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프랑스 익명출산(L'accouchement sous X)의 명암 = L’ombre et le clair de L'accouchement sous X en Fra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1-109(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En France, une femme enceinte peut accoucher anonyme dans un établissement médical public ou privé sans révéler sa identité. Il s'agit d'un système unique appelé « L'accouchement sous X » dans lequel aucune relation juridique n'existe entre la femme et l'enfant qui a ainsi accouché. Et l'enfant né de cette manière est enregistré en tant qu'enfant sous tutelle de l'État et est adopté. Elle est le produit d'un compromis imaginé par la société française entre l'idée du respect de la vie et le droit des femmes à l'autodétermination. Cependant, à mesure que les enfants nés anonymement grandissent, ils s'inquiètent de leur identité et essaient de trouver l'origine de leur naissance.
Cette étude met en lumière le contexte historique du système de naissance anonyme en France, examine le processus de développement du système, puis examine le processus des bébés nés anonymement, comment ils sont adoptés et comment les informations qu'ils trouvent en recherchant leurs mères Le phénomène culturel de la naissance anonyme révélé dans les films et les médias est examiné tout en analysant attentivement s'ils sont venus ou non. La situation actuelle en Corée, où une mère qui a récemment laissé son bébé dans une boîte à bébé a été acquittée de l'accusation d'abandon de nourrisson, et les implications pour le système de protection des naissances, qui fait actuellement l'objet d'un projet de loi à l'Assemblée nationale, sont recherchés.
프랑스에서 임산부는 공공 혹은 사설 의료기관에서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고 입원하여 출산할 수 있다. 즉 출산한 여자와 아이 사이에 어떠한 법적 관계도 발생하지 않는 “익명출산(L'accouchement sous X)”이라는 고유한 제도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렇게 태어난 아이는 국가후견을 받는 아동으로 등록되어 입양된다. 이는 ‘생명존중사상’과 ‘여성의 자기결정권’ 사이에서 프랑스 사회가 고안해 낸 타협의 산물이다. 그런데 익명출산아는 성장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을 하면서 출생근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프랑스에서 익명출산제도의 역사적 배경을 재조명하고 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본 다음, 익명출산아가 태어난 과정에서부터, 어떠한 절차를 거쳐 입양되는지, 그리고 엄마를 찾아 나선 과정에서 그가 찾은 정보는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차근차근 분석하면서, 익명출산의 명암을 고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근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두고 간 출산모에 대하여 영아유기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우리나라의 현 상황과 국회에 입법안이 나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익명출산 내지 보호출산제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