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殊異傳의 撰述本과 傳承 연구 = A Study on the Compilations of Suijeon(殊異傳) and Its Transmission Process
저자
곽승훈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51.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75(31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There are two compilations of Suijeon(殊異傳) remaining today; one is Gobon Suijeon(古本 殊異傳) written in the 9th century during Silla(新羅) and the other Suijeon compiled by Park In-ryang(朴寅亮) during Goryeo(高麗). The former was read by Il Yeon(一然), who made lots of quotations of some of its content in his Samgukyusa(三國遺事). The latter added stories about the Gaya(伽倻) region to the former and seems to have been part of Park In-ryang's Gogeumrok(古今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been stored in a secret storage. It was read by Gak Hun(覺訓) and Lee Seung-hyu(李承休) during Goryeo and Seo Geo-jeong(徐居正) and Seong Im(成任)during Joseon(朝鮮). Gwon Mun-hae(權文海) seems to have re-quoted Suijeon instead of personally reading it.
It was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priests that compiled or quoted Suijeon. They wrote history books as historiographers or figures related to history. Thus Suijeon contains two distinct parts; one is historical facts different from authentic history, and the other strange stories. It reflects the intention of historians that wanted to collect what was left out of authentic history and record it. They added strange stories too in order to warn themselves of an inclination toward Neo-Confucianism and accordingly loss of the ruler's qualifications.
고본 수이전은 9C 신라 때 편찬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박인량이 이를 증보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박인량의 수이전은 秘府에 간직하였다는 고금록의 한 부분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이것이 계속 전해져 고려시대에는 각훈과 이승휴가, 조선시대에는 서거정과 성임이 열람하였다. 권문해는 수이전을 직접 열람한 것이 아니라 서거정과 성임의 저술에 반영된 내용을 재인용한 것으로여겨진다.
수이전을 찬술하고 또 인용한 사람들은 유학자와 승려들이었다. 또한 그들은 史官으로서 혹은관련된 사람으로서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이런 때문에 수이전은 正史와 다른 역사적 사실과 奇異한이야기의 두 가지 성격이 담겨있었다. 이는 역사가들이 正史에서 빠진 것을 모으고 버리지 않으려는의도에서였다. 기이한 이야기를 담은 것은 성리학에 편중되면 통치자로서의 자격을 잃게 되는 것에대한 경계였다.
수이전은 이후 여러 책에 인용되면서 사학사상으로 볼 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삼국유사가 많은 내용을 반영한 것에서 보아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것은 遺事가 逸事를 모은 것이라는 점에서 그성격을 사실상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왕운기와 해동고승전에도 많이 참고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정치사는 물론 불교사 서술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삼국사절요에 정사와 다른 경우로서 역사적 사실이 존중되어 역사편찬에 남을 수있었다. 또 이 시기에는 불교적 영험 요소가 대체로 배제되었지만, 다른 내용들이 전기문학의 잡기편찬에 반영되어 유학자들의 편벽성을 극복하는 요소로서 활용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2.456 | 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