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OPUS
방사선 투시 유무에 따른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 성공률의 차이 = The Difference in Success Rate of Endoscopic Stent Insertion with or without Fluoroscopic Guida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7-113(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Backgroud/Aims: Sometimes,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may be done without fluoroscopic guid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success rate of endoscopic stent insertion with or without fluroscopic guidance. A total of hundred and sixty three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were included. Methods: The group I comprised 82 patients in which the stent insertion was done without fluoroscopy. The group II included 81 patients in which stent was inserted under the fluoroscopy. Results: The locations of obstruction are at esophagus and cardia (group I /group II, 44/40 patients), at pylorus and duodenum (15/34 patients) and at post-operative stenosis of gastro-jejunal anastomosis (23/7 patients).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success rate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79/82 (96.3%) in group I, 80/81 (98.2%) in group II, p=0.620]. Among group I, three patients (3.7%) were failed due to incomplete guidewire insertion. These patients were the two cases of jejunal stenosis of esophago-jejunal anastomosis and one case of duodenal obstruction with carcinomatosis peritonei. However, in these cases, the stents were successfully inserted under the fluoroscopic guidance. Conclusion: The success rate of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with or without the fluoroscopic guidance is not different. But in cases of inaccurate guidewire insert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pyloric obstruction, the endoscopic stent insertion under the fluoroscopic guidance may be more safe and successful.
더보기목적: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술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시하에서 이루어지나 방사선 투시가 없는 상태에서 시행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방사선 투시 여부에 따른 내시경적 인공관 유치술의 성공률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소화기내과에서 방사선 투시 없이 시행된 내시경적 인공관 삽입 82예를 대상군으로, 경북의대 부속의료원 소화기내과에서 방사선 투시 하에 시행된 내시경적 인공관 삽입 81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의 평균 연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대상군: 대조군, 62.6±11.8세: 66.3±11.3세, p=0.804). 폐쇄 위치는 식도 및 위 분문부가 대상군 44예(대조군 40예), 위 유문부 및 십이지장 15예(34예), 수술 후 위-공장 문합부 협착 23예(7예)로 차이가 없었다(p=0.210). 인공관 삽관 성공률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대상군: 대조군, 96.3%: 98.8%, p=0.620). 대상군에서 인공관 유치가 실패한 경우는 십이지장 폐쇄 1예, 술 후 위-공장 문합 후 공장 협착된 2예로서, 유도철사 삽입이 어려웠거나 불분명한 경우였으며 방사선 투시 하 내시경적 삽관으로 바꾼 후 전례에서 인공관 유치를 할 수 있었다. 대상군의 평균 삽관 시간은 14.5분이었으며, 식도/위 분문부에서 가장 짧았으며, 위 유문부가 상대적으로 오래 걸렸다. 결론: 방사선 투시 없이도 안전하면서 성공적인 인공관 유치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협착이 심하여 유도관 삽관이 어렵거나 불분명할 때는 방사선 투시 하에서 유도관과 인공관을 삽관하는 것이 더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2-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6-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KCI후보 |
2006-06-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2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18 | 0.38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