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근대 동서문화의 충돌과 민족주의 불교의 발현
저자
김진무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3-528(3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중국 ‘근대’의 시기를 보편적인 학계의 계정에 따라 아편전쟁(1840)으로부터 중국인민공화국의 성립(1949) 전까지로 설정하였다. 淸末부터 중화민국의 성립과 대만 이주로 이어지는 이 시기의 중국은 서구 열강들의 중국 침탈로부터 국가의 내란, 중일전쟁, 이념에 의한 내분 등 내우외환의 정치적, 사회적인 혼란과 사상적으로는 西學의 전래에 따른 문화적 충격으로 극심한 혼돈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지식인들, 특히 불교계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대하여 ‘근대불교의 태동: 楊文會의 민족주의 불교’, ‘근대의 儒佛融合과 佛敎護國論’, ‘불교의 근대교육과 人間佛敎’의 네 분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흔히 ‘중국 근대불교의 아버지’라고 하는 칭해지는 楊文會의 근대불교에 대한 공헌은 대체로 불교전적의 刻印과 보급을 담당하는 ‘金陵刻經處’의 설립과 운영, 金陵刻經處의 내부에 개설하여 불교 敎義에 대한 체계적인 강론을 담당하였던 ‘祗洹精舍’와 그의 死後 제자인 歐陽竟無에 의하여 설립된 ‘支那內學院’, 그리고 불교의 심화연구를 담당하였던 ‘佛學研究會’, 마지막으로 다양한 국제교류의 실행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楊文會의 불교사상의 특징은 바로 大乘起信論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발생한 역대의 모든 불교사상을 융합하는 것이라고 하겠는데, 이로부터 楊文會는 철저히 ‘민족주의’적인 불교를 지향했음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이러한 楊文會의 민족주의적 불교는 당시 지식인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결국 儒佛融合으로부터 佛敎護國論으로 전개된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蔡元培는 1900년에 「佛敎護國論」이라는 글을 발표하는데, 여기에서는 儒佛融合으로부터 護國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은 오직 佛敎라는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佛敎護國論은 당시의 지식인들의 기본적인 사유의 틀이었으며, 이를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었던 이들이 바로 新儒學者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新儒家에서의 儒佛融合을 대체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찾았다. 첫째는 불교를 통하여 儒家 사상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삼았다는 점이고, 둘째는 儒家에서 불교의 敎義를 흡수했다는 점, 셋째는 新儒学에서 불교의 唯識學을 흡수하였다는 점이다. 중국의 불교에 있어서 근대교육 역시 楊文會와 깊은 관련이 있다. 楊文會는 祇園精舍를 세워 전문적으로 불교를 강의했지만, 비용의 문제로 2년만에 문을 닫는다. 사실상 중국불교에 있어서 국가로부터 인가를 받은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바로 楊文會의 제자인 歐陽竟無가 세운 支那內學院이라고 하겠다. 지나내학원은 1922년 설립되어 1953년 閉院하기까지 근대로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중국불교학의 한 축을 담당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그 意義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지나내학원은 국가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를 받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이다. 둘째, 지나내학원이 배출한 인재는 당시 중국 불교학계를 주도하였으며, 그들의 후예가 현재에도 여전히 불교학계를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지나내학원은 금릉각경처와 별도로 刻經을 하여 大藏經을 완간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이외에 지나내학원이 수행한 업적은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가지를 논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바로 근대시기에 중국불교학을 부흥시켰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 근대불교의 교육과 관련해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정책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廟産興學 운동’이다. ‘廟産興學 운동’은 ‘廟産’ 즉 불교의 사찰이나 도교의 도관 등의 재산을 이용하여 근대식 교육을 일으키자는 운동으로 洋務派의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하나인 張之洞이 1898년 3월에 유명한 勸學篇을 上奏함으로써 발생한 정책이다. 그러나 그 실시과정에서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사찰의 재산을 탈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이에 대한 僧家의 반발로서 오히려 불교계의 근대교육이 실현되는 점이 보인다. 그 가운데 특히 僧家에서 廟産興學에 대한 자구책으로 세운 僧學堂(佛學院)은 이후 僧家의 근대교육을 실현하는 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僧學堂 출신의 승려들이 近現代의 중국불교를 이끌었다고 하겠다. 또한 僧學堂의 교육에서 두드러진 경향은 바로 太虛와 印順法師가 창도한 ‘人間佛敎’의 제창이었고, 이러한 人間佛敎의 경향은 현재에도 여전히 中華佛敎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modern period of China starts from the Opium War (1840) and end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 according to general academic annals. In this context, the study explores the activities of intellectuals, especially in Buddhist circles in the following areas: the beginning of modern Buddhism, Yang Wen-hui’s nationalistic Buddhism the combin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national protection Buddhism in modern times; and modern Buddhist education and humanistic Buddhism. The distinctive idea of Yang Wen-huicalled a father of modern Chinese Buddhism is to follow nationalistic Buddhism. His nationalistic Buddhis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n intellectuals and they developed fundamental frames of thought for them,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national protection Buddhism. In Chinese Buddhism, modern education has a close relation to Yang Wen-hui. The first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received state approval is ‘Zhi-na-nei-xue-yuan’ established by Ouyang Jingwu, a disciple of Yang Wen-hui. Established in 1922, the school held a prominent position in Buddhist stud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a until the closing down in 1953. Regarding education of modern Chinese Buddhism, the important strategy that should never be missed out is a movement called ‘Miao-chan-xing-xue’ that tried to organize modern educational works using assets of Buddhist temples or Taoist temples. However, during its development process, the strategy went to the wrong direction that is takingassets from temples, damaging the original purpose. Modern education became partly settled by the Buddhist circles which resisted the situation. As an alternative plan, the Buddhist academy, Fo-xue-tang, was established and played a role in developing modern education, and monks from the academy led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Buddhism.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academy is to advocate humanistic Buddhism of Taixu and Yinshun, and the idea of humanistic Buddhism is still a mainstream in current Chinese Buddhism.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 KCI등재 |
2016-0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14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