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지체장애인의 스트레칭운동 유형이 건강체력,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ypes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social adaptation in the physically disabled

    • 저자

      허문영

    • 발행사항

      화성 : 수원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수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92.3 판사항(6)

    • DDC

      796.08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 86장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기정
      권말부록: 지체장애인의 스트레칭운동 유형이 건강체력,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설문지
      참고문헌: 장 69-78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ypes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social adaptation in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stretching exercise group(B) and control group(C) and to compare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This study targeted 80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orking in the labor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C area, Gangwon Province.
    In terms of physical fitness,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grip dynamometer(CAMRY-EH010), Trunk Flexion Forward test(SJ-3884) was conducted to measure flexibility and push-ups(CL-15) were performed to measure muscular endurance. For measuring self-efficacy and social adapt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Self-efficacy was ve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88. Social adaptation was ve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workplace adaptation, leisure society adaptation and family adaptation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93.
    For statistical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was computed using the SPSS Ver. 22.0 program and for identifying intergroup differences(the effects of exercise) before and after exercise, 3 × 2 repeated measured ANOVA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intergroup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xercise, Scheffe post-hoc test was applied and for analyzing within-group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xercis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he level of significance for statistical processing was set at α=.05.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ypes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social adaptation in the physically disabl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both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and stretching exercise group(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exercise(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 ty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in muscular endurance.
    Second, both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and stretching exercise group(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 types.
    Third, both stretching and muscular exercise group(A) and stretching exercise group(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place adaptation, leisure society adaptation and family adaptation before and after exercise(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nd interactive effect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exercise types.

    더보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가설 5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지체장애인의 특성 8
    • 2. 스트레칭운동 유형 11
    • 3. 건강체력 15
    • 4. 자기효능감 18
    • 5. 사회적응 23
    • 6. 선행연구 25
    • Ⅲ. 연구방법 29
    • 1. 연구대상 29
    • 2. 측정도구 및 방법 30
    • 3. 실험설계 34
    • 4. 운동처치프로그램 35
    • 6. 자료처리 38
    • Ⅳ. 결 과 39
    • 1.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건강체력의 차이 39
    • 2.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44
    • 3.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사회적응의 차이 49
    • Ⅴ. 논 의 55
    • 1.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건강체력의 차이 55
    • 2.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59
    • 3. 스트레칭운동 유형에 따른 사회적응의 차이 61
    • Ⅵ. 결론 및 제언 66
    • 1. 결론 66
    • 2. 제언 67
    • 참고문헌 69
    • ABSTRACT 78
    • 부 록 81
    더보기
    • 1 박인학, "교육심리학", 대왕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8
    • 2 김기웅, 고흥환, 장국진, "스포츠심리학", 한국스포츠심리학회, 부산: 정문출판사, 1994
    • 3 정범모, "인성검사요강", 서울: 코리아 테스팅 센터, 1971
    • 4 박철호, "체육측정평가", 부산: 세종출판, 1999
    • 5 고흥환, 김종선, "스포츠 심리학", 명지, 서울: 선일문화사, 1983
    • 6 김근영, 이민영, "체력, 운동, 건강", 덕성여대출판부, 1997
    • 7 정연옥, "도해 스트레칭 해부", 서울: 영문출판사, 2014
    • 8 김경숙, 최원현, 장명재, 장경호, "특수체육 이론과 실기", 서울: 태근문화사, 1998
    • 9 김의수, "특수체육과 장애인스포츠", 무지개사, 서울: 도서출판, 2006
    • 10 강승애, 전혜자, 송채훈, "특수체육 원리와 프로그램", 대경북스, 서울:대경북스, 2007
    • 11 박옥희, "장애인 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학문사, 2000
    • 12 임규혁, "학교학습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6
    • 13 권윤방, 정청희, 정웅근, 임번장, 노희덕, 김동진, "국민체력장 기준치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1982
    • 14 박성순, 추건이, 손진수, "(내 몸의 코디네이터) 밸런스 스트레칭", 대경북스, 서울: 대경북스, 2002
    • 15 김경숙, 조재훈, "지체장애 성인의 운동욕구에 관한 연구", 서울국제스포츠과학학술세미나. 98-107, 1997
    • 16 곽준기, "뇌성마비 학생의 체격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창간호. 113-138, 1993
    • 17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1(2), 1-19, 1997
    • 18 김성수, 황부근, 지용석, 이동희, 윤진환, 안희구, 신말순, 배종진, "장애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의 유산소 능력", 특수체육학회지, 10(2), 89-98, 2001
    • 19 정성태, "생활체육평가척도 개발(Ι). 스포츠과학연구 종합보고서",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4
    • 20 김성옥, "자기능력감 이론. 한국스포츠심리학회편.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1994
    • 21 김기학, "체력의 진단과 평가. 유성스포츠프라자 스포츠과학연구소", 체육종설편, 1, 56-61, 1995
    • 22 김경미, "농촌성인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 23 박영관, "장애운동선수의 스포츠에로의 사회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2
    • 24 홍려교, 홍양자, "스포츠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신체상에 미치는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9(2), 31-48, 2001
    • 25 안동영, "지체장애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내용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 26 김종현,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여와 사회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27 이강민,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 28 한태룡,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 29 정재훈,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30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 31 김선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32 서진환, "고등학생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33 김종명, "유연성 검사의 준거지향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 34 임완기,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체육학회, 특수학회지, 8(1), 1-12, 2000
    • 35 김창근, 윤재군, 어수주, 이장규, "12주간의 저항성 트레이닝이 대퇴근육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4(3), 337-345, 2005
    • 36 김병길, Kim, Pyung-Kil, Jeong, Hyun-Joo, Lee, Jae-Seung, Kim, Ji-Hong, Yook, Jin-Won, Moon, Sang-Ae, 정현주, 이재승, 육진원, 문상애, 김지홍, "신증후군을 동반한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의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신장학회, 대한소아신장학회지, 3(2), 123-129, 1999
    • 37 최상현, "지체장애인의 합기도수련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0
    • 38 양성아, "주부의 생활체육 참여가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 39 서혜옥, "장애인의 생활체육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 40 김동창, "스트레칭운동이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41 방종근, 조병훈,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남체육연구, 10, 1-10, 2005
    • 42 서연태, "중년기 지체장애인의 신체조성 및 체력요인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793-2010, 2003
    • 43 곽무순, "초등학생 태권도 참여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7
    • 44 정복자, 홍양자, "스포츠활동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1), 77-87, 2005
    • 45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운동참가와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2
    • 46 김봉소, "청년기의 자기개념, 사회적 태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1976
    • 47 김동원, "장기간의 휠체어테니스 운동이 지체장애인의 체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한국지체불자유아교육학회지, 52(4), 215-228, 2009
    • 48 최남기, "고등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형태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49 정연택, "24주간 수영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뇌성마비 장애인들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6(3), 47-67, 2008
    • 50 신창호, 정영수, "최대 암 에르고미터 운동 시 휠체어 농구선수의 심폐기능과 상지근 피로도 반응",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40(1), 409-419, 2001
    • 51 오영희, "지체장애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자원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카돌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 52 이숙자,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 대학원, 2000
    • 53 신혜숙, "배우자 유무에 따른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31(6), 1119-1128, 2001
    • 54 윤종식, "스포츠활동이 아동의 집단응집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55 김동주, 표내숙, 박종태, "지체장애인아의 농구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제38회 학술발표회, 202-208, 2000
    • 56 손세익, "만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동기강화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 57 조재훈, "당사자주의 관점에 따른 지체장애인 체육활동의 활성화 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3
    • 58 박영산,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참가 경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 59 차성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4
    • 60 박노열, "목표 난이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운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 61 곽호근,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의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 62 이다은,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63 오경문, "농구 기술을 통한 성취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1
    • 64 김기훈, "테니스 동호회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65 김현숙, 한규량, 유수정,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건강,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2002
    • 66 문영은,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가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67 홍형호, "건강체력 운동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0
    • 68 최우영, "생활체육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자신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69 봉영순, "작업치료사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70 양우열, "지체장애인의 스포츠동호회 참여정도와 장애수용 및 사회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4
    • 71 전미향, "집단미숙치료가 청소년의 자기 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1977
    • 72 이교인, "지체장애인의 좌식배구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회성 및 생활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 73 이종하, "신체장애자들의 스포츠 참여정도 장애수용 및 자기효능감의 인과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 74 박준형,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이 학교생활 적응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75 오재근, 김경숙, 최원현, 조재훈, "하지 근력 운동이 마비기간이 다른 편마비 성인 남자의 근기능과 혈중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7(2), 47-66, 1999
    • 76 강소영,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 77 정비호, "청소년의 성패 귀인성향과 가지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78 정영수, "휠체어 농구 트레이닝이 척수손상 휠체어 농구선수의 심폐 기능과 호르몬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5(1), 1-8, 2006
    • 79 김혜영, "지체장애인의 좌식배구참여에 따른 장애수용 및 사회성발달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80 이재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 아동의 귀인양식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에대한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81 정현철,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자아성취감과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 82 남재희, "16주간의 정적스트레칭운동이 노인여성의 평형성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83 최은경,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 84 임비오, 전병환, "최대 운동부하 검사 시 농구용 휠체어의 캠버와 햄크림크기가 에너지 대사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과학회지, 13(1), 125-135, 2004
    • 85 전익홍, "장애인 체육의 발전 방안(장애인 파크골프를 중심으로). 장애인체육 발전을 위한 2008 체육관계자 Work-shop", 경북장애인 체육회, 2008
    • 86 최윤진, "장애인 휠체어 농구선수와 비장애인의 건강관련체력, 골밀도 및 혈중지질농도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 87 박경철, 박정철, "12주간 좌식배구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정신건강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 88 신귀숙, "인지-행동적 스트레스 대처훈련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89 이동준, "경주스포츠 참가자의 도박동기와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중독성향 및 사회적응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 90 함완숙,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및 등급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 91 신건철,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참여가 성인중도지체장애인의 자아수용 및 인식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92 최윤희, "통합 휠체어댄스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혈중stress hormone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 93 전익홍, "지체 정신장애인의 파크골프 참여가 건강체력과 대인관계 및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 94 이은복,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 95 이정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