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화 「연평왕정성공전기」에 나타난 정성공 서사 양상 연구 = A Study on Zheng Chenggong’s Narrative Aspects in the Film The Hero Named Koxinga
저자
김여주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2(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중국 영화 <연평왕정성공전기>(延平王鄭成功傳奇, 2022)의 서사를 분석하고, 2000년대 초반 중국에서 제작한 정성공(鄭成功, 1624-1662) 콘텐츠와 비교하여 2020년대 이후 정성공 서사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자 한다. 정성공은 중국에서 '대만수복'의 민족 영웅이며 대만 관련 콘텐츠에서 영웅으로 형상화되기 적합한 인물이며, 제작된 영상 콘텐츠는 중국의 역사 인식과 민족주의적 관점을 반영한다.
<연평왕정성공전기>는 2000년대 초반 제작된 정성공 콘텐츠에서 생략된 시기(1646-1659년)를 다루면서도 반청복명과 대만수복이라는 기존의 목표 구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명·청 갈등의 재현 방식에서 변화가 관찰되는데, 명·청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던 기존 작품들과 달리, <연평왕정성공전기>에서는 청나라 도르곤이 명·청 갈등을 '집안일'로 표현하는 등 명나라와 청나라를 모두 하나의 중국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변발한 요광원이라는 가상 인물을 통해 중간자적 입장을 구현했다. 또한 정성공의 영웅적 형상이 약화되고, 요광원이라는 가상 인물이 오히려 능동적이고 이성적인 영웅성을 보여주는 구조적 특징이 나타났다. 이는 중국 주선율 영화의 표현 방식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영웅적 인물의 감정과 내면을 부각시키는 경향과 맞닿아 있다.
영화에 대한 대중적 반응은 부정적이었는데, 역사적 사실의 부정확성, 요광원의 부각으로 인한 정성공 캐릭터의 약화, 결말에서의 정치적 메시지 등이 비판받았다. 이는 오늘날 중국 영화가 민족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오늘날의 관객에게 설득력 있는 영화를 제작해야 함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aspects of Zheng Chenggong depicted in the Chinese film The Hero Named Koxinga(延平王鄭成功傳奇, 2022) to identify connections with Chinese nationalist discourse and examine how the representation of heroic figures has evolved. This film covers a period(1646-1659) that was overlooked in early 2000s portrayals of Zheng Chenggong, offer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onflicts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While 「The Hero Named Koxinga」 maintains the core elements of traditional Zheng Chenggong narratives—such as resistance against the Qing and the recovery of Taiwan—it introduces the fictional character Yao Guangyuan establish a middle ground that transcends the dichotomous opposition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at in emphasizing Zheng Chenggong's human qualities, the heroic attributes were instead ascribed to Yao Guangyuan, a shift that elicited negative reactions from audience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ilm sought to construct a new narrative while preserving political messages in contemporary Zheng Chenggong storytelling, but it also highlights challenges related to Zheng Chenggong's heroism and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