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디자인 혁신, 어디를 향해 어떻게 가는가? :목표시장과 컨텐츠 특성 분석 = China’s Design Innovations, Where and How are They Headed?:Target Markets and Contents Analys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6(30쪽)
제공처
본 연구는, 창의적 디자인이 혁신의 중요한 한 원천일 수 있다는 각성과, 혁신은 시장을 통해 완성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중국의 디자인 혁신과 그들이 지향하는 시장을 결부시키고, ‘중국의 디자인 혁신은 어떤 시장을 향해, 어떤 컨텐츠를 담고, 어디로부터 나아가는가’하는 연구질문에 답해 보고자 하였다. 2020년 중국이 수상한 iF 디자인상 수상작 844건의 프로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로지스틱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컨텐츠 분석을 실시하여, 중국 디자인의 글로벌 시장 지향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범주의 시장(중국 국내, 아시아 권역,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중국 디자인의 컨텐츠와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테마로 삼은 디자인은 상해를 중심으로 창출돼 아시아 권역 시장을 향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은 심천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기술 및 기능 중심의 제품 디자인 혁신을 통해 주로 공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로부터, 디자인 기반 중국 소프트 파워의 현주소도 점검할 수 있었다.
더보기This study departs from the awareness that creative design can be an important source of innovation and the recognition that innov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market. From that point of view, we tri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of ‘which market are China’s design innovations towards, what contents they contain, and where do they come from?’ After creating a database of the profile information of 844 China’s iF Design Award winners in 2020, the author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global market orientation of Chinese designs and LDA topic modeling to compare Chinese designs aiming for different markets (i.e. Domestic, Asian regional, Global market) in terms of design contents and geographical origins. Through the analyses, we found that designs with the them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were created centered on Shanghai and headed for the Asian market, while the global market was mainly targeted through technology and function-oriented product design innovation centered in Shenzhen. Furthermore, we could briefly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soft power emanating from the country’s design capabili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