정보보호 침해 여부 검토 36
    • Ⅱ. 감염병 피해자 직업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 38
    • 1. 직업의 자유의 의의 38
    • 2. 직업의 자유를 제한하는 사항 40
    • 3.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 검토 41
    • Ⅲ. 감염병 피해자에 대한 강제격리조치 42
    • 1. 강제격리조치의 의의 42
    • 2. 강제격리조치의 요건 44
    • 3. 합법적인 강제격리조치의 타당성 검토 45
    • 제3장 민사법적 책임 범위와 내용 47
    • 제1절 감염방지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 47
    • Ⅰ. 감염방지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 47
    • 1. 감염방지의무 위반에 대한 형사책임 47
    • 2. 감염방지의무 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51
    • Ⅱ. 감염병 피해자의 특수성 57
    • 1. 피해자의 증명책임 부담 57
    • 2. 피해자의 개인정보 공개 타당성 논란 60
    • 3. 불특정 다수 가해자와 피해자의 복잡성 60
    • 4. 피해자 손해배상 범위의 확립 필요 62
    • 제2절 감염병에서 인과관계 입증책임 62
    • Ⅰ. 감염병 소송에서 입증책임 63
    • 1. 감염병에서 입증책임 분배 이론 63
    • 2. 입증책임 방해 시 보호론 69
    • Ⅱ. 감염병에서 인과관계 입증 시 문제점과 개선방안 70
    • 1. 감염병 발생 시점에서 특수성 70
    • 2. 소송상에서 입증책임 감경의 필요성 71
    • 3. 입증책임 감경으로 증언 제도 도입 72
    • 제3절 민사법적 손해배상 범위와 소멸시효 75
    • Ⅰ. 손해배상 범위에서 보호 법익 75
    • 1. 감염방지의무 위반자의 신체적 침해 75
    • 2. 감염방지의무 위반자의 정신적 침해 78
    • Ⅱ. 손해배상 범위 산정론 78
    • 1. 통상적인 감염방지의무 위반자 79
    • 2. 예외적인 감염방지의무 경과실 위반자 80
    • Ⅲ. 감염병에 대한 민사책임에서 소멸시효 81
    • 1. 감염병에 대한 소송에서 소멸시효 기산점의 중요성 81
    • 2. 감염병 잠복기간을 고려한 소멸시효 기산점 83
    • 제4장 감염병 피해자 구제강화 87
    • 제1절 감염병예방법상 보호방안 87
    • Ⅰ. 가해자의 인과관계 범위 설정 87
    • 1. 인격적 법익침해 관점 87
    • 2. 재산적 법익침해 관점 90
    • Ⅱ.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 91
    • 1.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필요성 91
    • 2.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방법 93
    • Ⅲ. 감염병관리센터 확대 및 활성화 95
    • 제2절 의료법상 보호방안 96
    • Ⅰ. 행정처분 권한 96
    • Ⅱ. 관할 보건소장 보고 체계 98
    • Ⅲ. 의료인의 감염병 진단 능력 99
    • 1. 의료행위의 범위 99
    • 2. 의사와 치과의사의 의료행위 구분 100
    • 3. 의사와 한의사의 의료행위 구분 102
    • 4. 치과의사와 한의사의 감염병 진단 능력 검토 104
    • 제3절 민법상 보호방안 105
    • Ⅰ. 민사소송에서 보건 및 의료전문가 증언 제도 도입 105
    • 1. 보건 및 의료전문가 도입의 필요성 105
    • 2. 보건 및 의료전문가 도입에서 추진방안 107
    • Ⅱ. 감염병 사태에서 응급환자 이관의 정당성 부여 108
    • 1. 의료계약상의 관점에서 응급환자 108
    • 2. 의료기관에서 응급환자 이관의 정당성 111
    • Ⅲ. 악의의 가해자에게 소멸시효 기간 제한 115
    • 1. 감염병의 특수성에 의한 소멸시효 기산점 115
    • 2. 소멸시효 기산점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 117
    • 제5장 결 론 118
    • 참 고 문 헌 123
    • ABSTRACT 141
    더보기
    • 1 김준호, "계약법", 법문사, 2011
    • 2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02
    • 3 김상용, "물권법", 법문사, 2003
    • 4 김준호, "채권법", 법문사, 2013
    • 5 김상용, "과실상계", 고시계, 1990
    • 6 김용한, "물권법론", 박영사, 1996
    • 7 김민중, "의료계약", 사법행정 제32권 제1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91
    • 8 김상용, "의료계약", 아세아여성법학 제2권,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1999
    • 9 김천수, "진료계약", 민사법학 제15권, 한국민사법학회, 1997
    • 10 김형배, "채권각론", 박영사, 2001
    • 11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11
    • 12 양창수, "독일민법전", 박영사, 2015
    • 13 주호노, "의사법총론", 법문사, 2012
    • 14 오서락, "입증책임론", 박영사, 1996
    • 15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03
    • 16 김병일, "의료계약법론", 한국학술정보, 2006
    • 17 Wagner, "Trans-Science in Torts", 96 YALE L. J . 428 , 433, 1986
    • 18 오명돈, "감염병의 병인론", 병원약사회 제15권 제3호, 한국병원약사 회, 1998
    • 19 김준명, "병원감염의 이해", 월간의약정보, 2004
    • 20 석희태, "의사의 설명의무", 고시연구 제25호 제5권, 고시연구사, 1998
    • 21 박영규, "통상손해의 범위", 서울법학 제19권 제3호, 서울시립대 법학연 구소, 2012
    • 22 김홍엽, "민사소송법(제4판)", 박영사, 2013
    • 23 Karl Larenz, "Lehrbuch des Schuldrechts", 14 . Aufl, 1987
    • 24 전광백, "의료과오 주의의무", 비교사법 제12권 제3호, 한국비교사법학 회, 2005
    • 25 이부하, "환자의 의료정보권", 한양법학 제17권, 한양법학회, 2005
    • 26 Karl-Otto Bergmann, "「Gesamtes Medizinrecht」", 2012
    • 27 신국미, "계약상의 이행청구권", 안암법학 제30호, 안암법학회, 2019
    • 28 최상희, "의료과오의 민사책임", 법학연구 제20권 제1호, 충남대 법학연 구소, 2009
    • 29 류승훈, "과실상계에 관한 연구", 외법논집 제8권, 한국외국어대 법학연 구소, 2000
    • 30 김용한, "의료행위에 의한 책임", 법조 제32권 제6호, 1983
    • 31 Eggen, "「Toxic Torts ina Nutshell」", 2005
    • 32 황태윤, "등기청구권에 대한 소고", 이화논집 제22권 제2호, 이화여대 법 학연구소, 2017
    • 33 곽동헌, "부동산등기에 관한 고찰", 논문집 제2권 제1호, 안동교대, 1969
    • 34 임건면, "소멸시효 기간과 기산점", 민사법학 제47권, 한국민사법학회, 2009
    • 35 이영규, "의료계약의 특질과 구조", 법학논총 제12권, 한양대 법학연구소, 1995
    • 36 정도희, "환자의 의료상 비밀 보호", 가천법학 제4권 제1호, 가천대 법학 연구소, 2011
    • 37 김천수, "감염방지의무와 민사책임", 법조 제69조 제5호, 법조협회, 2020
    • 38 윤석찬, "독일민법의 소멸시효제도", 법학연구 제62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234-235면, 2021
    • 39 박동진, "과실상계에서 과실의 의미", 연세법학연구 제7권 제1호, 연세법 학회, 2000
    • 40 김준명, "병원감염의 국내 발생현황", 대한내과학회 제57권 제4호, 대한 내과학회, 1999
    • 41 김두형, "세법상 납세자의 협력의무", 조세법연구 제8권 제2호, 한국세법 학회, 2002
    • 42 송오식, "의료과오의 계약법적 구성", 법학연구 제48권 제1호, 부산대 법 학연구소, 2007
    • 43 위계찬, "독일 손해배상법상 입증책임",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충남대 법학연구소, 2008
    • 44 장병주, "반사회질서 법률행위의 효력", 동아법학 제47호, 동아대 법학연 구소, 2010
    • 45 박수곤, "의료계약의 민법편입과 과제", 민사법학 제60권, 한국민사법학 회, 2012
    • 46 김성준, "DNA정보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9권 제 4호, 한독사회과학회, 2009
    • 47 박희호, "계약상 협력의무에 관한 연구", 외법논집 제33권 제3호, 한국외 대 법학연구소, 2009
    • 48 이창상, "과실상계의 법리에 관한 고찰", 경성법학 제8권, 경성대 법학연 구소, 1999
    • 49 이재하,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연구", 청주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50 정혜옥, "행정상 즉시강제에 관한 연구", 법학논고 제40호, 경북대 법학 연구원, 2012
    • 51 송오식, "소비자계약에서 정보제공의무", 법학논총 제29권 제1호, 전담대 법학연구소, 2009
    • 52 김민중, "醫療紛爭判例의 動向과 問題點", 대한의료법학회지 제1권 제1 호, 대한의료법학회, 2000
    • 53 백경희, "의료사고 민사책임과 소멸시효",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0권 제1 호, 한국의료법학회, 2012
    • 54 장석천, "의료정보보호와 민사법적 문제", 법학연구 제28권, 한국법학회, 2007
    • 55 손영수, "진료기록과 환자의 프라이버시",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제51권 제2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 56 박동진, "피해자측 과실이론과 과실상계", 비교법학 제17권 제3호, 한국 비교사법학회, 2010
    • 57 추무진, "국민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제안",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 구소 정책자료집,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7, 2017
    • 58 이정환, "의료과오에 있어서의 인과관계론", 의생명과학과법 제11권, 원 광대 법학연구소, 2014
    • 59 김선중, "최신실무 의료과오소송법 신정판", 박영사, 2008
    • 60 정진명, "계약당사자의 신뢰와 해지의 자유", 민사법학 제76호, 한국민사 법학회, 2016
    • 61 임윤수, 최현숙,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입법적 분석", 법률실무연구 제2 권 제1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4
    • 62 김기영, "영국의 의료과실책임에 관한 고찰", 국제법무 제7권 제1호, 제 주대법과정책연구소, 2015
    • 63 장재현, "의료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법리", 논문집 제22권, 동국대학교, 1983
    • 64 김영두, "이행청구권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연세법학연구 제9권 제2호, 연세법학연구, 2003
    • 65 이호행, "정보제공의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려법학 제72호, 고려대 법학연구소, 2014
    • 66 최행식, "환자의 협력의무 위반과 과실상계", 의생명과학과 법 제10권, 원광대 법학연구소, 2013
    • 67 이상돈, "환자측의 진료거부와 의사의 의무", 대한법의학회지 제22권 제2 호, 대한법의학회, 1998
    • 68 노종천, "EU계약법상 건설도급인의 협력의무", 외법논집 제43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 법학연구소, 2019
    • 69 정선주, "법률요건분류설과 증명책임의 전환", 민사소송 제11권 제2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7
    • 70 김상겸, 문재태, "개인정보보호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제도와 경제 제5 권 제2호, 한국제도경제학회, 2011
    • 71 문재태, "개인정보보호권의 실현에 관한 연구", 비교법연구 제12권 제2 호,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2012
    • 72 김한나, 이얼,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전망과 과제", 대한의사협회 의료 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7
    • 73 이재석, "과실상계의 성립요건에 관한 일고찰", 민사법연구 제14권 제2 호, 대한민사법학회, 2006
    • 74 이재우, "불법행위법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75 이연갑, "역학연구결과에 의한 인과관계 증명", 법조 제61권 제7호, 법조 협회, 2012
    • 76 이은옥, 장재옥, "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법학논문집 제39 권 제3호, 중앙대 법학연구원, 2015
    • 77 김원규, "고지의무의 수동화 논의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 제44권, 한국 법학회, 2011
    • 78 송혜정, "과학적 증거에 대한 법원의 판단기준", 재판자료: 형사법 실무 연구 123집, 2012
    • 79 위계찬, "독일민법상 인과관계 및 손해의 귀속", 재산법연구 제31권 제2 호, 한국재산법학회, 2014
    • 80 김형수, "약화사고의 민사적 책임에 관한 연구", 논문집 제26권 제1호, 제주대학교, 1988
    • 81 박동매, "침권책임법에 따른 의료과실민사책임", 성균관법학 제24권 제1 호, 성균관대 법학연구소, 2012
    • 82 김남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 복지 제373권, 한 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 83 윤진아, "독일의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법제 고찰", 법과 정책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법정책학회, 2018
    • 84 박종렬, 최환석,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인과관계의 연구", 한국콘텐츠논 문지 제6권 제4호, 한국콘텐츠학회, 2006
    • 85 강달천, "유비쿼터스 시대의 개인 정보보호법제", 중앙법학회 제6권 제2 호, 중앙법학, 2004
    • 86 범경철,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의료법학 제4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3
    • 87 최원준,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범위", 법학연구 제15권 제1 호, 경상대 법학연구소, 2007
    • 88 주창범, 진상명, "감염병 관련 보건행정과 개선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동국대 사회과학연구원, 2017
    • 89 박정일,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 대한의료법학회지 제 16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 90 이승현, "부당이득의 보충성에 대한 서론적 고찰", 성균관법학 제29권 제1호, 성균관대 법학연구소, 2017
    • 91 신은주,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론의 전개와 발전", 의료법학 제9권 제1 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 92 조민석,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법률실무연구 제4권 제2호, 한국법률실무학회, 2016
    • 93 류화신, "의사의 전문가책임-진료과오를 중심으로", 민사법연구 제15권 제2호, 대한민사법학회, 2007
    • 94 박득배, "채무불이행에서 정신적 손해배상의 청구", 법학논총 제33권, 숭 실대 법학연구소, 2015
    • 95 백경희, "환자의 진료협력의무와 의사의 의료과실", 의료법학 제13권 제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2
    • 96 박종렬, "불법행위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6
    • 97 선종수,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개념과 그 판단기준", 의생명과학과 법 제 17권, 원광대 법학연구소, 2017
    • 98 현두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성과와 과제", 대한의료법학회지 제14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 99 손연우, "의사의 설명의무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 제26권 제 2호, 한양법학회, 2015
    • 100 한태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연세대대학원 법학 과, 박사학위 논문, 2015
    • 101 박미정,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언론과 법 제15권 제3호, 한국언론법학회, 2016
    • 102 김민중, "의료과오책임에서 확장된 과실상계의 법리", 동북아법연구 제5 권 제3호, 전북대 동북아연구소, 2012
    • 103 고형석, "의료분쟁조정절차의 개시요건에 관한 연구", 의생명과학과 법 제19권, 원광대 법학연구소, 2018
    • 104 배병일, "취득시효에 있어서 시효완성자와 원소유자", 민사법학 제49권 제1호, 한국민사법학회, 2010
    • 105 박정기, "반사회질서 법률행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토지법학 제16호, 한국토지법학회, 2000
    • 106 하윤수, "원인경합에 있어서의 책임분할에 관한 연구", 동아대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1993
    • 107 김성욱, "일본의 소멸시효제도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법학연구 제48 권, 한국법학회, 2012
    • 108 최윤효,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계명대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8
    • 109 이준복,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의 함의와 시사점", 정보법학 제15권 제3호, 한국정보법학회, 2011
    • 110 경익수, "해상보험에 있어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해법학회지 제37권 제2호, 한국해법학회, 2015
    • 111 김민중, "醫療行爲에서의 法律問題와 醫師의 責任(上)", 법조 제40권 제3 호, 법조협회, 1993
    • 112 최행식, "성형수술의 법적 성질과 책임에 관하 한고찰", 한국의료법학회 지 제20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2
    • 113 명순구, 박덕봉, "현대 의료기기의 사용과 한의사의 면허 범위", 고려법 학 제83호, 고려대 법학연구원, 2016
    • 114 김기영, "건설도급계약에 있어서 양당사자의 협력의무", 법학연구 제16권 제2호, 인하대 법학연구소, 2013
    • 115 조민석, "계약에 의한 부동산매매(소유권 이전)의 법리", 한국지적정보학 회지 제12권 제2호,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 116 남준의, "의료과오소송에서 요구되는 의사의 주의의무", JEONBUK LAW JOURNAL 제1권 제1호, 전북대법학전문대학원 학술지 편집위원회, 2010
    • 117 박동진,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의 범위결정구조", 연세법학연구 제 8권 제1호, 연세법학회, 2001
    • 118 윤석찬, "病院感染損害에 대한 責任問題와 그 對策方案", 비교사법 제15 권 제3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8
    • 119 김상겸,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 총 제15권 제2호, 한독사회과학회, 2005
    • 120 최재천, "의사의 의료행위에 있어서의 주의의무의 기준", 판례월보 323 호, 판례월보사, 1997
    • 121 이상돈, "진료거부와 응급의료거부-이론 정책 도그마틱", 법학논집 제33 권, 고려대 법학연구원, 1997
    • 122 이은정, "반인권 국가범죄에 관한 소멸시효 기산점 연구", 서울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123 신은주, "의료법인의 영리자법인 설립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의료법학 회지 제22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4
    • 124 백경희, "의료사고 민사책임의 성립과 범위에 관한 연구", 고려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125 김한나, "한의사의 의과의료기기 사용 규제에 관한 검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8
    • 126 김동겸, 오승연, "의료보험 재정누수 방지를 위한 공,사 협력 필요", KIRI Weekly 제357권, 보험연구원, 2015
    • 127 신은주,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한국의료법 학회지 제20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2
    • 128 이은영, "이른바 판례상 책임제한에서 고려되는 주요 요인", 비교사법 제 22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5
    • 129 이재경, "환자의 권리보호와 의료계약의 입법에 관한 검토", 법학연구 제 53권, 한국법학회, 2014
    • 130 이창형, "유독물질 노출로 인한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소고", 사법 제1권 제43호, 사법발 전재단, 2018
    • 131 민국현,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한국의료법 학회지 제26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8
    • 132 김기영, "교통사고와 의료과오 경합의 경우 인과관계의 귀속", 경희법학 제48권 제3호, 경희법학연구소, 2013
    • 133 김상찬, 이충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 제35권, 한국법학회, 2009
    • 134 최진수, "기왕증 등 피해자의 소인에 따른 책임제한에 관하여", 실무논 단, 서울지방법원, 1998
    • 135 이한주, "의료영역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의료 법학회지 제20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2
    • 136 김은일, "직업의 자유를 제한하는 감염병에 대한 헌법적 해석", 한국의료 법학회지 제27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9
    • 137 정태종,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개선방안", 법학 연구 제79권, 한국법학회, 2020
    • 138 김상훈, "성년후견제도의 도입과 민사소송법상의 소송능력 등", 강원법학 제41권 제1호, 강원대 비교법학연구소, 2014
    • 139 김대규, 송명, "연구논문 점유취득시효완성의 효과, 법학연구 제50권", 한 국법학회, 2013
    • 140 김세준,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법학연 구 제53권, 한국법학회, 2014
    • 141 김상영,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인과관계 과실의 입증책임", 법학연구 제37권 제1호, 부산대 법학연구소, 1996
    • 142 이용식, "상당인과관계설의 이론적 의미와 한계-상당성의 본질", 서울대 학교법학 제44권 제3호, 서울대 법학연구소, 2003
    • 143 최민수, "의료행위에 있어 환자의 진료거부와 의사의 설명의무", 한국의 료법학회지 제21권 제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3
    • 144 이경환, "감염병 관련 법적분쟁과 규제에 관한 합리적 해결방안", 의료정 책포럼 제13권 제3호,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5
    • 145 전 훈, "질병에 의한 재난과 공법적 대응, 토지공법연구 제79권", 한국 토지공법학회, 2017
    • 146 박희호, "책임법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구체적 척도에 관한 연구", 동아법 학 제56호, 동아대 법학연구소, 2012
    • 147 백경희, "환자의 소인으로 인한 의료인의 책임 제한에 관한 소고", 강원 법학 제49권, 강원대 비교법학연구소, 2016
    • 148 김주석, "보험계약 체결 전 정보제공의무와 우리의 보험영업실무", 고려 법학 제81권, 고려대 법학연구원, 2016
    • 149 민국현,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 한국 의료법학회지 제26권 제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8
    • 150 김성룡, 백자민, "의료계약과 치료중단에 있어서의 의사의 보증인적 지 위", 법학논고 제29권, 경북대 법학연구소, 2008
    • 151 백경희, 장연화,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 고",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3권 제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5
    • 152 정효성,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고 려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153 정진경, "실무연구(實務硏究)-전문심리위원을 활용한 의료사건재판", 법 조협회 제59권 제10호, 법조, 2010
    • 154 박영호, "醫療過失訴訟에 있어서 過失과 因果關係의 立證과 그 方法", 한 국법학원 제77호, 저스티스, 2004
    • 155 김민중, "의료계약의 당사자로서의 환자와 관련한 문제에 대한 검토", 대 한의료법학회지 제10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9
    • 156 최명구,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와 소유의 의사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토지법학회 제25권 제2호, 토지법학, 2009
    • 157 이덕환, "미국법상 의사무능력환자의 생명유지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 비교사법 제10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3
    • 158 강성수, "전문가 감정 및 전문심리위원 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6
    • 159 성승현, "채무불이행법 개정안의 '불완전이행' 개념 도입에 대한 단상", 법학논총 제21권 제3호, 조선대 법학연구원, 2014
    • 160 백승흠, "의료행위의 동의능력과 대낙의 범위-독일 일본법과 비교하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2권 제4호, 한독사회과학회, 2012
    • 161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법학 제38호, 동아대 법학연구소, 2006
    • 162 Michael Dore, "A Commentary on the Us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in Demonstrating Cause-in-Fact", 7 HARV . ENVTL . L.REV . 429 , 431, 1983
    • 163 이동필,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대한의료법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 164 김재완, "반도체산업 노동자의 암 발병과 직업병 인정을 위한 법적 방 안", 민주법학 제44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0
    • 165 김지영, "병원내 감염 대응을 위한 공법적 고찰-프랑스 사례를 중심으 로", 법과 정책연구 제18권 제3호, 한국법정책학회, 2018
    • 166 김상원,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 있어서 과실상계의 산정기 준", 재판자료 5집, 대법원 법원행정처, 1980
    • 167 이천현, "실효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형사정책 대응방안 연 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 168 유정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허위 부당청구에 관한 형사법적 연 구", 고려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169 김영미, "병원감염관리의 구체적 업무전략 제시-일 종합병원을 중심으 로", 연세대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170 김원규, "상법상 정보제공의무의 개선을 통한 보험계약자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74권, 한국법학회, 2018
    • 171 김민규, "우리나라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책임에 관한 판례법리의 검토", 법학논총 제21권 제3호, 조선대 법학연구원, 2014
    • 172 김동련, 유성희, "소멸시효 기간에 관한 민법 개정안-논의 일본 민법 개 정안과의 비교", 입법정책 제9권 제1호, 한국입법정책학회, 2015
    • 173 최정훈, "감염병으로 본 북한 보건의료체계의 실태연구, 고려대대학원 북한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9
    • 174 Jacob, "Of Causation in Science and Law : Consequences of the Erosion of Safeguards , 40 BUS . LAW 1229", 1232, 1985
    • 175 김기영, 신현호,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인권과 정의 제467호, 대한변호사협회, 2017
    • 176 표명환,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약국판결과 우리 헌법상의 직업의 자유 의 해석론", 한국헌법학회 제15권 제1호, 헌법학연구, 2009
    • 177 김용빈,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입증책임 완화에 따른 의료과실의 의미와 판단기준", 대한의료법학회지 제9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 178 송덕수, "時效및 除斥期間관련 개정논의 예상 主要論點과 立法 例, 민사법학 제46권", 한국민사법학회, 2009
    • 179 박영규, "私法上의 權利行使期間: 消滅時效期間과 除斥期間을 둘러싼 몇가지 爭點들", 한국민사법학회 제18권, 민사법학, 2000
    • 180 이승현, "미국의 법 영역에서 문제되는 인과관계와 역학적 인과관계의 관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제21권 제3호, 인하대 법학연구소, 2018
    • 181 전병주, "신종 감염병 전염과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메르스 판결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11권 제3호, 사단법인 아시 아문화학술원, 2020
    • 182 백경희,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판단과 입증책임에 관한 판 례의 최근 경향", 의료법학 제8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7
    • 183 김일룡,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판례상 책임제한 사유의 법적 근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의생명과학과 법 제15권, 원광대 법학연구 소, 2016
    • 184 김덕기, "업무상 질병으로 인한 사용자의 민사책임-안전배려의무와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동국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185 정문식, "감염병의 대유행에 있어서 의약품 부족 시 의약품 제공기준에 관한 헌법적 정당성", 대한의료법학회지 제13권 제1호, 대한의료 법학회, 2012
    • 186 유현정,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6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 187 이부하, "헌법상 직업의 자유에 관한 연구-직업선택의 자유와 자격제도 와의 관계를 고찰하며", 한국법학원 제173호, 저스티스, 2019
    • 188 김세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한국과 일본의 민 법개정안을 중심으로", 재산법연구 제30권 제1호, 한국재산법학 회, 2013
    • 189 신은주,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조정제도 및 향후전망",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제1호, 한국의 료법학회, 2011
    • 190 김태수, "의료인 등에 대한 폭행 등에 대한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 안-의료인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46권, 숭실대 법학연구소, 2020
    • 191 성대규, "상당인과관계설의 본래적 의미 한계와 중요조건설-업무상 재해 ‘의 사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22권 제3호, 인하대 법학연구 소, 2019
    • 192 박지용, "산부인과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판례상 책임제한 법리–하급 심판례의 분석을 중점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5권 제2호, 서 울대 법학연구소, 2014
    • 193 김태관, "건설도급계약에서 도급인의 협력의무에 관한 소고-책무와 채무 의 구별 기준에 관한 입론", 홍익법학 제17권 제4호, 홍익대 법 학연구소, 2016
    • 194 김천수, "사고의 경합과 의료과오책임-의료사고와 기타사고의 경합으로 인한 손해의 귀속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지 제5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4
    • 195 권종칠, "입증책임분배에 있어서 법률요건분류설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적극적 채권침해를 중심으로", 연세대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196 김기영, "병원의 환자보호의무와 한계-협의의 의료책임 이외의 병원책임 의 책임 확대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0권 제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2
    • 197 허 용,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감염전파에 대한 환경보건학적 단상,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6권 제1호", 한국환경보건학회, 2020
    • 198 박원규, "감염병예방법상 이동제한조치에 대한 법적 검토-코로나19 관 련 독일의 법적상황 및 논의를 중심으로", 경찰법연구 제18권 제2호, 한국경찰법학회, 2020
    • 199 김천수, "기왕증을 포함한 피해자의 신체적 소인 및 진단과오가 불법행위 책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법학 제16권 제3호", 성균관대 비교법 연구소, 2004
    • 200 이준복, "코로나바이러스(COVID-19)팬데믹 사태의 합리적 대응을 위한 법적 고찰-감염병 환자의 정보 활용 범위에 대한 제언", 강원법 학 제61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 201 문현철,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감염병 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대응규정을 중심으로", 인문사 회 21 제11권 제1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 202 백경희, 이인재, "의료과실책임과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서의 인과관계 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 및 증명책임 경감 논의에 대한 검 토", 경희법학 제47호 제3권, 경희대 법학연구소, 2012
    • 203 김천수, "중동호흡기증후군 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 법론-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 항을 중심으로", 대한의료법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 회, 2015, 2015
    • 204 박종원, "환경오염피해 배상 및 구제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따른 행정적 구 제제도를 중심으로", 법과 정책연구 제15권 제4호, 한국법정책 학회,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