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퀴어 SF와 페미니즘 담론 — 지다웨이(紀大偉)의 『막(膜)』을 중심으로 = Queer SF and Feminist Discourse: Focusing on Ji Dawei’s The Membranes
저자
남희정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66(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SF 장르의 특징은 미래에 대한 상상을 통해 기존 질서를 변형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형 속에서 드러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정상화하고자 했던 규범과 제도의 틈새라고 할 수 있다. 이는 SF 텍스트가 페미니즘과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SF가 젠더 역할이나 문화에 얽매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상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SF 장르가 남성적인 범주와 연계되어 왔음을 떠올린다면, 여성이 이를 다시 페미니즘적 서사로 운용하는 것은 매우 주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SF 서사 속에서 남성/여성, 정상성/비정상성, 이성애/동성애 등의 이원론적 범주는 언제든지 전복될 수 있으며, 이는 위계적 이원론에 대한 비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F 장르에 내재하는 전복성을 페미니즘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다루고자 한다.
지다웨이의 퀴어 SF ≪막≫은 이에 대한 유효한 텍스트가 될 수 있다. 소설은 과학기술에 무조건적인 신뢰를 보내지 않고, 인간의 진보와 승리를 전제하지도 않는다. 소설은 오히려 기술시대의 인간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관계 맺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새로운 존재 방식을 고민하게 한다. 휴머니즘적 전통 속에서 인간이 강조되면서 부차적으로 취급되었던 존재들을 새롭게 불러내는 것이다. 아울러 소설에서 그려지는 기술에 대한 인간의 태도와 기술과 인간의 관계는 작가의 오랜 주제의식이기도 한 퀴어 문제와 함께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퀴어적 상상력 역시 페미니즘 담론과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이성애, 가부장제, 자본주의는 전복해야할 상징질서로 제시되고 있으며, SF는 이러한 차별과 배제의 구조를 전복할 가상적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막≫을 관통하는 키워드인 여성, 퀴어, SF를 중심으로 작품을 세독하고자 한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science fiction(SF) genre lies in its ability to reshape the existing order through the imagination of the future. What emerges from this transformation are the gaps in the norms and systems that our society has sought to normalize. This is also where SF texts can connect to feminism. SF provides an imaginative space free from gender roles or cultural constraints. Particularly, recalling how the SF genre has been historically linked with masculine categories, it is significant that women are reworking this into feminist narratives. In SF narratives, binary categories such as male/female, normality/abnormality, and heterosexuality/homosexuality can always be subverted, which presupposes a critique of hierarchical binaries.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explore the subversive potential inherent in the SF genre in relation to feminist discourse.
Ji Dawei's queer SF The Membranes can serve as a valid text for this. The novel does not unconditionally place trust in science and technology, nor does it take human progress and victory for granted. Instead, it emphasizes that humans in the technological age can no longer relate to one another in the same way as before, prompting reflection on the new ways of existence in the post-human era. It reintroduces beings that were previously treated as secondary within the humanistic tradition focusing on the human. Moreover, the attitudes toward technolo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in the novel are considered alongside the writer's long-standing themes, such as the queer issue. This queer imagination shares many aspects with feminist discourse. In the work, heterosexuality, patriarchy, and capitalism are presented as symbolic orders to be subverted, and SF provides a virtual space to overturn these structure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u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work The Membranes through the central keywords of women, queer, and SF.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