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자비도량참법’을 중심으로 본 기도의례 = Prayer Ritual Based on the ‘Jabi-Doyang-Chambeop (慈悲道場懺法)’
저자
황금연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48(36쪽)
제공처
Among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religion, rituals are the two wings that support religion along with the doctrine advocated by the religion. It is clear that Buddhism has a very refined ritual among many religions. Buddhists form a consensus with faith and belonging as one of the Buddhists while sharing various rituals. Among the many rituals of religion, the prayer adopted in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religion of all religious people.In this paper, among many prayer rituals, the typical form of prayer rituals was examined through the ‘Jabi-Do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The key to prayer is the combination of the fundamental power of the wish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 to rescue the people with the “harmony of one’s own efforts and the power of others” and the prayer’s earnest will to overcome hardships. That is the achievement of prayer and the nature of prayer. The heart of prayer is turn to ,worship, offer a memorial service, and praise. The ‘Jabi-Doyang-Chambeop’, which is the center of this paper’s consideration, has several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First, it is organized in the order of ①Chan(praise)→②admission to penance③ →the text of penance→④Chan(praise)→⑤free from penitence→⑥Chan(praise) →⑦bring up admiration. All three of the repeated Chan(praise)and Geochan(bring up admiration)have different personalities. Second, in the Chan(praise)of the introduction, the example of Maitreya Buddha and the past Chilbul must be posted. Third, the Buddha offering rituals is generally not constant from 28 to 10, but Maitreya Buddha and Sakyamuni Buddha are named first throughout the 10 volumes. In addition, the Bodhisattva is usually honored by two to four people, but at the end, it is bound to be the Bodhisattva of Guanyin. Fourth, each volume is entitled to a total of 38 paragraphs, and this penance law ends with the content of repentance and exhortation of its virtues. Fifth, although the source of the scripture cited in the Chambeop was not clearly stated, the 10 Bodhisattva statues in Hwaeom(華嚴), from Volume 1 to Volume 10, were the object of worship, indicating that the thoughts of Hwaeomgyeong(華嚴經)and other Buddhist scriptures were incorporated throughout. Through this practice,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typical popular prayer.
종교의 구성요건 가운데 의례는 그 종교가 표방하는 교리와 함께 종교를 지탱하는 양 날개라 할 것이다. 불교는 여러 종교 가운데 매우 정련된 의례를 지닌 종교임에분명하다. 불교도들은 각종 의례를 함께하면서 불교도의 한 사람으로서 믿음과 소속감을 지니며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종교의 많은 의례 가운데 본 논문에서 채택한 기도는 모든 종교인의 종교를 향한첫걸음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기도의례 가운데 ‘자비도량참법’을 통해기도의례의 전형을 살펴보았다. 기도의 핵심은 ‘자력과 타력의 조화로’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불보살의 근본 서원력과 고난을 극복하겠다는 기도자의 간절한 의지가 합해져서 결실을 맺는 것이다. 그것이 기도의 성취이고 기도의 특성이다. 기도의 마음은 귀의하고 예배하며, 공양하고 찬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고찰중심인 자비도량참법은 몇 가지의 구성상의 특성을 띤다.
첫째, ①讚→②入懺→③本懺→④讚→⑤出懺→⑥讚→⑦擧讚의 순서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반복되는 세 가지의 찬과 거찬은 모두 다른 독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둘째, 도입부의 讚에는 반드시 미륵불과 과거칠불께 예를 올린다.
셋째, 예를 올리는 부처님은 대체로 28불에서 10불에 이르기까지 일정하지 않지만, 10권 전체에 걸쳐 미륵불과 석가모니불은 먼저 칭명된다. 또 보살은 주로 두 분에서 네 분께 예를 올리지만, 마지막에는 반드시 관세음보살로 끝맺는다.
넷째, 각권에는 제목을 붙여 총38개의 단락으로 차례대로 참회하고, 마지막에 그공덕을 회향하고 부촉하는 내용으로 이 참법은 끝난다.
다섯째, 참법에 인용된 경론의 출처는 분명히 밝히지 않았으나 1권에서 10권에이르기까지 화엄10地의 보살들이 귀의예경의 대상이 된 것을 보면, 화엄경을 비롯한 諸經의 사상이 전체에 걸쳐 무르녹아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 참법을 통해대중기도의 전형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