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감의 두 얼굴, 그리고 종교 ― 공감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성찰과 종교의 역할 = Two Faces of Empathy and Religion ― A Neurohumanistic Reflection on Empathy and the Role of Religion
저자
김상덕 (한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7-305(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공감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가치이자 윤리적 주제가 되었다. 그만큼 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구조화되거나 일상화되고 반복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양한 이름의 혐오와 차별, 배제의 폭력 속에서 많은 이들이 신음하고 있다. 공감과 혐오는 동전의 양면처럼 다른 얼굴을 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하나의 몸을 가지고 있다. 오늘 우리가 살펴볼 공감이란 마냥 따뜻하고 친절한 단어가 아니다. 인류는 공감 능력 덕분에 타인을 배려하고 집단을 형성하여 번성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 공감 때문에 무리를 나누고, 서로를 혐오하여 수많은 갈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공감이란 무엇일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공감에 관한진화생물학과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를 살피고자 한다. 먼저 공감의 정의와 유사 감정에 대해 정리하며 공감의 특성을 살필 것이다. 이어서 공감의 특징을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공감을 보완하는 대안으로서 사회적 공감에 대해 살피고 이를 통해 종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Empathy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as a value and ethical topic. Without it so many conflicts have arisen, are structured, become commonplace, and are repeated. Many people are moaning in the violence of hat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y various names. Empathy and hate have different faces like both sides of a coin, but they essentially have one body. Empathy as we will see in this article is not just a warm and kind word. It is an ability that enables humanity to succeed by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nd forming groups to thrive. However, because of empathy, they divide up groups and hate each other, causing numerous conflicts. What is empath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evolutionary biology and neuroscience on empathy. First,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by organizing the definition of empathy and similar emotions. Next, we will compare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in terms of emotional empathy and cognitive empathy. Finally, as an alternative to complementing emotional empathy, I would like to examine social empathy and think about the role of religion through thi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