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관련 내용 분석 = An Analytic Study of Occupation Related Content in High School Textbooks
This study aims to analyze occupational distributions and recognitions in textbooks tounderstand how textbooks describe occupation related content and suggest tasks forimprovement in developing and using textbooks in order for juveniles to cultivate a properoccupational view and acquirements in a school field.
To analyze occupation-suggested content in textbooks, analytic area and a frame for textbookswere develop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a professional review. Curricula of 10 high schoolregular subjects were analyzed to select analytic objects, and 7 subjects, 16 kinds of textbooksthat presented content of ‘Work-Occupation Related Understanding & Selection’ on the character,aim and content of a curriculum were selected. Subjects selected contained Social Studies(3kinds), Economics(3 kinds), Law & Politics(1 kind), Society・Culture(3 kinds), Life & Ethics(2kinds), Technology & Home Economics(3 kinds) and Career & Vocation(1 kind). To understandthe content of each subject and ensure objectivity, this study organized 6 specialists consisted of4 high school teachers and 2 professors having experience in textbook analysis with specialtyand major for textbook content analysis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ly, in textbooks, the number of content suggesting occupations was 2,950, and diversityand description of occupational presentation tended not to correspond to the distribution of actualworkers. Secondly, the kinds of occupations suggested in textbooks are 1,140, taking up about10% of occupations suggested now in our nation's vocational dictionary. Thirdly, there wasdifference in recognition on occupations suggested in textbooks according to an occupationalcluster. Relatively, porofessions received more positive views whereas simple laborers receivedmore negative descriptions. Particularly, descriptions or cases to reinforce a distorted idea and bias against an occupation(employment) for students were foun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anauthor thus improvements are needed.
This study gave suggestions for policies, compilations and follow-up researches based ontextbook analysis findings to improve textbooks for cultivating juveniles’ proper occupationalview and acquirements.
이 연구는 직업에 관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과서 상에 직업 분포와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들이 올바른 직업관과 직업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교과서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과서의 직업 제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교과서 분석 영역과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분석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보통교과 10개 교과목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일-직업 관련 이해 및 선택’ 등의 내용을 제시한 7개 교과, 16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과는 사회(3종), 경제(3종), 법과 정치(1종), 사회・문화(3종), 생활과 윤리(2종), 기술・가정(3종),진로와 직업(1종)이다. 각 교과의 내용 이해와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전문성 및 전공을 고려하여 교과서 분석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4명과 대학 교수 2명 등 총 6명을 교과서 내용 분석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직업 제시 내용은 총 2,950건이며, 직업 제시의 다양성 및 묘사가 실제 직업 종사자 분포와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의 종류는 1,140개로 현재 우리나라 직업사전에 제시된직업의 10%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직업군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직의 경우 긍정적 기술이, 단순 노무직은 상대적으로 부정적 기술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저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학생들에게 직업(고용)에 대해 왜곡된 관념을 강화하는 기술도 나타나 직업에 대한 편향을 강화하는 사례도 발견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청소년의 올바른 직업관과 직업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서 개선을 위하여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편찬 개선, 후속 연구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6 | 2.06 | 2.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1 | 2.29 | 2.564 | 0.3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