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문화 분권의 관점에서 창작공간 운영 프로그램 연구: 인천아트플랫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reative Space Oper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Culture: focusing on the Incheon Art Platform case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42(1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local culture policy in Korea has modified its agenda from the local expansion of centralized culture through the stage of local culture promotion to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Nonetheless, the role of creative space has not been sufficiently reviewed in the frame of local culture polic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operating program using creative space as local culture policy, especially as a practicing space for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The reasons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heon Art Platform for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creative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are as follows: This space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local art activity development. After its launch, it clearly showed the intention of local activation. Also, it has been evaluated for its significance and limits as the hub of local culture. With the aim of reviewing the role of creative space in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in the operation program,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change of policy related to the creation of creative space and local culture, and secondly, discovered implications by selecting attractive operating cases in relation to local liaisons. It wa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performances held by the Incheon Art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creative space oper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of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Wit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or the creative space operation program in order to promote local culture decentralization. First, the creative space must restructure the residence program focusing on continuous collaboration programs for the mutual growth of residential artists and local culture subjects. Second, the creative space must enhance long-term planning programs for comprehension and recording locality, rather than artist-based temporary presentations, in order to accumulate local assets. Third, the creative space must expand and operate diverse local community liaison activities in order to develop local culture subjects.
국내 지역문화 정책은 중앙집권적 문화의 지역적 확산에서 지역문화 진흥 단계를 거쳐 지역문화 분권을 본격적으로 논의 중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창작공간의 역할은 지역문화 분권의 정책적 틀 안에서충분히 검토되지 못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문화 분권 실천의 장소로써 창작공간의 운영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 지역문화 분권 실천을 위한 창작공간의 운영 프로그램을 다루면서 인천아트플랫폼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천아트플랫폼이 지역 예술활동 활성화에 목표를 두고 설립· 운영되어 왔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이곳이 지역 내· 외부에서 지역문화거점으로 의의와 한계를 동시에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아트플랫폼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지역문화 분권의 관점에 부합하는 창작공간의 운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 본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같다. 본 연구는 우선 지역문화와 창작공간 조성 관련 정책 변화를 살펴 보았다. 이후 본 연구는 지역연계 특화 창작공간으로 성과를 인정받고 있는 국내· 외 사례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인천아트플랫폼의 입주 프로그램, 전시·공연 프로그램, 교육· 연구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을통해 본 연구는 지역문화 분권을 실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창작공간의 운영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첫째, 창작공간은 자생적 지역문화 기반 구축을 위해 입주 작가와 지역문화 주체들이 공동 성장할 수있는 상시적 협업 프로그램 중심으로 입주 프로그램을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창작공간은 자율적 지역문화 자산 축적을 위해 예술가 중심의 일회성 발표를 지양하고 새로운 지역성 독해와 기록이 가능한 장기적 기획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창작공간은 자발적 지역문화 주체 양성을 위해 차별화된 지역사회 연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확대 운영해 나가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