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안전역량이 안전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e on Safety Practice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ensitivity
저자
발행사항
성남 :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국가안전관리전공 , 2024. 2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철우
UCI식별코드
I804:41005-200000741460
소장기관
A daycare center is a space where infants and toddlers are cared for, and a comfortable and safe environment is essential. To this end, childcare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the daycare environment and quickly responding to emergencies that may arise unexpectedly, and thes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expertise in safety.
Considering that teachers are the ones who prepare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in daycare centers, the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normal development and growth of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only crucial i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abilit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perform safe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level of individual childcare teacher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infants and toddlers in daycare centers affect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such a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afety guidance.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teacher sensitivity had a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urveyed 317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and AMOS 28.0 as follows.
First,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targeted for the study and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questions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When equal variance of groups was not assum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verified using the Welch test with degrees of freedom adjusted.
Nex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Las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entral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ensitivity.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studied, the proportion of teachers with safety accident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teachers without safety accident experience. In childcare settings, the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does not sufficiently lead to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safety accidents will continue to occur.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ldcare teachers' research and efforts are needed to lead to safety practice behavior a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differences in safety competency appear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In teacher sensitivity, infant class teachers had higher teacher sensitivity than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safety practice behavior, infant class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 than preschool teac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fety guidance practi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variables. The result emphasizes the need to create a safety culture in daycare centers by encouraging cooperation among teachers, sharing safety-related experiences, and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individual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sensitivity.
Fourth,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by creating a safe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providing training and resources that can be used as more practical and practical tools to deliver effective safety guidance, we encourage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safety management and practice safety competency and sensitivity in the field. We need support to make it work.
Fifth, the safety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safety practice behavior bu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eacher sensitivity, and teacher sensitivity is linked to safety competenc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afety. It was verified that guida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ractice and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significantly impact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To this end,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provide essential data on the need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programs to increase teacher sensitivity and establish policies for infant safety.
* Keywords: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safety practice behavior, childcare teacher
어린이집은 영유아를 보육하는 공간으로,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은 필수이 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환경을 준비하고 유지하며,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 급한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은 보육교사이며, 이러한 보육 교사에게는 안전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된다.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영유아 안전교육을 준비하는 주체가 바로 교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영유아의 정상적인 발달과 성장에 책임 이 있는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은 안전실천행동에 중요할 뿐만 아 니라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유아 교사들의 안전관리 능 력을 향상시키며 안전한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보육교사 개인의 안전역량 과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모 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보 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이 안전실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환경관리와 안전지도 등의 안전실천행동 관계에 있어 교사민감성이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 보육교사 317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처리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항의 내적 신뢰도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안전역량,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 수준 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의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은 경우, 자유도를 보정한 Welch 검정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을 살펴보기 위 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모형의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 인분석(CFA)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 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유 의성은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르면 안전사고 경험이 있 는 교사 비율이 안전사고 경험이 없는 교사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보 육현장에서는 안전사고의 경험이 안전실천행동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않 고,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여전히 발생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안 전실천행동이 적극적으로 이어지도록 보육교사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분석 결과 안전역 량에서는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민감성에서는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에 비해 교사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실천행동에서는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에 비해 환경관리 실천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지도 실천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 변인들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사들 간의 협력을 장려하고, 안전에 관한 경험을 공유하는 등 어린이집의 안전문화 조성의 필요와, 개별 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을 향상 시키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은 안전실천행동이 잘 이루어 지도록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안전 한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지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및 자원 제공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안전역량과 민감성을 현장에서 실제로 발휘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은 안전실천행동에 직접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민감성의 매개를 통해서도 안전실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민감성은 안전역량과 환경관 리와 안전지도 등의 안전실천행동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이 안전실천행동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 사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 육교사를 위한 안전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고, 교사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보급의 필요성과 영유아 안전을 위한 정책 마련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