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등(燈)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91(41쪽)
제공처
등(燈)은 불을 밝히는 도구이다. 어둠을 밝히는 일 뿐 아니라 일상의 통과의례에서 적극 활용되어왔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등불에는 어둠 을 밝히는 일 외에도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등불을 밝히는 연등 (燃燈)은 탐욕과 욕심,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 젖은 자신의 무명(無 明)을 지혜로 밝힌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등불을 밝히는 전통은 이러한 상징성 아래에 정성스럽게 이루어져 왔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122호 연등회는 1,200년 역사를 이어오는 ‘등 (燈)’으로 대표되는 축제이다. 연등회가 주목받으면서 연등회를 벤치 마킹한 다양한 등관련 축제, 혹은 등을 소재로 한 축제들이 곳곳에서 마련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축제 현장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전통등 의 역사와 현주소를 진단하고, 전통등 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등을 주제로 하는 축제, 등을 소재로 하는 축제, 소망등을 연계한 축 제를 통해 전통등이 축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 면서 전통 등문화의 활용에 관해서 궁중문화콘텐츠, 공예문화콘텐츠, 교육문화콘텐츠, 종교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특히 궁중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문화재청의 ‘살아 숨쉬는 5대궁 사업’과 실록에 전하는 4월초파일 기록을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육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노년층의 전통등 만들기 사업을 역설하였다. 공예문화콘텐츠 분야에 서는 전통등 장인을 제대로 대우하며 육성할 것을 제시하였고, 종교문 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종교 기념일마다 전통등 만들기가 다채롭게 진 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통등 만들기의 전과정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총체적으로 집합된 종합예술이다. 닥종이가 활용되고 천연 염색이 뒤따르고, 오방색으로 의 채색이 이루어지는 전 과정이 친환졍적이면서 한국적 고유성과 미 의식을 보여주는 과정이다. 손수 등을 만들고 만든 등을 걸어놓고 불 을 밝힌뒤 즐기는 관등문화를 통해 잃어버린 신명을 회복하는 것이 오늘의 과제이다.
더보기Not only were lanterns a tool used to light up darkness, but they were also widely used in ceremonial rites of passage and festivals. Lighting a lantern is called yeon-deung. Yeon-deung bear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brightening one’s self tainted with the Three Poisons—greed, anger and ignorance. Under the symbolism, the tradition of lighting a lantern has continue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2, Yeong Deung Hoe is the most renowned lantern festival with 1,300 years of history. There are today many lantern-related festivals replicating Yeon Deung Hoe as it has gained public attention. The thesis initially places its focus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lanterns. It comprehensively lists for the first time the types and roles of traditional lanterns from Silla Kingdom up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rough written records. The thesis then examines the OSMU (One Source Multi Use) of traditional lanterns used in Yeon Deung Hoe through various festivals of today. Through the festivals in which a lantern the motif, the material and the medium of expressing people’s wishes, it explores how traditional lanterns are utilized. The thesis eventually suggests several way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lantern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s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craft culture content, education culture content and religion culture content. In the part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the thesis proposes to link the record on Buddha’s Birthday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Five Palaces Project. In the part of education culture content, it advocates a project employing the elderly in making traditional lanterns under the context of today’s aging society. In the part of craft culture content, it advises cultivating grounds for both today’s and tomorrow’s traditional lantern artists with fair treatment and due respect. In religion culture content, it emphasized the idea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during religious holidays. Every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is a composite art in which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re comprehensively collected. The whole process in which Dakjongyi (a paper made from the bark of a paper mulberry) is used, natural dye is followed, and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re employed for coloration is not just environmental-friendly but also authentic and aesthetic in Korean way. The challenge faced today is to restore the lost “festivity” once prevalent in and among Koreans through the lantern cul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