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행정에 있어서 항고소송 제기요건으로서의 처분성 인정기준 : 대법원 1989. 6. 15. 선고 88누6436 판결 및 대법원 2006. 4. 20. 선고 2002두1878 판결을 중심으로 = Qualifying Conditions for Disposition of Tax Administration subject to Appellate Litigation
저자
임수경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0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13(25쪽)
제공처
소장기관
현행 행정소송법은 그 대상에 관하여 개괄주의를 채택하여, 행정법원이 기본적으로 모든 행정법상의 분쟁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국민들은 행정청의 모든 위법한 공법작용을 행정법원에서 다툴 수 있다. 그런데 구체적인 사안에 있어 행정소송 제기요건으로서의 처분개념의 해석은 간단치 않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처분등’의 개념범주가 강학상 행정행위개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먼저 살펴보았다.
그러한 행정소송법상 처분성의 의미와 범위에 관한 법리를 조세행정처분에 관한 논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이다. 조세행정처분도 행정소송법상 처분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면, 납세의무자가 특정 조세행정처분에 불복하여 그 취소를 구하는 항고소송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적격으로서의 처분성이 인정되어야 하는바, 구체적인 사안에 나타난 법리의 검토를 통하여 대법원이 채택한 항고소송 제기요건으로서의 처분성 인정 기준을 확인하고 그러한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상판결 1은 국세환급거부결정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기존의 서로 상충되던 판결들을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통일시키면서 그 처분성을 부인한 것이고, 대상판결 2는 소득금액변동통지의 처분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종래의 대법원판례에 대한 여러 비판적 견해들을 수용하여 기존의 판례를 변경하면서 그 처분성을 인정한 것이다.
대상판결 1과 관련하여서는 먼저 국세환급청구권의 성립 및 확정시기와 그 법적성질을 과세처분의 공정력과 납세의무자의 권리 구제 방안 등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하면서 과세관청의 국세환급거부결정의 처분성에 관한 해석의 방향을 확인한 후, 이에 비추어 판결에 나타난 환급거부 결정의 처분성 인정 기준의 타당성을 살펴본다. 대상판결 2와 관련하여서는 우선 소득처분제도와 소득금액변동통지절차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소득처분에 의한 의제소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소득금액변동통지가 원천징수의무자인 법인의 납세의무에 현실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판단함으로써 판결에 나타난 소득금액변동통지의 처분성 인정 기준의 타당성을 고민해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decisions found in following two Subject Cases about tax administration.
The major issue of the Subject Case I is whether a tax authorities' rejection against the tax payer's application for a national tax refund decision under Articles 51 (1) and 52 of Act on National Taxes is a disposition. The Subject Case I is significant in that the Supreme Court's full bench interpreted and synthesized the conflicting precedent decisions to reach the unified conclusion. The Supreme Court's full bench decided that this rejection can not be seen as being subject to appellate litigation, because it does not qualified as a disposition which concretely and directly affects existence or scope of the taxpayer's right to refund.
The Subject Case II is also the Supreme Court's full bench decision, which reversed the judgment of its precedent and approved 'the notice of underreported income' a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principle, the withholding tax obligation arises from meeting the statutory conditions providing taxable events likewise any other withholding tax obligation. It means that the withholding tax obligation becomes fixed without any follow-up measures. The notice of underreported income, however, is unique in that its delivery date is expressly stipulated as the fictitious payment date in the Act(Article 131 (2) of Income Tax Act). Therefore, whether the notice has an direct influence on the taxpayer's obligation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scholars for many years.
Based mainly on the major scholary theoratical view about the system of appellate litigation in tax administration, the paper firstly examined the background concepts in tax administration, then identified the qualifying conditions for disposition of tax administration, and eventually discussed whether the conclusions of the two Subject cases are acceptab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