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ployability,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저자
박윤희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3-313(11쪽)
제공처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코칭의 확산에 발맞추어 대학생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의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있는 4년제 대학교에서 진로관련 교양 선택과목을 수강한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356명의 최종자료를 회귀분석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은 연구결과이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하위요인들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장벽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장벽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자기다움, 커뮤니케이션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다움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입직에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진로발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내·외적인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게 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따라서 대학교육 현장에서는 대학생의 코칭역량 강화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람직한 진로발달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ployability, and career barriers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ies in lin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achi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 graders who took career-related liberal arts elective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fter the survey, the final data of 356 people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Self-worth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but communica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is a major variable that determines their appropriate career path, gives them confidence in their employment, and overcomes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Therefore,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desirable career paths by strengthening their coaching capabilities. Finally, a follow-up study that can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ggest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