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新羅中古期 邏頭ㆍ道使의 城ㆍ村支配와 6部人의 地方民 認識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47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신라 중고기 지방통치의 특성은 城ㆍ行政村 단위의 지방관 파견과 在地勢力에 대한 존중으로 집약된다. 성ㆍ행정촌 단위에 파견된 최말단 지방관은 道使와 邏頭였다. 신라의 道使制는 특히 백제의 제3단계 지방관제였던 도사제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도사는 냉수리비의 耽須道使의 존재를 통해서 503년 이전부터, 최소한 慈悲王대 이후에는 파견되었다. 지금까지 확인되는 10명의 도사는 왕교집행ㆍ조세수취ㆍ역역동원 등의 民政 분야와 성촌방어ㆍ군사력징발 등 軍政 분야까지도 그 임무를 수행하였다.<br/>
반면 나두는 주로 축성공사와 변경지역의 수비 임무를 맡았고, 모든 성ㆍ행정촌에 파견되지는 않았다. 오로지 6세기 신라금석문에서 3인 만이 등장하는 나두는 광개토왕비문의 ‘安羅人戌兵’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邏頭制는 庚子年 戰役이 있었던 400년 이후의 어느 시기에 지방관제로써 정립했다. 도사가 보다 행정적인 측면에서 郡의 장관인 幢主를 보좌했다면 나두는 보다 군사적인 측면에서 당주를 보좌함으로써 양자가 상호보완적으로 활약하였다.<br/>
도사와 나두를 포함한 왕경의 지배층은 지방의 촌주와 재지세력을 최대한 존중해 주었다. 그들은 『周禮』의 작제 규정을 원용하여 眞村主를 군상촌주ㆍ군중촌주ㆍ군하촌주로 서열화하였다. 한편 재지세력에게는 使人ㆍ裨將ㆍ軍師 직책을 부여해 줌으로써 삼국 각축기에 대외전쟁의 활력소를 제공받았다. 또한 왕경 지배층은 고구려에서 복속해온 재지세력에게는 公兄ㆍ衆公ㆍ外客 등으로 존칭해 주었다. 반면 울진봉평비를 통해서 볼 때, 새로이 복속한 지방민이나 반란민에 대해서는 奴人으로 호칭하면서 種種奴人法의 통제를 받게 하였다. 이렇듯 왕경인들의 지방민에 대한 존중책과 통제책은 신라고유의 지방제도가 한층 세련되게 정비되고 정복전쟁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신라 중고기의 역사적 특수성에서 기인했던 것이다.
The character of the local rule in the Middle Period of Sylla dynasty could be condensed on the detachment into the Seong(城)ㆍHaengjeongchon(行政村) unit of local officials and the respect for the local power. The lowest local officials that were dispatched to the SeongㆍHaengjeongchon unit were Dosa (道使) and Nadu(邏頭). Dosa system(道使制) of Sylla was influenced on the Dosa system of Baekje that was recognized on the third grade at the local official institution. Through the existence of Tamsu Dosa(耽須道使), this Dosa was dispatched, before A.D. 503, after the reign of king Javi(慈悲王) at least. Dosa who was confirmed up to 10 person so far, carried out his duties on the civil administration sphere of tenets execution, tax collection, labor mobilization etc. One step more advanced, Dosa performed his duties on the military administration sphere of the defense of SeongㆍChon and military strength requisition.<br/>
On the other hand, Nadu took charge of his duties on the fortification construction and the guard of the border mainly. He could not be dispatched to every SeongㆍHaengjeongchon unit. Nadu who appeared on the Sylla epigraph of the 6th century entirely was confirmed up to 3 person and was assumed that his origin was based on a sentence, Anlainsulbyung(安羅人戌兵) within the inscription of king Gwanggaeto(廣開土王). This Nadu system was established as a local official institution at what time after A.D. 400 when occured a war in the year of kyungja(庚子年). Even more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Dosa acted as a adviser to Dangju(幢主) who was the governor of Gun (郡). In contrast to Dosa, Nadu assisted Dangju even more in the military aspect. So both Dosa and Nadu acted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br/>
The ruling class of the capital including Dosa and Nadu gave Chonju(村主) and local power to the greatest respect. They divided the grade of Jinchonju(眞村主) into Gunsang -chonju(郡上村主), Gunjungchonju(郡中村主), Gunhachonju (郡下村主), quoting peerage provision of Churye(周禮). On the other hand, they were provided by a tonic for foreign battles in competition period of 3 kindoms, granting Sain(使人)ㆍBijang(裨將)ㆍGunsa(軍師) to local power. Also ruling class of the capital addressed honorifically the local power that came to subjugate from Koguryo(高句麗) as Gonghyung(公兄)ㆍJungkong(衆公)ㆍOegaek(外客) etc. On the contrary, through Uljinbongpyung inscription(蔚珍鳳坪碑), they called local people and the rebel who put into Sylla sovereignty newly Noin(奴人). Noin experienced the application of a law, Jongjongnoinbeop (種種奴人法). Like this, respect policy and control policy on local people of capital citizens came from historical speciality in the Middle Period of Sylla that re-consolidated peculiar local institution of its own even more elegantly and producted conquest wars vigorousl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