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구·경북 산림지역의 연결성 분석 = Analysis of Forest Connectivity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13(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Forests, which account for 62.6% of Korea, have been damaged and cut off due to development over the past half-century. Forests are core areas of biological habitat, and there is a need for long-term planning to conserve and promote biodiversity. In particular, the spatial connectivity of forests requires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lans linked to the ecological axis, but there is a limit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due to a lack of evaluation and data construction for connectivity. Therefore, in this study, to prepar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forest connectivity promotion plan and management, time-series changes in forest connectivity and current status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land cover ma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on 31 basic local governm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nd cover for the large classification by dividing it into four periods of a 10-year cycle from 1989 to 2019,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forest area increased and the connectivity improve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and cover of a large classification and the sub-classification(2020), it was found that the area of the forest decreased and the connectivity also decreased. The two contradictory results are estimated to have occurr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land cover map.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e land cover analysis of the major classification can be used for general tendency analysis, and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e land cover analysis of the subclass should be used for the actual planning and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connectivity of 31 basic local governmental fores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and evaluating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ong-term plan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progress limited to forests, if the improvement of the connectivity evaluation method and the research and DB construction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rivers, wetlands, protected areas, etc. are continued, a practical policy for ecological axis connectivity will be established. This research is a result of being limited to forests, and research and DB construction should be continued to improve the connection evaluation method and comprehensively consider rivers, wetlands, and protected areas. The results of follow-up studies will help establish and implement practical policies on the ecological axis.
더보기우리나라 62.6%를 차지하는 산림은 지난 반세기 동안 개발로 인해 훼손 및 단절되었다. 산림은 생물서식의 핵심지역으로 생물다양성 유지와 증진을 위한 보전과 현명한 활용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의 공간적 연결성은 생태축과 연계한 계획 수립과 관리가 필요하지만, 연결성에 대한 평가와 데이터 구축 등이 부족하여 계획 수립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산림 연결성 증진 계획과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해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산림 연결성의 시계열 변화 및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구-경북 31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행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주기 4개 시기로 구분하여 대분류 토지피복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산림 면적이 증가되고 연결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분류와 세분류(2020년) 토지피복을 비교한 결과 산림의 면적은 감소하고 연결성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된 결과는 토지피복도의 공간해상도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분류 토지피복 분석 결과는 전반적인 경향 분석에 활용 가능할 것이며 향후 실질적인 계획 수립과 관리에는 세분류 토지피복 분석 결과를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1개 기초자치단체 산림의 연결성 평가 결과는 향후 장기계획 수립과 관리에 대한 기준 설정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산림에 한정되어 진행한 결과로서 향후 연결성 평가 방법 개선과 하천, 습지, 보호지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와 DB구축이 계속된다면 생태축 연결의 실용적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