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주도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 Direction of Reorganization in Legal Systemfor Regional Orient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저자
윤종민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7(3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of national survival that can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region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the collapse of the metropolitan area caused by it, beyond the level of realizing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t the regional level.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played a role in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future industries in the region. However, today, it i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that promotes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 by creating high-quality jobs in the region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by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population decline that the region is facing so that individual regions can develop autonomously.
In order to promot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uitable for the changed times and environment, it is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to prepare the legal system basis so that the state and each local government can jointly establish and promot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The current legal system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has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oriented policy promotion system, fragmentary regulations on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s a means of solving complex problems in the local community, and so needs to be improved progressively.
In reorganizing the legal system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t is desirable to enact a new independent law rather than partially amending the current related laws. In enacting an independent law, a legislative bill that can systematically reflect the following matters should be prepared that regional-oriented transformation of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promotion system, securing financial means to support the continuous and stable implementation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preparing a support system to rapidly expand the region’s ow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base and capacity, and operation system of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professional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etc.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은 국가의 과학기술 혁신을 단순히 지역 단위에서 실현하는 것을 넘어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의 소멸과 이로 인해 초래될 수도권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중요한 국가 존립의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즉 오늘날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은 과거와 같이 과학기술 진흥을 통해 지역개발을 촉진하고 지역의 미래 산업을 창출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수단을 넘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지역의 고급 일자리를 만들고 나아가 지역이 당면한 인구감소 등의 사회문제들을 적극 해결하여 개별 지역이 자생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국가정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은 중앙정부가 시행하는 국가과학기술 정책의 한 분야 내지 부속 정책으로 취급하여 추진되어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고, 각 지역이 중심이 되고 개별 지역의 산업 및 사회적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독립적인 정책으로 수립하여 추진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나 이를 위한 거버넌스 개편 등의 시스템 정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변화된 시대와 환경에 적합한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지역주도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수 있는 법제도 기반을 정비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행 지역과학기술 혁신법제는 중앙정부 중심의 정책추진체계, 지역과학기술 혁신에 관한 단편적인 규정, 지역사회의 복합적인 문제해결수단으로서의 과학기술 정책추진의 곤란성 등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를 발전적으로 새롭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지역과학기술 혁신법제를 정비함에 있어서는 현행 관련 법률을 부분적으로 개정하기 보다는 새로운 독립 법률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 법률을 제정함에 있어서는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 추진체계의 지역중심 전환,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수단의 확보, 지역의 자체적인 과학기술 기반과 역량을 조속히 확충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전문적인 수립과 집행을 담당하는 전담조직과 기구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입법 추진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5-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3 | 0.86 | 1.122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