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사찰의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 Utilization Strategies for Cultural Heritage Content of Traditional Temples: Focused on Gangjin Baekryuns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65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20(36쪽)
제공처
2000년을 기점으로 문화유산 활용 기본방안이 마련되면서 문화유산 활용에 대한 개념 강화와 문화유산 콘텐츠의 제작이 활성화되었다. 2019년 찾아온 팬데믹은 공간과 실물이 필요한 문화유산 활용 산업 위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였으나 오히려 첨단기술을 활용한 AR, VR 등 디지털 콘텐츠로의 혁신적인 전환을 촉진하였다.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콘텐츠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전통 사찰, 정부, 공공기관, 학교 등이 주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는 유서깊은 전통 사찰로 『만덕사지』를 비롯하여 중수기 및 역사 기록물,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제작된 문화유산이 현전하고 있다. 서지학, 미술사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강진 백련사에 대해 활발한 연구성과들을 보여주었으나 아쉽게도 고품질의 문화 콘텐츠가 제작되지 못했다. 현재 국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문화유산 콘텐츠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에서 중장기 개발 계획과 문제점들을 보완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강진 백련사에서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서 현재 제작된 콘텐츠와 함께 보완 사항들을 분석해 보았다.
강진 백련사는 활발한 연구성과에 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문화원형 요소 데이터베이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진단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기획이 부재하고 각 콘텐츠 제작부터 정부, 공공기관 등과의 정책 연결성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된다. 이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콘텐츠의 양적, 질적 증가에 대한 큰 장애물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의 지리적 약점을 보완하고 문화원형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내실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장기적인 콘텐츠 기획과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이벤트들을 적극 시도해야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year 200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for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cultural heritage content has been activated.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was expected to impact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ndustry, which requires space and physical elements, it instead promoted an innovative transition to digital content such as AR and VR through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is also facing a new turning point led by traditional temples,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following this trend of change.
Gangjin Baekryunsa, one of the top temples in Korea, houses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oduc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cluding “History of Mandeoksa Temple”. Althoug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bibliography, art history, and history have shown active research results on Gangjin Baekryunsa, high-quality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produced. Despite the development of Korea's content industry, various attempts a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mid-to-long term development plans and rectify problems, the lack of high-quality digital content at Gangjin Baekryunsa remains. This issue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currently produced content.
It was diagnosed that Gangjin Baekryunsa, despite its active research results, has low accessibility to the database of cultural prototype elements needed to produce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lacks continuous manage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long-term planning and a weak connection with content production,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is acts as a major obstacle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of content related to Gangjin Baekryunsa. In order to overcome the geographical disadvantages of Gangjin Baekryunsa and maximize the strengths of cultural prototyp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value of digital cultural content. In addition, active attempts at long-term content planning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d events that can attract people must be made to further promot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