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하나님 나라 관점에서 바라본 기업경영의 목적과 원리 - 기업이론과 영성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13(23쪽)
제공처
기업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는 기업이론에는 주주가치론, 이해관계자론, 자유주의 법인실체론이 있다. 주주가치론은 기업은 독립적 법인격을 가지지 않고 다양한 주체들의 계약을 통해 존재하며 기업의 목적은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이해관계자론과 자유주의 법인실체론은 기업을 독립된 법인으로 보고 주주이외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자유주의 법인실체론은 이해관계자론의 이해관계자의 범위가 애매하고 사회적 힘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위한 자발적인 의사결정과 행동을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기업 스스로 사명과 비전을 정하고 공동체의 장기적 번영을 위해 창의적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경의 하나님 나라 관점의 기독경영은 이러한 기업이론과 공통점과 차별점이 있다. 기독경영연구원에서는 기업을 하나님의 주권가운데 사회 구성원을 위해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 공동체로 보고 6가지 기독경영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업경영 원리는 이해관계자론과 자유주의 법인실체론과 유사한 접근이다. 하지만 자유주의 법인실체론은 창조, 타락, 회복이라는 성경적 세계관에서 볼 때 경영자와 기업의 선함만을 고려하고 죄성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해관계자론은 이해관계자의 범위가 모호하고 기업의 독립적 의사결정보다는 이해관계자를 위한 규범적 행동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독경영에서는 기업이론과 성경적 세계관을 기초로 사회적 공동체를 위해 기업 세계에서 왜곡된 성경적 원리를 회복하여 공동선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독경영에서는 경영에 대한 개인적 관점과 조직적 관점이 있으며 영성을 핵심적인 기초 요인으로 본다. 그런데 일반경영에서도 영성을 연구했고 개인영성과 조직영성으로 구분하고 있다. 개인영성은 기업경영에서 경영자가 추구하는 의미, 방향, 가치이며 조직영성은 사명, 리더십, 비즈니스 활동을 통해 형성된 조직 문화이다. 하지만 기존 기독경영 연구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영성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에 기독경영에서는 경영자가 개인적 영성을 통해 기독경영 원리를 실천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영성을 가진 경영자를 재생산하는 제자 양육 체계를 구축하고 기독경영 원리가 기업 문화와 시스템으로 정착되는 조직영성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더보기Corporate theories that explain the purpose of a company include shareholder value theory, stakeholder theory, and liberal corporate entity theory. The shareholder value theory believes that a company does not have an independent legal personality but exists through contracts with various actors, and that the purpose of the company is to maximize shareholder profits. However, stakeholder theory and liberal corporate entity theory see a company as an independent corporation and can create value for a variety of stakeholders other than shareholders. However, the liberal corporate entity theory argues that the scope of stakeholders in the stakeholder theory is ambiguou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limits voluntary decision-making and behavior for stakeholders of a company with social power. In addition, it is said that companies should set their own mission and vision and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for the long-term prosperity of the community.
Christian management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of God's kingdom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and differs from corporate theories. The Christian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roposed six principles of Christian management, viewing companies as a social community that creates value for members of society under God's sovereignty. This definition of a company is related to stakeholder theory and liberal corporate entity theory. However, the liberal corporate entity theory considers only the goodness of managers and corporations and overlooks the sinful nature related to the biblical worldview of creation, the fall, and recovery. In addition, the stakeholder theory has an ambiguous scope of stakeholders and emphasizes normative behavior for stakeholders rather than corporate independent decision-making. Therefore, based on corporate theory and a biblical worldview, Christian management should seek the common good by implementing biblical principles in the corporate world for the social community.
Additionally, Christian management has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 on management, and spirituality is a key fundamental factor. However, spirituality is also studied in general management and is divided in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pirituality. In corporate management, individual spirituality is the meaning, direction, and value that managers pursue, and organizational spirituality is an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through mission, leadership, and business practices. However, existing Christian management studies do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ypes of spirituality. Therefore, in the future, in Christian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managers to not only practice the principles of Christian management through personal spirituality, but also to establish a system for nurturing disciples that reproduces managers with the same spirituality, and to develop organizational spirituality in which the principles of Christian management are established as corporate culture and system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