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과학과 영성의 교직(交織)으로서 한국철학: 청년 류영모의 불이적 생명 사상을 중심으로 = Korean Philosophy as an Interweaving of Science and Spirituality: Centered on the Non-dualistic Life Philosophy of Young Ryu Young-mo
저자
안규식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74(36쪽)
제공처
본 연구는 과학과 영성의 교직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철학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이를 위해 한국의 종교사상가인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의 전기 사상에 해당하는 청년 류영모의 자료들을 분석한다. 청년 류영모는 일본 다이쇼 생명주의의 영향을 받아 과학과 영성의 언어로 한국인의 자기 인식 곧 한국철학 구성을 시도하였고, 이는 불이적 생명 사상으로 표출되었다. 청년 류영모는 과학과 영성의 교직을 통해 상호의존적이고 유기적이며 자기근원적인 전체 생명을 지향하는 불이적 생명을 기술했는데, 그 구체적 내용은 진화하는 초월적 생명, 불이적 상호 연결성의 신성한 생명, 우주로 향하는 귀일의 생명, 지속과 순간의 신비적 생명이었다. 본 연구는 청년 류영모가 구성한 과학과 영성의 교직으로서 한국철학의 내용이 한국인의 자기 인식으로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더 나아가 말할 수 있는 자연과학의 언어가 침묵해야 할 것 곧 신비를 어떻게 드러낼 수 있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Korean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section of science and spirituality. To this end, it analyses the early thought of Dasŏk Ryu Young-mo (1890–1981), a seminal Korean religious thinker, by examining primary materials from his youth. As a young man, Ryu Young-mo, influenced by the Taishō vitalism of Japan, sought to construct a Korean self-understanding—namely, a Korean philosophy—articulated through the languages of science and spirituality. This endeavour was expressed in his philosophy of non-dualistic life. Through the interweaving of science and spirituality, the young Ryu Young-mo described non-dualistic life as aiming for an interdependent, organic, and self-originating complete life. The specific dimensions of this philosophy included: the evolving transcendent life; the sacred life of non-dualistic interconnection; the life of return to the One (歸一) oriented towards the cosmos; and the mystical life of duration and the moment.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rough the interweaving of science and spirituality, the content of Korean philosophy as constructed by the young Ryu Young-mo was formulated as a mode of Korean self-understanding. Furthermore, it elucidates how the language of natural science—what can be spoken— is able to reveal that which must remain silent, namely, the dimension of myster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