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토사상을 통한 원불교의 신앙성 제고(提高) 모색 = How to Revive and Enhance the Practice of Faith in Won-Buddhism through Pure Land Philosoph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211(47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핵심사상 중의 하나인 정토신앙을 통해 원불교의 신앙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정토신앙을 선택한 것은 동아시아에서는 민중의 신앙으로써 활발하게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전편에서는 이러한 정토사상의 발원으로부터 중국, 한국, 일본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원불교와 정토사상과의 관련성을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이어 원불교의 신앙성을 제고(提高)하기 위한 논의로는 정토사상의 시기상응(時機相應)의 정신, 교의 해석의 심층성, 신앙성의 강화 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시기상응의 정신은 정토사상을 관통하는 방편설은 물론 말법사상에 기반한 인간의 기근(機根)과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는 정토 조사들의 의식이 원불교의 교법에서도 계승되고 있음을 밝혔다. 즉, 원불교의 정토사상이 비록 선정쌍수(禪淨雙修)로 귀착된다고 하더라도 시대에 맞는 교법의 창안과 불법의 시대정신은 정토사상의 전통과 상통함을 알 수 있다. 이어 교의 해석의 심층성은 내세정토신앙과 깊은 연관을 갖는 향하문의 보신(報身) 사상을 원불교의 교의가 포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교의는 대승불교의 법성사상 및 보살도의 실천에 기반, 정불국의 현실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신앙성의 강화에서는 원불교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의 문제를 비롯하여 「일원상서원문」의 신앙성의 문제, 사대불이신심(四大不二信心)에 있어 진리중심의 해석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성불제중이라고 하는 서원을 자력의 수행만이 아니라 믿음의 체계 안에서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 외에도 실제 교화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왕생극락의 발원과 임종 시 염불과의 조화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about how to revive and enhance the practice of faith in Won-Buddhism through Pure Land Philosophy, one of ideas of Mah?y?na Buddhism. Because the Pure Land faith believed by the people spread actively across East Asi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s treated with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Pure Land Philosophy in China, Korea, and Japan from India where it was originated. And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t Thought and Pure Land Philosophy is review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It is suggested in the latter half that the ways to revive and enhance the practice of faith in Won-Buddhism need efforts to keep up with the times, proper hermeneutics of doctrines, and deepening believers’ faith.
Many efforts to keep up with the times in the teachings of Mah?y?na Buddhism are continued in Won-Buddhism. We can see that many Buddhists have used Upaya, which is Sanskrit for skilful means or method to advocate salvation for all people. Although Won-Buddhists always practice Zen with chanting Buddha in Pure Land Philosophy, what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put emphasis on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age are based on the tradition of it. Proper hermeneutics of doctrines is to include religious belief. The researchers are analyzing the structure of doctrines in Won-Buddhism which contains the thought of Sa?bhoga-k?ya who relieves mankind in Buddhist Pure Lands after death. And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have teachings that believers can change the mundane world into Pure Lands through the thought of Dharmat?, Tath?t? or the origin of all thing, and the way of Bodhisattvas in Mah?y?na Buddhism.
Lastly, Several alternatives to the proposal of deepening believers’ faith are suggested. These are a problem of a word to call the subject of belief, a problem to believe in Dharma-k?ya Buddha of the Il-Won-Sang Vow, and a problem to put the stress on the truth in 4 articles of belief. It is necessary to take a vow to achieve buddhahood and deliver all sentient being not only in practicing system but also in believing syste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