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으로 완성되는 성과 사랑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랑과 책임』과『몸의 신학』을 중심으로 = An Ethical-Theological Study on the Sexuality and Love Fulfilled through Marriage : Focusing on Pope John Paul II's Love and Responsibility and Theology of the Body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2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조직신학 , 2025. 2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방종우
UCI식별코드
I804:11001-200000876417
소장기관
In contemporary society, sexuality is often consumed as a tool for pleasure, leading to the objectification and commodification of individuals and the fundamental destruction of human relationship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oot causes of these social issues and propose a solution through a moral-theological approach to the essence of sexuality and love as fulfilled in marriage. Furthermore, it underscores the timeless value of Christian ethics, rooted in human dignity, amidst the realities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cultural shifts that increasingly promote the commodification of sexual pleasure.
The research is structured around three key pillars. First, it analyzes how the concepts of sexuality and marriage have evolved in modern society, identifying the instrumentalization of sexuality and its separation from human nature as critical issues. Second, it examines the teachings of the Church, which assert that sexuality and love are profoundly connected to the essential aspects of human existence. Sexuality is not merely a physical act but is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mutual self-gift and responsibility between man and woman, culminating in the fruits of love and new life. Third, it delves deeply into the personalist perspective presented in Pope John Paul II's Love and Responsibility and The Theology of the Body, emphasizing how sexuality strength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rves as a language of genuine love.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rediscover the fundamental meaning of marriage and sexuality, affirming that sexuality reveals the depth of human nature and serves as a medium for mutual responsibility and love between man and woman. By addressing the distorted sexual culture and disordered family dynamics of modern society, this study offers a framework for solutions. Such discussions are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affirming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sexuality in the fa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rapidly changing societal environments.
현대 사회에서 성은 쾌락의 도구로 소비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성적 대상화와 상품화, 그리고 인간관계의 본질적 파괴로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근본 원인을 탐구하고, 혼인으로 완성되는 성과 사랑의 본질에 대한 윤리신학적 접근을 통해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술 발전과 문화적 변화가 성적 쾌락을 더욱 확산시키는 현실 속에서, 인간 존엄성 중심의 그리스도교적 윤리가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린다.
연구는 세 가지 주요 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현대 사회에서 성과 혼인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며, 성의 도구화와 인간 본성으로부터의 분리를 문제로 제기한다. 둘째, 교회의 가르침을 통해 성과 사랑이 인간 존재의 본질적 측면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논의한다. 성은 단순한 육체적 결합이 아니라 남녀 간의 상호 증여와 책임을 통해 사랑과 생명의 결실을 이루는 행위로 이해된다. 셋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랑과 책임』과 『몸의 신학』에 나타난 인격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성이 인간의 인격적 관계를 강화하고, 진정한 사랑의 언어로 표현될 수 있음을 심도 있게 탐구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혼인과 성의 본질적 의미를 재발견하고, 성이 인간 본성을 깊이 드러내며 남녀 간의 상호 책임과 사랑을 실현하는 매개임을 확인하면서 현대 사회의 왜곡된 성문화와 혼란스러운 가정 환경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인간 성의 존엄성과 가치를 재확인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