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 구석기문화의 조사와 연구 성과 - 1986~2016년 = Review on Paleolithic Survey and Research in Honam Region since 1986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year is the 30th anniversary of Paleolithic survey and research which have been initiated by Korean scholars since 1986 in Honam region. Review on survey result and research outcome seems to be well worth setting long-term prospect and a promising future of Paleolithic studies. Lists of sites, reports, articles, monographs were primarily completed and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total number of excavated sites and surface surveyed sites are 74 and 405 respectively. Moreover the volumes of excavation report and surface surveyed report account for 72 and 63 each. The total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are 84 and 17 separately.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master`s theses is 22. Finally, six monographies were publish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assessment can b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 From the last half of 1980s to the first half of 1990s was the “warming up” stage, The last half of 1990s to 2000s was the “vigorous” stage, and the 2010s is the “inactive” stage. Meanwhile, research trend is characterized a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excavated and surveyed sites was the major subject until 1990s. Since 2000,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many aspects such as chronological framework,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ypological, metrical and technical analysis of flaked tools, joint research with scientist, and publication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journals.

      더보기
      • 1 이헌종, "후기구석기시대 돌날제작기법에 관한 실험고고학적 접근 - 연질망치와 경질망치의 직접타격법 중심으로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24) : 5-35, 2015
      • 2 이헌종, "후기구석기시대 돌날석기문화 경질·연질망치제작기법의 고고학적 증거와 기술변화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27) : 63-88, 2016
      • 3 이형우, "화순지역의 구석기문화의 특성 -최근지표 채집된 유물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6 : 131-150, 2002
      • 4 이영철, "화순 사창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5 최미노, "화순 사창구석기유적 조사개보" 한국구석기학회 15 : 43-56, 2007
      • 6 유은정, "화순 도산유적 중기구석기시대 문화층의 찍개 연구 : 1·2 문화층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 7 최옥주, "화순 도산유적 중기구석기시대 문화층의 격지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 8 이기길, "화순 도산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2
      • 9 이융조, "화순 대전 후기 구석기문화 -배모양 석기와 집터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3 : 3-38, 1992
      • 10 이융조, "화순 대전 구석기시대 집터 복원"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992
      • 11 윤용현, "화순 대전 구석기 문화의 연구" 淸州大學校 大學院 1990
      • 12 김선주, "홍천 백이유적의 주먹대패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 13 호남고고학회, "호남지역의 구석기문화" 2001
      • 14 이헌종, "호남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문화의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호남고고학회 16 : 5-24, 2002
      • 15 은종선, "호남지역 구석기시대 유적 출토 망치석기 연구 -MIS 3~MIS 2 시기 유적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5
      • 16 은종선, "호남지역 구석기시대 망치돌연구 -MIS 3〜MIS 2 시기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78-111, 2016
      • 17 호남고고학회, "호남고속철도 일부 구간(광주-정읍간) 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1997
      • 18 한수영, "호남고속철도 건설부지 내 3-1공구 익산 서두리 유물산포지2 등 4개소 문화유적 발굴(시굴)조사 익산보삼리, 율동리 유물산포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10
      • 19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호남고고학 문헌목록"
      • 20 이기길, "호남 내륙지역의 구석기문화" 호남고고학회 14 : 27-50, 2001
      • 21 이형우, "호남 구석기 연구 -약사와 전망-" 호남고고학회 14-24, 2013
      • 22 이기길, "호남 구석기 도감"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6
      • 23 남도문화재연구원, "해남 신덕·관춘·동해지구 밭 기반 정비사업 지구 내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 2004
      • 24 최성락, "함평 장년리 당하산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1
      • 25 이헌종, "함평 장년리 당하산구석기유적의 문화적 성격" 한국구석기학회 2 : 1-15, 2000
      • 26 대한문화재연구원, "함평 2·3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실시설계용역 지표조사" 2009
      • 27 김은정, "한반도의 ‘아라야(荒屋)형새기개’ 기초 연구" 중앙문화재연구원 (7) : 1-41, 2010
      • 28 이혜연,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제 석기의 기술형태적 연구" 대한문화재연구원 2 : 4-23, 2010
      • 29 이영문, "한국고고학에서의 전남의 선사고고학" 한국문화사학회 1 : 213-235, 1994
      • 30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 31 이기길, "한국 전남 순천 죽내리 구석기유적" 호남고고학회 8 : 121-133, 1998
      • 32 이기길, "한국 서남부와 일본 큐슈의 후기구석기문화 비교 연구" 호남고고학회 25 : 5-43, 2007
      • 33 복민영, "한국 남서부지역 출토 주먹도끼 연구" 호남고고학회 49 : 5-41, 2015
      • 34 복민영, "한국 남서부지역 출토 주먹도끼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 35 이형우, "포인트형 석기의 기능적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후기구석기와 전환기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16집) : 1-24, 2007
      • 36 이형우, "침곡리 구석기 문화의 복원과 이해" 한국구석기학회 10 : 51-66, 2004
      • 37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의 슴베찌르개 연구 –제작기법, 형식, 크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3 (73): 5-30, 2011
      • 38 차미애, "진안 진그늘유적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의 공간 분포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 39 김은정, "진안 진그늘유적 슴베찌르개의 제작과 사용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53 : 4-25, 2016
      • 40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19 : 5-23, 2004
      • 41 황용훈, "죽산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보고, In 보성강·한탄강 유역 구석기유적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4
      • 42 최미노, "죽내리유적 구석기 1문화층의 붙는 석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3 : 25-40, 2001
      • 43 이기길, "제주도에서 보고된 좀돌날석기의 연구 -제작기법과 연관된 형태와 크기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70-99, 2015
      • 44 차상민, "절대연대를 통한 전북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의 편년 검토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결과와 유물군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 45 전주역사박물관, "전주문화유적분포지도" 2005
      • 46 국립전주박물관, "전주·완주 일부지역 유적지표조사보고" 1998
      • 47 한수영, "전주 중동 구석기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48 이형우, "전주 장동유적 Ⅰ" 전북문화재연구원 2009
      • 49 김규정, "전주 원장동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전북개발공사 2013
      • 50 이형우, "전주 사근리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06
      • 51 이형우, "전주 봉곡 구석기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52 이창승, "전북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석재 선택과사용" 호남문화재연구원 10 : 5-28, 2011
      • 53 송은영, "전북지역 후기구석기시대 격지석기 연구 : 출토양상과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 54 이창승, "전북지역 몸돌석기 연구 : 최근 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 55 이혜연, "전북지역 구석기시대 석기의 기술형태학적 특성 연구" 대한문화재연구원 3 : 4-21, 2012
      • 56 이형우, "전북 임실 구석기 문화 - 최근 확인된 지표조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19-44, 2009
      • 57 박성탄, "전북 고창 해안지역 신발견 구석기유적의 분포 및 성격"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1 : 84-94, 2009
      • 58 박성탄, "전북 고창 해안지역 신발견 구석기유적의 분포 및 성격" 대한문화재연구원 1 : 84-94, 2009
      • 59 정철환, "전라남도 무안군 피서리지역 후기 제4기 퇴적층에서 산출된 포자 화분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6 (26): 597-602, 2005
      • 60 김은정, "전남지역의 좀돌날몸돌 연구 : 1990년대 이후의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 61 박성탄, "전남지역 구석기유적 석기제작기법의변화와 다양성" 대한문화재연구원 3 : 22-36, 2012
      • 62 이헌종, "전남지역 구석기시대 여러면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징과 기능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19-44, 2013
      • 63 이기길, "전남지방 구석기시대 유적의 보존과활용" 한국구석기학회 2 : 66-82, 2000
      • 64 이기길, "전남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81 : 39-69, 1993
      • 65 이헌종, "전남 서해안 도서지역의 구석기시대석기문화와 주거 체계" 호남고고학회 14 : 51-80, 2001
      • 66 이영문, "전남 동부지역의 고고학적 특성"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3 : 1-31, 1991
      • 67 이기길, "장흥 신북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에 근거한 편년 -" 호남고고학회 29 : 5-24, 2008
      • 68 이기길, "장흥 신북구석기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8
      • 69 오병욱, "장흥 신북 후기구석기유적 새기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 70 안효성, "장수 침곡리 구석기유적의 석기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 71 이형우, "장수 침곡리 구석기유적" 전북대학교 박물관 2005
      • 72 군산대학교 박물관, "장수 오산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군산대학교 박물관 2006
      • 73 조선대학교 박물관, "장성군의 문화유적" 1999
      • 74 오대종, "장성 월정리유적Ⅱ" 호남고고학회 81-93, 2014
      • 75 박수현, "장성 월정리유적 Ⅱ" 호남문화재연구원 2016
      • 76 호남문화재연구원, "장성 동화 전자종합농공단지 조성공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5
      • 77 전북대학교 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 "임실섬진강 유역 구석기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8
      • 78 이기길, "임실 하가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79 정보현, "임실 하가 후기구석기유적의 돌날제작기법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 80 박영민, "임실 외향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5
      • 81 전북문화재연구원, "임실 00부대 이전사업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06
      • 82 이기길, "일본 도호쿠(東北)지방의 슴베찌르개의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3) : 7-30, 2014
      • 83 이형우, "익산지역의 구석기 유적: 지표채집 유물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12 : 7-46, 2000
      • 84 김미란, "익산쌍정리 구석기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2
      • 85 김선기, "익산 천동지구 시굴조사보고서 -2004년 봄마무리 경지정리예정지역" 원광대학교박물관 2006
      • 86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익산 율촌리 분구묘" 2002
      • 87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익산 영등동유적" 2000
      • 88 김건수, "익산 신막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2
      • 89 한수영, "익산 서두리2·보삼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90 이영철, "익산 다송리 상마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1
      • 91 이융조, "우산리 곡천고인돌"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8
      • 92 이융조, "우산리 곡천 선사유적"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8
      • 93 이융조, "우산리 곡천 구석기유적" 전남대학교 박물관 1990
      • 94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84-115, 2015
      • 95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인의 흑요석에 대한 전략적 활용에 대한 고찰" 역사문화학회 8 (8): 7-34, 2005
      • 96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44 (44): 5-22, 2004
      • 97 이혜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제 석기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 98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현생인류의 석기제작 복합인지체계 연구 – 정장리유적 접합석기를 중심으로 –" 한국상고사학회 67 (67): 5-24, 2010
      • 99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3) : 65-82, 2004
      • 100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슴베석기의 기능과 도구복원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103-120, 2011
      • 101 박성탄,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제작기술체계의 또 다른 다양성:남원 화정동유적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55) : 1-26, 2014
      • 102 장대훈,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사냥기술과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 103 박성권,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석기문화의 전개양상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 104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36-69, 2015
      • 105 이헌종, "우리나라 자갈돌석기전통의 보수성과 지속성에 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38 : 27-52, 2002
      • 106 이헌종,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대의 신발견 구석기유적분포와 유적 점거의 규칙성에 대한 시고" 한국구석기학회 13 : 9-26, 2006
      • 107 이헌종,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대의 구석기시대 유적 분포와 문화적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9 : 19-45, 2004
      • 108 이헌종, "우리나라 돌날몸돌 제작기술체계의 특징과 변화 시고" 한국구석기학회 1 (1): 21-48, 2014
      • 109 이헌종,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자갈돌 석기전통의 보수적 성향에 대한 시고" 경희대학교사학회 22 : 1-14, 1998
      • 110 이상석,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돌날석기문화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 111 호남문화재연구원, "완주군 이서면 이문리 산정마을 개간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5
      • 112 한수영, "완주 운교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113 김규정, "완주 옥정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13
      • 114 한수영, "완주 신풍유적 Ⅰ" 호남문화재연구원 2014
      • 115 김미란, "완주 덕동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2
      • 116 이창승, "완주 갈산리유적의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공방" 호남문화재연구원 13 : 89-102, 2012
      • 117 한수영, "완주 갈산리유적Ⅰ·Ⅱ" 호남문화재연구원 2014
      • 118 이헌종, "완도의 선사유적과 유물"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6 : 37-61, 1998
      • 119 이헌종, "완도 군외-남창 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보고"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6
      • 120 이선복, "옥과구석기유적" 서울대학교 박물관 1990
      • 121 이헌종, "영산강유역 하류 신발견 구석기유적군" 한국구석기학회 8 : 67-98, 2003
      • 122 박성탄, "영산강유역 중기-후기구석기시대 과도기 석기제작기법 연구 : 1차 생산물의 분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 123 이헌종, "영산강유역 신발견 구석기유적군" 호남고고학보 5 : 103-147, 1997
      • 124 이헌종, "영산강유역 구석기유적의 분포와 연구방법-나주 동강면 신발견 유적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 (1): 189-219, 1999
      • 125 이헌종, "영산강유역 구석기시대 편년연구" 한국고대학회 (25) : 221-247, 2006
      • 126 이헌종, "영산강·서남해안지역 구석기고고학과 제4기 지질학적 성과 및 문화 연구" 역사문화학회 15 (15): 7-39, 2012
      • 127 김주용,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지질 연구" 한국제4기학회 19 : 1-17, 2005
      • 128 이헌종, "영산강 중상류지역 구석기시대의 화적 성격 연구" 한국고대학회 (24) : 3-28, 2006
      • 129 이헌종, "영산강 유역의 구석기고고학과 4기지질학" 학연문화사 2006
      • 130 목포대학교 박물관, "영산강 산이 2-2공구 및금호 2-1공구 영산강 내부 개답공사 지역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 2003
      • 131 이기길, "영광 마전·군동·원당·수동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3
      • 132 이헌종, "압해도 선사유적의 신발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8 : 1-28, 2000
      • 133 이선복, "신평리 금평·덕산리 죽산 후기구석기유적" 전남대학교 박물관 1990
      • 134 임병태, "신평리 금평 지석묘"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7
      • 135 임병태, "신평리 금평 구석기"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8
      • 136 순천대학교 박물관, "순천시의 문화유적" 1992
      • 137 이기길, "순천 죽내리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0
      • 138 최미노, "순천 죽내리 구석기유적의 붙는 석기 연구 : 1문화층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1
      • 139 이기길, "순천 월평유적 –1998년 1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2
      • 140 이기길, "순천 월평유적 -2005년 3차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9
      • 141 이기길, "순천 월평유적 -2001년 2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4
      • 142 이기길, "순천 월평 후기구석기유적의 성격-2001년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9 : 1-17, 2004
      • 143 김수아, "순천 월평 후기구석기유적의 밀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 144 이기길, "순천 월평 유적군(群)을 활용한 ‘구석기인의 길’ 개발" 조선대학교박물관 2015
      • 145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외록골유적" 2007
      • 146 이영철, "순천 복다리 신기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5
      • 147 이영철, "순천 대곡리 도롱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5
      • 148 이형우, "수치분석을 통한 한반도 주먹도끼 대칭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5 (35): 277-316, 2011
      • 149 최무장, "송천동 후기구석기유물에 대한 고찰" 한국선사고고학회 9 : 67-91, 2002
      • 150 이헌종, "송월동 도시개발사업 나주 송월동유적Ⅰ -구석기시대"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9
      • 151 이상균, "섬진강유역의 구석기문화" 한국고대학회 9 : 3-17, 1997
      • 152 이헌종, "서남해안 도서지역 고고학연구와 연구방법론" 도서문화연구원 (32) : 89-122, 2008
      • 153 이기길, "새로 밝혀진 영광군의 선사와 고대문화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의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16 : 73-94, 2001
      • 154 대한문화재연구원, "삼호 아산지구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용역 지표조사" 2009
      • 155 이융조, "사수리 대전 고인돌"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8
      • 156 이기길, "빛나는 호남 10만년" 조선대학교 박물관 2010
      • 157 安蒜 政雄, "빛나는 호남 10만년" 조선대학교 박물관 128-149, 2010
      • 158 한창균, "빛나는 호남 10만년" 조선대학교 박물관 108-127, 2010
      • 159 이헌종, "북중국 세형돌날문화의 특징과 우리나라와의 문화적 상관성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54-81, 2016
      • 160 이기길, "보성강 유역에서 새로 찾은 구석기유적 예보" 한국고고학보 37 : 7-62, 1997
      • 161 김진영, "보성 도안리 석평유적" 마한문화연구원 2012
      • 162 전남문화재연구원, "벌교-주암간 도로개설구간1공구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2002
      • 163 이헌종, "바이칼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문화의 기술·형태적 특성과 주변지역과의 비교 연구" 한국-시베리아센터 20 (20): 25-64, 2016
      • 164 "문화재 보존관리지도"
      • 165 목포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해남군" 2002
      • 166 목포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영암군" 1999
      • 167 전주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진안군" 2007
      • 168 목포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무안군" 2006
      • 169 전남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담양군" 2001
      • 170 남도문화재연구원,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강진군" 2004
      • 171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전남 함평군" 2003
      • 172 전주역사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임실군" 2007
      • 173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문화유적분포지도 -익산시" 1998
      • 174 전북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완주군" 2006
      • 175 순천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여수시" 2003
      • 176 전북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순창군" 2003
      • 177 백제문화연구소, "문화유적분포지도 -무주군" 2007
      • 178 전북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남원시" 2004
      • 179 순천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광양시" 2000
      • 180 순천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고흥군" 2003
      • 181 전남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 - 화순군" 2002
      • 182 목포대학교 박물관, "무안 현경면 해운리·양학리 밭 기반 정비사업 지역 내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 2004
      • 183 이헌종,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한국제4기학회 24 : 13-21, 2010
      • 184 이헌종, "무안 피서리 구석기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2
      • 185 오병욱, "무안 둔전구석기유적의 성격" 전남문화재연구원 6 : 6-31, 2012
      • 186 송미진, "무안 둔전·두곡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2
      • 187 김경칠, "무안 도원·농장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07
      • 188 전북대학교 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 "만경강 유역의 구석기유적 지표조사보고서-익산천을 중심으로-" 2011
      • 189 이형우, "만경강 유역의 구석기 문화" 한국구석기학회 1 (1): 39-69, 2010
      • 190 이창승, "만경강 유역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의 지층과 편년 - 석기구성과 석재사용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49-67, 2014
      • 191 이창승, "만경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지층형성 환경 연구" 인문학연구소 (15) : 266-300, 2016
      • 192 이헌종, "동아시아 태평양 연안일대의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39-58, 2012
      • 193 김은정, "동북아시아의 좀돌날몸돌 연구 동향" 한국구석기학회 12 : 31-55, 2005
      • 194 이기길, "동북아시아의 구석기문화와 장흥 신북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4
      • 195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 구석기시대의 기술격지에 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4 : 61-86, 1999
      • 196 이헌종,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등장과 사냥도구의 지역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23-42, 2009
      • 197 이헌종,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문화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33 : 7-48, 2000
      • 198 지동식, "덕산리 죽산 지석묘" 전남대학교 박물관 1988
      • 199 김은정, "대전 용산동유적 슴베찌르개 석기군의 양상" 호남문화재연구원 21 : 5-26, 2016
      • 200 김경칠, "담양 화방리물구심리들유적" 영해문화유산연구원 2013
      • 201 이영철, "담양 중옥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5
      • 202 이영덕, "담양 병풍산 수습 구석기시대유물" 호남문화재연구원 10 : 99-105, 2011
      • 203 이헌종, "다산리 구석기 시굴보고, In 무안 인평 고분군" 목포대학교 박물관 1999
      • 204 김주용, "남한 제4기퇴적층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10 : 1-23, 2004
      • 205 이영철, "남원 천사동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2
      • 206 장명엽, "남원 봉대고분군 -봉대 봉계사지"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207 박영민, "남원 방산리·신덕리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5
      • 208 이영철, "나주 촌곡리 본촌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6
      • 209 김정빈, "나주 장동리지역에 분포하는 제4기층에 대한 테프라 지질연대" 한국구석기학회 14 : 35-50, 2006
      • 210 정철환, "나주 장동리 용동 구석기유적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 대한 화분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3 : 1-7, 2006
      • 211 최성락, "나주 이룡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9
      • 212 최미노, "나주 용호구석기유적의 성격" 한국구석기학회 10 : 67-81, 2004
      • 213 이영철, "나주 용호 구석기유적" 호남 문화재연구원 2004
      • 214 이영철, "나주 신도리 신평유적 Ⅰ지구" 대한문화재연구원 2013
      • 215 이헌종, "나주 송월동 구석기유적의 재퇴적과정 연구" 호남고고학회 35 : 5-22, 2010
      • 216 이영철, "나주 부덕동 금계·대기동 기동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1
      • 217 이헌종, "나주 복암리 구석기유적 고토양층 생성과정과 문화층의 의미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3) : 289-318, 2009
      • 218 이영철, "나주 방축·상잉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219 이영철, "나주 동수동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 2016
      • 220 송미진, "나주 도민동·상야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2012
      • 221 오병욱, "나주 도민동 구석기유적의 성격" 전남문화재연구원 7 : 8-37, 2014
      • 222 이헌종, "나주 당가유적·촌곡리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4
      • 223 김미란, "김제 순동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3
      • 224 곽장근, "김제 석담리유적" 군산대학교 박물관 2002
      • 225 김미란, "김제 상동동유적"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3
      • 226 한수영, "김제 산치리·양청리·라시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9
      • 227 곽장근, "금강2지구김제1-1공구 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김제반월리, 김제 석담리 봉의산, 김제 장신리" 군산대학교 박물관·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 2009
      • 228 유창선, "군산 내흥동유적 Ⅱ"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 229 이기길, "국가사적 월평유적의 학술 가치와 창조적 활용" 조선대학교 박물관 2014
      • 230 佐川 正敏, "국가사적 월평유적의 학술 가치와 창조적 활용" 조선대학교 박물관·월평유적보존회 51-64, 2014
      • 231 차미애, "구석기시대 유적의 공간 분포 연구를 위한 시론-유물 분포 단위에 대하여" 한국구석기학회 1 (1): 21-34, 2010
      • 232 이선복, "구석기 고고학의 편년과 시간층위 확립을 위한 가설" 한국고고학회 42 : 1-22, 2000
      • 233 대한문화재연구원, "광주-완도 고속도로(광주~나주 간)건설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9
      • 234 이기길, "광주 치평동유적: 구석기·갱신세층 시굴조사 보고서" 조선대학교박물관 1997
      • 235 호남문화재연구원, "광주 우회도로 확장공사 실시 설계중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2001
      • 236 이기길, "광주 산월·뚝뫼·포산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 1995
      • 237 전남대학교 박물관, "곡성군 문화유적 학술조사" 1996
      • 238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곡성 옥과 체육시설조성사업부지 내 문화재지표조사보고" 2007
      • 239 이헌종,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 호남사학회 (33) : 1-22, 2008
      • 240 이지영, "곡성 오지리유적" 마한문화연구원 2008
      • 241 이영철, "고흥 한동유적: 구석기문화층"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242 이영덕, "고창 증산 구석기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1
      • 243 정혜경, "고고학 자료와 휴무스 자분석료를 이용한 당가 구석기 유적의 고환경 복원" 한국구석기학회 1 (1): 3-19, 2010
      • 244 이헌종, "고고문화유산을 통한 컬포츠 활용 및 지역문화인재양성 시론 - 신안 다도해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학회 19 (19): 71-107, 2016
      • 245 장대훈, "거창 정장리유적 구석기시대 석기제작소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 246 손동혁, "강원지역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의 석기문화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2
      • 247 李起吉, "順天竹內里遺跡の石材と石器製作技術について" 2 : 89-95, 2003
      • 248 李起吉, "韓國順天竹內理遺跡の旧石器文化" 62 : 9-22, 2001
      • 249 李起吉, "韓國西南部の旧石器文化-代表遺跡と編年-" 6 : 3-23, 2002
      • 250 李起吉, "韓半島の細石刃石器文化につぃて" 540 : 15-18, 2006
      • 251 李憲宗, "榮山江中流村谷理地域の後期旧石器時代初期の技術形態的特徵について" 4 : 91-99, 2004
      • 252 李起吉, "旧石器時代の韓·日交流-新資料を中心として-" 618 : 27-31, 2011
      • 253 日本旧石器學會, "日本列島の旧石器時代遺跡-日本旧石器 (先土器·岩宿) 時代遺跡のデ-タベ-ス" 2010
      • 254 Lee, H.W, "The Persistence of Mode 1Technology in the Korean Late Paleolithic" 8 (8): 1-17, 2013
      • 255 Lee, H. J.,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and the Tradition of Flake Tool Manufacturing on the Korean Peninsula" 1 (1): 87-104, 2003
      • 256 Lee, H. J., "Role of Obsidian in Upper Paleolithic Korea" 4 : 183-191, 2006
      • 257 Lee, G. K., "Recent Investigation of Palaeolithic Sites in the Jeolla Province(Southwestern Korea) and their Significance" 2 (2): 46-58, 2002
      • 258 Kim, J.Y, "Quaternary Formation, Environment and Chronology of Some Palaeolithic Site of South Korea" 한국구석기학회 6 : 165-180, 2002
      • 259 Lee, H. W., "Projectile Points and their Implications, Archaeology" 3 (3): 41-49, 2010
      • 260 Kim J. C., "PIXE Prevenancing of Obsidian Artefacts from Paleolithic Site in Korea" 27 : 122-128, 2007
      • 261 Lee, G.K., "Obsidians from the Sinbuk archaeological site in Korea —Evidences for strait crossing and long-distance exchange of raw material in Paleolithic Age-," 2 : 458-466, 2015
      • 262 Lee, H. J., "Middle Paleolithic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Archaeology" 2 (2): 87-104, 2002
      • 263 Lee, G. K., "Lithic Technology and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in Korea" 4 (4): 31-37, 2006
      • 264 Lumley, de H., "Les industries du Paléolithique ancien de la Corée du Sud dans leur contexte stratigraphique et paléoécologique" CNRS EDITIONS 2011
      • 265 김주용, "GIS 기법을 이용한 한국 영산강 하류 구석기 유적 분포특성 연구" 20 : 173-192, 2004
      • 266 Lee, H.W., "Current Observations of the Early Late Paleolithic in Korea" 316 : 46-58, 2013
      • 267 Lee, G. K., "Characteristics of Paleolithic Industries in Southwestern Korea during MIS 3 and MIS 2" 248 : 12-21, 2012
      • 268 이창승, "BP 36,000-30,000년 만경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분포와 성격" 인문학연구소 (17) : 229-254, 2016
      • 269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345kv 신강진-광양간 T/L 건설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