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분석 및 전망 = Analysis and Prospect of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after Corona 19
저자
육정학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강사)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9-274(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Pupose This study looked at the outline of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held from 1997 to 2021, and analyzed and predicted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In particular, we studied thetrends of the film festival by intensicely analyzing the themes and stories of the works screened at the 22nd and 23rd Seoul Internatinol Women’s Film Festival, which were held After Corona 19.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and discuss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electronic such as published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s, and internet websit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ult Film is a cultural movement and festival where various communication and moving experiences can be shared through film. The holding meaning of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is to actively solve women’s problems based on the merits of the film festival and to expand and create feminist public domains. Since the first event, more than 100 films from 30 countries have participated on average as the number of participating countries and participating films has increased. In 2020, a work under the theme of ‘Looking at each other in the age of Corona’ was screened, and in 2021, the slogan was ‘Take care, look back’. The award catefori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14 works were awarded. Conclusion Looking at the trends of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focusing on 2020 and 021, the era of COVID-19, first, the consciousness of ‘friendship and women’s solidarity’ was emphasized. This is to spread feminism though solidarity such as intimacy and empathy with women around the world. The second was ‘Consideration and Reflection’ to reflect on the history of women’s films and reflect on the era of COVID-19 and refoect on our daily life. Lastly, as a prospect of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estival,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truly successful festival by reborn as a film festival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when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더보기연구목적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21년까지 개최된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개요를 살펴보고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해 보았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개최된 제22회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 상영된 작품의 주제나 이야기내용 등을 집중 분석하여 영화제의 트렌드를 연구해 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논문, 학회지, 서적, 인터넷웹사이트 등 전자검색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분석하고 논의한 질적 연구이다. 결과 영화는 영화를 통한 다양한 소통과 감동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문화운동이자 축제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개최의미는 이러한 영화제의 장점을 바탕으로 여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고자 한 것과 여성주의 공공영역의 확대 및 창조라는 개최의미를 담고 있다. 제1회 개최이후 참가국과 참가작이 늘면서 30개국 100편 이상의 영화가 평균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2021년과 2022년 코로나 시기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서울국제여성영화제를 개최하였는데 2020년에는 ‘코로나 시대, 서로를 보다’라는 주제의 작품을 상영하였으며 2021년에는 ‘돌보다, 돌아보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으며 수상분야는 총 4개의 분야로 나누어 14개의 작품을 수상하였다. 결론: 코로나19 시대인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첫째, ‘우정과 여성연대’의식을 강조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여성의 친밀감과 공감 등의 연대를 통한 여성주의의 확산을 들 수 있고, 둘째는 ‘사려와 성찰’로 여성영화의 역사를 돌아보고 또 코로나19라는 시대를 돌아보며 지금의 일상을 생각해 보는 사려와 성찰을 들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전망으로는 남녀가 서로 상생, 공존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양성평등의 영화제로 거듭나 진정성 있는 성공적인 축제가 되었으면 전망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12-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 한국융합과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the Security Convergence Management ->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 KCI등재 |
2017-09-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 한국융합과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Security Convergence Management -> Korean Society for the Convergence Scienc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 | 0.415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