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Inhibitory effects of retinoic acid on the proliferation of pre-neoplastic and hepatoma cells in rat liv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3-304(12쪽)
제공처
본 연구는 retinoic acid(RA)가 간발암화 과정에 미치는 조절효과와 간암세포 및 정상 간세포의 증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간 발암물질로는 diethylnitrosamine(DEN, 200mg/kg, i.p.)과 2-acetylaminofluorene(AAF, 15mg/kg, i.g.)을 사용하였다. Ⅰ군은 DEN과 AAF를 투여하였고, 3주에 간부분 절제술(partial hepatectomy, PH)을 해 주었다. Ⅱ군은 DEN, AAF, PH 그리고 RA(1.5mg/kg, i.m.)를 처치하였다. Ⅲ군은 Ⅱ군의 처치에서 AAF를 제외시켰다. Ⅳ군은 PH와 RA를, 그리고 V군은 PH만 처치하였다. 모든 랫드는 8주. 16주, 32주에 부검하여 조사하였으며, 간암세포와 정상 간세포의 증식성 평가는 5-bromo-2’-deoxyuridine(BrdU)의 표지,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발현, 그리고 핵당 silver-binding nucleolar organizer regions(AgNORs)의 갯수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c-myc 종양단백의 발현 역시 평가하였다. 결과로서, 부검 8주에 GST-p 면역염색 후 조사한 전암병변의 수와 면적은 Ⅱ군에서 Ⅰ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1). 종양발생율에 있어서도 RA의 억제효과가 16주 및 32주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PCNA와 BrdU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결과에서는 Ⅱ군에서 정상 간세포의 증식능이 Ⅰ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정상부위보다 종양성 병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지만, Ⅱ군의 종양성 병변에서는 8주(p<0.01)와 32주(p<0.01)에서 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DEN-AAF-PH로 유발한 간발암화 과정에서 RA투여에 의하여 발암 억제효과가 확인 되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매우 강력하여 AAF의 암 촉진 효과를 충분히 차단할 만큼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발암화 과정중 RA의 억제효과는 전암성 간세포의 증식 억제, 정상 간세포의 증식 촉진 그리고 c-myc 종양단백 발현의 감소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