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 앱아트의 표현 유형 분류 - 앱의 활용에 의한 결과물을 중심으로 = Expressional Typology of Modern App Art – Focused on the Results of Using App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89-603(15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o date, research on mobile art has been mainly dealt in intermittent or comprehensive context within interactive media art and augmented reality art. And only a few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intensively looked into a variety of th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recently expre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eak down and investigate the expressional topology of mobile artworks using apps in the world, focusing on the results of using the apps. To achieve the purpose, I collected 106 app artworks throughout the world for data connection, classified their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m with several discourses and previous genres. As a result, I was able to break down the types of the modern app art expressions into ‘AR', ‘interaction process with other subjects in a network', ‘fixed contents sphere created by an author', and 'other work information'. They are distributed and have significance as follows. The majority (about 69%) of the mobile app artworks realize AR inside an application, featuring 'experimental and temporary existence', 'place specificity inherent in AR', and 'symbol of the modern society’. In some parts, they are similar to the attributes of minimalism art, land art, etc.
'Interaction process with other subjects in a network’ achieved about 20%. This type of expression communicates with a machine or other subjects, sublimates the results into artworks, and has the same way as other genres of the modern participatory arts. ‘Fixed contents sphere created by an author' took about 7.5%. Plane or video contents are delivered with an application.
'Other work information' took about 3.8%. The object scanned by an application is linked with other information, which is similar to conventional web art. As a result, Augmented Reality was the most prominent art pieces made in the realm of Modern App Art. This form of expression was exclusive to the genre App Art and was not found in other genres of Digital Art. Further, more in-depth, and varied discussions are expected to continue regarding this significance of such difference. Furthermore, this research helped expand the scope of the unmarked territory that is the genre of Modern App Art.
그동안의 모바일아트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증강현실 미술 내에서 간헐적으로, 혹은 포괄적인 맥락에서 다루어져 왔고, 최근 표출되고 있는 다양한 특성들을 밀도 있게 분석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08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제작되고 있는 ‘앱이 활용되는 모바일아트’ 작품 사례들의 표현유형을 ‘앱의 활용에 의한 결과물을 중심으로’ 세분화하고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 및 과정은 다양한 자료 수집을 통해 전 세계 앱아트 작품 사례 106개를 수집한 후, 유형별 분류를 하고 이를 여러 담론들 및 선행 장르들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앱의 활용에 의한 결과물을 중심으로 현대 앱아트의 표현 유형을 ‘증강현실’, ‘타 주체와 네트워크 내상호작용 과정’, ‘작가가 제작한 고정적 콘텐츠’, ‘타 작품 정보들’ 이라는 네 가지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분포 및 의미는 다음과 같다. 앱 내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작품은 약 69%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체험적인 일시적 현존, 증강현실에 내재된 장소특정성, 현대 사회의 표상’이라는 의미를 내재하고 있었으며 일부 미니멀리즘 미술, 대지미술 등과의 속성이 유사하였다. ‘타 주체와의 네트워크 내 상호작용 과정’은 약 20% 였으며 기계나 다양한 주체와의 소통과정, 그 결과물을 작품으로 승화하고 있었고 현대 참여미술 내 장르들과궤를 함께 하고 있었다. ‘작가가 제작한 고정적 콘텐츠’ 영역은 약 7.5%였고 앱으로 평면이나 동영상 콘텐츠를전달하고 있었다. ‘타 작품 정보들’은 약 3.8%로써 앱으로 스캔하는 대상을 다른 작품정보와 연결시키고 있었으며 과거 웹아트의 형식과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현대 앱아트에서 생산되는 결과물은 ’증강현실‘이 가장 많았으며, 이것은 여타 디지털아트 내 장르들 중에서 잘 표출되지 않는 앱아트만의 가장 두드러지는 표현유형이었고, 그 의의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 깊은 후속 논의는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아직 미지의 세계인 현대 앱아트 연구의 폭을 확대할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