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의료서사 창작을 통한 성찰과 치유 가능성-소록도 구술 채증에서 문학으로- = Reflection and Healing by Creating Medical Narratives-using oral records to create literature of Sorokdo-
저자
조안영 (국립소록도병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91-425(35쪽)
제공처
현재 소록도에 입원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록도병원 구술 기록화 사업”에서 보였던 사업의 방향은 소록도 환자의 서사를 하나의 기록물, 또는 역사 자료로 다룬 측면이 있다. 단순히 기록자로서 녹취하듯이 구술을 받아적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본 연구의 모티프를 얻었다. 기록의 관점에만 머물러 있기엔 소록도의 의료서사는 문학적으로 중요한 주제를 담을 수 있으며, 구술의 채증 과정은 면담 또는 상담을 통한 심리치료의 과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고, 이런 방향으로 연구를 계획하였다.
2023년 4월부터 8월까지 소록도병원 입원 환자인 두 명의 연구 대상자를 일주일 간격으로 1시간 동안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원내 사무실에서 면담을 진행했다. 면담은 탐색-기술-환기(exploration- description-ventilation)의 과정을 통해 구술을 채증하면서, 동시에 지지와 수용, 공감을 통한 신뢰 형성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면담의 세부과정은 인간중심 치료이론에 기초하여 진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구술기록은 면담후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일차적인 서사 원고를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문학적으로 재구성하여 수필의 형식으로 결과물을 완성했다. 연구의 결과물은 2주간의 연구 대상자의 직접 검토와 확인 과정을 거쳐 최종 수정되었다.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스스로 감정이나 태도를 드러내도록 하여 정화를 유도하고, 여기서 채증된 구술을 토대로 연구자가 수필을 창작하여, 환자가 이를 문학작품으로 읽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를 낯설게 보도록 함으로써 성찰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리적 치유효과를 기대하고, 이렇게 완성된 문학작품은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소외와 고립을 표현하는 한센병문학의 한 장르로서 대중에게 그들의 질병체험과 고립과 소외의 정서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독자에게 문학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연구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했음을 연구의 결과물인 두 작품의 내용과 내담자(피연구자)와의 추가 면담을 통해 확인했다.
In the “Sorokdo “Sorokdo” is used as a proper noun instead of Sorok Island Hospital Oral Recording Project,” the narratives of patients currently hospitalized on Sorok Island are treated as records or historical data.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derived from the possibility of doing more and creating more value instead of simply taking oral statements as a record. From the sole viewpoint of records, Sorokdo’s medical records could contain important literary topics, and the process of gathering oral statements could be developed into a process of psychotherapy through interviews or counseling. Accordingly, the study was planned in this direction.
From April to August 2023, two subjects were interviewed at the floor office five times for an hour at weekly intervals. The interviewer focused on building rapport through support, acceptance, and empathy while collecting oral statements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ation-description-ventilation.
The interview process was based on anthropocentric therapy guidelines, and the oral statements collected were organized after the interview. The primary narrative manuscript was prepared based on this. The results were compiled in the form of an essay through the literary reconstruction of the primary manuscript. These were finally revised after a two-week direct review and confirmation process with both interviewees (study subjects).
Through interviews with patients, the researcher created an essay based on the collected oral statements, and the patients observed themselves by reading it as a literary work, which could lead to reflection. The completed literary work is a genre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that expresses physical pain and social alienation and isolation from the public. Moreover, this approach effectively achieves the goal of delivering readers’ disease experiences and feelings of isolation and alienation and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literary reflec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