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科試 箴銘頌의 형식과 문체적 특성 = Formalit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Jam·Myeong·Song(箴銘頌) of State Examination
저자
황만기 (안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9-196(3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state examination was a test to find the bes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Jam(箴)·Myeong(銘)·Song(頌) were part of the subjects for the exam, and they were regarded as important for a short time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but soon became unpopular. Yet, since the middle era of Joseon, they had established themselves as deciding factor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becoming important again. Jam (箴) in the state exam was usually in the form of GwanJam (官箴), and consisted of the contents alerting and encouraging a king. Myeong (銘) had the both aspects of being wary of a king and blessing him. Song (頌) was mainly about a eulogy of a king. Jam(箴)·Myeong(銘)·Song(頌) of the state exam had their own forms and features,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e existence of a preface, a fixed form of rhythm, hakseul (鶴膝), and etc. The preface of Jam·Myeong·Song(箴銘頌) played the role·of the guidance to overall writing, and rhythm maintained the frame of a poem with formality. Moreover, hakseul(鶴膝) made writing methods more diverse, as well as their rhyming words and contents. Hakseul (鶴膝) refers to writing two phrases with three or four characters and then one line under the phrases. It was named because the lines looked thin as the leg of a crane. In case of no hakseul, two phrases formed one stanza, but when there was hakseul, three phrases including it completed one stanza. 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e third phrases usually had the same rhym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While when there was no hakseul, two phrases made one stanza and created the same rhyme with the even phrase of the next stanza, the phrases themselves had rhymes when there was hakseul. However, the formal features of each poetry style had nothing to do with the exam results, which were determined by an applicant's writing ability. Myeong (銘) had the largest number of the existing test papers in this study, followed by Song(頌) and Jam(箴) in that order.
더보기科擧는 인재선발시험이다. 箴·銘·頌은 과거시험과목의 하나인데, 조선 초기에 잠깐 빛을 발하다가 비인기과목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당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로 문과 전시시험에서 등위를 결정하는 과목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면서 과시에서 등한시 할 수 없는 과목의 일부가 되었다. 科試에서의 箴은 주로 官箴의 형태로 지어졌으며, 군왕을 경계하고 권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銘은 군왕을 경계하는 측면과 송축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頌은 군왕에 대한 송축이 글의 주된 내용이다. 科試에서의 箴·銘·頌이 나름의 형식과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序文의 有無, 운율의 정형성, 鶴膝의 有無 등으로 나누어진다. 箴銘頌의 서문은 전체 글쓰기의 가이드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운율은 각각의 정형성을 지니면서 운문의 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鶴膝의 유무가 글쓰기 방식을 이채롭게 할 뿐만 아니라, 운자나 내용상에 있어서도 다채로운 양상을 띠고 있었다. 鶴膝이란 먼저 3언이나 4언으로 두 구를 쓰고 그 아래 한가운데에 한 줄을 쓰는 경우를 말하는데, 학의 다리처럼 가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학슬이 없는 경우는 두 구가 한 연을 이루었으나, 학슬이 있는 경우는 학슬까지 합쳐 3구가 하나의 연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2구와 3구가 동운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학슬이 없는 경우는 두 구가 하나의 연을 이루어 다음 연의 짝수구와 서로 동운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 학슬이 있는 경우는 구 자체에 운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각 試體의 형식적 특징이 시험성적과는 무관하고, 시험성적은 응시자의 제술능력의 여하에 따라 결정되었다. 본고에서 다룬 箴銘頌 중에서 실존하는 試卷은 銘의 숫자가 가장 많고, 頌이 두 번째, 그리고 마지막이 箴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1 | 1.49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