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문헌해석방법과 필롤로지philology = Tasan Cheong Yagyong’s Philological Stud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3(57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근대 이전의 학문은 필롤로지의 연구방법을 발달시켜 인간과 사회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축적하여 왔다. 문헌학적 연구방법이란 문자학•음운학•훈고학 등의 소학小學과 학문계보학인 목록학目錄學을 포괄한다. 다만 근대 이전의 지식인 가운데 문헌분석의 방법을 체계화시켜 활용한 예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런데 다산 정약용은 필롤로지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간학의 새로운 원리principle를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다산의 문헌연구 방법은 반드시 모기령 이후 청나라 고증학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다. 그 방법은 훈고학의 발달사와 조선 경학의 전개 과정에서 배태된 것이기도 했다.
다산은『고금운회거요古今韻會擧要』와 서현본徐鉉本 『설문해자說文解字』를 직접 열람하면서 파독破讀과 통가通假의 현상에 주목했다. 특히 통가의 현상을 해성諧聲이라고 부르면서 해성의 원리에 따라 문헌의 자훈字訓을 검토했다. 그리고 『시경강의詩經講義』 및 『보유補遺』『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및『대동수경大東水經』 『경세유표經世遺表』 「장인영국도匠人營國圖」에서는 그가 말한 자학의 원리를 기초로 경전의 의미를 결정하거나 역사지리학의 관념을 수립하거나 도시계획이론을 정립했다.
㈀ 다산은 정조의 신해년 반급頒給 『시경강의』에 조대條對했던 내용을 정리하고 『시경강의보유詩經講義補遺』를 저술하면서 ‘風’ 개념을 논하고『시경』의 미자美刺 양상을 검토했다. 이 때 ‘風’을 ‘風刺’와 ‘諷諭’로 정의하여 거성去聲으로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사용하여 이것을 근거로 『시경』을 ‘大人’이 ‘諷人主’를 행한 간서諫書라는 독특한 결론을 도출했다. 다만 시편詩篇 해석에서는 삼가시三家詩에서 풍자시로 규정된 시에 대하여만 이 원리를 적용했다. 다산이 『시경』을 간서로 보고 국풍의 풍간의 주체를 ‘大人’으로 명백히 한 점은 사대부의 실천적 역할을 강조하는 책무의식을 잘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 다산은 『아방강역고』에서 『사기집해史記集解』 인용의 장안張晏의 설에서 말한 열수洌水를 한강漢江 습수濕水를 남한강南漢江 산수汕水를 북한강北漢江으로 비정하는 한편 춘천春川을 낙랑의 남부지부가 있었던 곳으로 간주했다. 산수의 ‘汕’이 ‘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산수를 북한강으로 보고 중국문헌에 나오는 소명昭明을 소양昭陽과 같은 뜻으로 보아 그와 같이 결론지은 것이다. 또한 다산은 『대동수경 』에서 중국 바깥의 조선에서는 강의 이름에 ‘江’과 ‘河’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여 문헌들을 조사하여 조선의 강들에 ‘水’를 붙이는 명명命名을 행하였다. 다산은 조선 반도가 고조선과 기자조선 이래로 한민족의 주 활동 무대였음을 주장하기 위해서 독특한 자학字學을 활용한 것이다.
㈂ 다산은 『경세유표 』의 「장인영국도」에서 『주례 』 「지관地官」 ‘소사도小司徒’의 육향六鄕을 국도國都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때 다산은 ‘鄕’을 ‘嚮’의 고자古字 ‘嚮’은 ‘向’과 동자仝字로 보아 육향을 궁성 내 거주구분의 개념으로 전용한 것이다. 다산의 도시계획이론은 「고공기」의 ‘장인영국’ 제도를 근거로 도시계획의 이상을 피력한 이론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다산은 집중시제集中市制가 변화하여 시전市廛이 확대하고 있었던 현실을 반영 ...
Pre-modern scholarship has accumulated diverse interpretations about man and socie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hilological methodology. And Tasan Cheong Yagyong 17621836 developed his own philosophy of humanity through philological methodologies such as graphonomy, phonology, and exegetics i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lthough part of Tasan’s study was influenced by the new method of study supported by evidential scholarship of Qing dynasty, his academic achievement was an extension of the long tradition of exegetical study in Korea.
There are many examples that demonstrate Tasan’s detailed philologi¬cal stud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His works such as Explanation of the Book of Poetry 『詩經講義 』, Waterways of Korea 『大東水經 』, Design for Good Government 『經世遺表 』, Diagram on Constructing the Capital『匠人營國圖 』, and Historical Geography of Korea 『我邦疆域考 』, which range from governance, geography, and construction of a city to poems, were written as a result of his critical reading of clas¬sical literature with a philological approach. Tasan discovered from his analysis of the re-edited version of Gujin yunhui juyao 『古今韻會擧要 』 by Xióng Zhōng 熊忠 and the Explanation of Writings and Letters 『說文解字 』 with annotations by Xióng Zhōng 徐鉉 that one of the prin¬ciples in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through “interchange¬able borrowing” tōngjiǎ. Tasan adopted this principle as a fundamental premise for his analysis of ancient documents, and he presented a new explanation for the origins of the names of villages, rivers, and places in Korea.
Based on phonetic studies, Tasan argued in his Supplement to the Ex¬planation of the Book of Poetry 『詩經講義補遺 』 that the letter fēng 風 should be read as qùshēng 去聲, defining fēng as satire 風刺 and alle¬gory, fěngyù 諷諭, and as a result, he suggested that the Book of Poetry was written by a nobleman in order to present it to the king in ancient times. Tasan’s explan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Zhu Xi, who had argued that the creators of the poems were ordinary people and that they sang of their desires and pleasures in their daily life. As a result, Tasan extended the role of the literati to one of involvement in the entertain¬ment of common people.
Another example of Tasan’s philological study is his Historical Geog¬raphy of Korea 『我邦疆域考 』 in which he presented different explana¬tions for the origin of the names of rivers and ancient places in old docu¬ments. He corrected 洌水 to 漢江, 濕水 to 南漢江, and 汕水 to 北漢江, by cross-checking with ancient Chinese documents. In his Waterways of Korea, Tasan argued that the use of the characters hé 河 or jiāng 江 had only been allowed at the end of the names of rivers in China and that for the rivers in Korea, shuǐ 水 should have been adopted. His cor¬rection and clarification resulted in the demarcation of a clear territorial boundary between China and Korea. Based on his analysis and the cor¬rection of old documents, Tasan argued that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the territory of the Korean people since Old Joseon 108 .
From an analysis of an ancient record on construction and design, the Zhouli Kaogongji 『周禮考工記 』, Tasan deduced the basic layout of Old Joseon Seoul, and the details of residential sections in the palaces. Mod¬eling from the records of the Zhouli enabled Tasan to argue that the six partitions 六鄕 should be adopted for the residential sector of the capi¬tal. Furthermore, he suggested that Seoul should build another market 市廛 to meet the needs of the ever-expanding city, although this idea did not reflect the apparent practical demands of the time.
In comparison with his Chinese counterparts in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we need to more closely examine whether Tasan’s achieve¬ment in his exegetical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55 | 0.94 | 0.8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