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장보고 관련 문화콘텐츠 자료 연구 = A Study on Jang Bogo by Cultural Contents Dat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61-482(2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research is for a review on Jang Bogo, the King of the Sea, as a future oriented implication as well as his past achievements by examining 'How people describe Jang Bogo?' in various cultural contents source at the multimedia era.
Therefore, we will look into some appropriate methods of one-source multi-use(OSMU)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and investigation of cultural contents about Jang Bogo.
This study handles diverse cultural contents matters based upon Jang Bogo, such as literature, play, musical, documentary, animation, and games.
The approach method on this object can be overcome by the advantage of mutual effect of mass-communication's popularity, which the theoretical approach on Jang Bogo doesn't have.
It has an advantage that people can identify points of various aspects on Jang Bogo in a comprehensive way.
From now on, it is predicted that the cultural contents will change more dynamically by the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IT).
Especially, it is the general trend that the rol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will be bigger in information industry regarding the internet.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is emphasized.
The concerns needed from this when we look into cultural contents about Jang Bogo are the group training system for content producers and distribution specialists, the construction of a portal site for network boost between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nd the information supply service for new entries of cultural contents, with an effective way.
In addition, we have to find a way to concretize the historic figure from more essential level rather than to remain as a P.R.(public relations) effect by a microscopic approach on Jang Bogo.
본 연구는 다매체 시대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자료 속에서 ‘장보고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라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해상왕 장보고에 대한 과거 업적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 의미로서의 장보고에 대한 재조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장보고에 대한 문화콘텐츠 자료의 현황과 검토를 통해 원소스 멀티유즈(OSMU ; one source multi-use)의 적절한 효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본 연구는 문학작품, 연극, 뮤지컬,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게임 등 장보고가 중심이 되어 다양하게 문화콘텐츠화된 것들을 대상으로 삼는다. 이러한 대상에 대한 접근방법은 장보고에 대한 이론적 접근만으로 획득되지 못하는 대중적 인지도의 약점을 매스커뮤니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상호작용성의 이로움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장보고에 대한 여러 측면의 사항을 세밀한 부분까지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고 하겠다. 문화콘텐츠는 향후 디지털 정보기술(IT)에 의해 더욱 역동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터넷과 관련된 정보산업 분야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역할과 비중이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이런 맥락에서 콘텐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이상에서 장보고와 관련된 문화콘텐츠를 검토해 보았을 때 요구되는 사항은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전문가 집단 양성, 인적물적 자원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포털 사이트 구축, 문화콘텐츠의 신규 진입자들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효과적으로 구사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장보고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접근을 통해 홍보의 효과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보다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역사 인물을 형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3 | 0.96 | 1.437 | 0.4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