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대부와 기녀의 시조 수창에 대한 고찰-玉所 權燮과 可憐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Review of Poetry Exchange Between the Nobility and Ginyeo -Focused on Okso Kwon Seop and Garyun-
저자
이권희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1-142(2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meeting and companionship of Okso Kwon Seop(1671∼1759) and Garyeon, a ginyeo from Hamheung Province is the most particular case among the examples of friendship between the nobility and gyneos who left sijo works during the process. You could find no prior precedent in the related field in that they met each other at the old age of 87 and exchanged 23 pieces of poetry in total at the short meeting and during the retrospection. Okso was a cultured man with wide knowledge and Garyeon was well known for her high spirit enough to be called as ‘a chivalrous woman.’ The moment the two people met each other, both felt consciousness of kind from each other and formed a short but profound relationship accompanied by the ‘loneliness’ of old age and memories of old days.
What draws attention from the meeting of the two is that they associated with each other, exchanging their sijo works, and Okso translated them into Chinese through ‘self-translation’ then those works have descended to our day. Okso’s Chinese translation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he translated his own shijos into Chinese poems in person. If the existing type is regarded as ‘the Chinese translation of sijo,’ Okso’s case can be regarded as ‘the self-translation of sijo,’ the Chinese translation of his own sijo.
<Bunnopagagok 15 Chapters> is the best of sijos exchanged between Okso and Garyeon. Through a series of 15 sijos, Garyeon expressed her love earnestly from the first meeting with Okso and falling in love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love and the feelings of climax of their love, the destiny of a ginyeo who had to prepare for separation, the heartbreaking moment of their parting and so on.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ime flow, She heightens narrative effect by catching the specific scene or situation and expressing the feelings she had for Okso concretely. When you examine the sijos between Okso and Garyeon, it is noticeabl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feelings and expressions of the two. Garyeon illustrates the woman yearning for her love realistically through pathetic and direct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ime flow. On the other hand, Okso looks as if he were composed and detached.
Okso composed 3 pieces of sijo looking back Garyeon later, and he translated them into Chinese as well. First of all, he expressed his love and after that he translated them again into Chinese poems with Changdangu. Self-translation allows the author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work freely as it is his or her own work and the author has a right to use language exceptionally to a certain extent. In that sense, it is a noteworthy literary phenomenon.
This way that Okso and Garyeon met each other in their old age, expressed their feelings earnestly and exchanged sijos constantly and the fact that Okso translated all of them into Chinese poetry so that the precious data could be left to us can be the very distinguishing and noticeable cynosure in the history of Korean sijo literature.
옥소 권섭(1671~1759)과 함흥의 기녀 가련의 만남과 교유는 사대부와 기녀가 교유하고, 그 과정에서 시조 작품을 남겨 놓은 예 중에서 가장 특이한 경우이다. 이들의 만남은 둘 다 87세인 노경에 이루어졌고, 짧은 만남과 회상의 기간 동안 총 23 수의 작품을 지어 서로 수창하였다는 점은 관련 분야에서 유례를 찾기 어렵다. 옥소는 박물지적인 문화인이었고, 가련은 기녀 중에서도 ‘여협’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의기로 이름있었다. 둘은 만나자마자 서로간에 ‘동류의식’을 느꼈고, 노년의 ‘외로움’과 지난 날의 추억이 한데 어우러져 짧지만 깊은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둘의 만남에서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이들이 시조를 서로 주고받으며 어울렸다는 점이고, 이를 옥소가 ‘자기번역’을 통해 한역하였으며, 이 한역 작품이 지금까지 전하여 소중한 자료로 전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옥소의 시조 한역은 자신이 지은 시조를 자신이 직접 한시로 번역했다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유형이 ‘시조의 한시화’라고 규정한다면 옥소는 자신이 지은 시조의 한시화라는 ‘시조의 자기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옥소와 가련의 교유 중에 지은 시조의 백미는 「번노파가곡십오장」이다. 여기에서 가련은 15수의 연작 시조를 통해 옥소와의 만남에서부터 사랑을 시작하고 이어가는 과정과 사랑의 절정을 이룬 느낌, 이별을 준비해야 만하는 기녀로서의 숙명, 이별할 때의 애끓는 심정 등을 곡진하게 표현했다.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성과 더불어 옥소에 대한 감정을 특정 장면이나 상황을 포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서사적 효과를 더하고 있다. 옥소와 가련이 주고받은 시조를 살펴보면 두 사람의 감정과 표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의 모습을 애절하고 직설적인 표현을 통하여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지만, 옥소는 짐짓 태연하고 초연한 듯하다.
옥소는 가련을 회상하면서 3수의 시조를 지었는데, 이 또한 한역하였다. 우선 시조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나서 이를 다시 장단구의 한시로 번역한 것이다. 자기번역은 자신의 작품인 만큼 마음대로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언어를 파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해야할 문학적 현상인 것이다.
이처럼 옥소와 가련이 노년에 만나 서로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였고, 그 가운데에서 시조를 지었다는 점과 옥소가 이 시조들을 모두 한역하여 소중한 자료를 남겨 놓았다는 사실은 한국 시조문학사상 매우 특징적이고 주목해야 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