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65(27쪽)
제공처
이 글에서는 한국의 근대시기에 등장한 불교개혁론을 2단계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1단계의 불교개혁론으로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을 거론할 수 있다. 이 1단계 불교개혁론은 추상적인 논의의 성격이 강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에서는 추상적 논의에 공을 들인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서는 추상적 담론도 포함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경우에는 그 문제점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미처 파악하지 못한다.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서는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 치중한다. 2단계의 불교개혁론으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를 거론할 수 있다. 이 2단계의 불교개혁론에 이르러 불교계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더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의 내용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의 설치, 둘째 대중불교의 추구, 셋째 선수행의 지도이론과 불교교학의 교육방법을 정비함이다.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도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거의 같은 내용을 말하는데, 차이점이 있다면 백용성은 한용운보다 계율을 더 강조한다는 것이다.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에서 첫째 사항, 곧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의 설치는 말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내용에서는 대체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궤를 같이한다. 물론 선수행의 지도이론과 불교교학의 교육방법에서 한용운의 주장과 다른 백학명의 관점도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불교개혁론에는 아직도 오늘날의 불교계에서 돌아보아야 할 내용이 있다.
더보기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buddhist reform theory that emerged during Korea's modern period by dividing it into two stages. As a first stage buddhist reform theory, Kwon Sang Ro's ‘Joseon Buddhist Reform Theory’, Han Yong Un's “Joseon Buddhist Restoration”, and Lee Young Jae's ‘Chosun Buddhism Reform Theory’ can be mentioned. This first stage buddhist reform theory can be said to have a strong nature of abstract discussion. Kwon Sang Ro's ‘Joseon Buddhist Reform Theory’ devotes effort to abstract discussions. Han Yong Un's “Joseon Buddhist Restoration” includes abstract discourse, and when alternatives to problems are presented,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problems are interconnected. Lee Young Jae's ‘Chosun Buddhism Reform Theory’ focuses on presenting an ideal blueprint. As a second stage buddhist reform theory, Han Yong Un's ‘Reformation Plan of Joseon Buddhism’, Baek Yong Seong's Daegakgyo Movement, and Baek Hak Myeong's views on buddhist reform can be mentioned. In this second stage of buddhist reform theory,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of the buddhist world are presented in more detail. The contents of Han Yong Un's ‘Reformation Plan for Joseon Buddhism’ ar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that oversees the 31 main temples, second, the pursuit of popular buddhism, and third, the reorganization of the teaching theory of zen practice and the teaching method of buddhist doctrine. Baek Yong Seong's Daegakgyo Movement also says almost the same thing as Han Yong Un's ‘Reformation Plan for Joseon Buddhism’. The difference is that Baek Yong Seong emphasizes precepts more than Han Yong Un. Baek Hak Myeong's view on the reform of buddhism does not mention the first point of Han Yong Un's ‘Reformation Plan for Joseon Buddhism’,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to oversee the 31 main temples, but other contents are generally in line with Han Yong Un's ‘Reformation Plan for Joseon Buddhism’. Of course, there is Baek Hak Myeong's point of view that differs from Han Yong Un's argument in terms of the teaching theory of zen practice and the teaching method of buddhist doctrine. And this theory of buddhist reform still has content that needs to be looked at in today's buddhist world.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