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미술과 창의적 교수 역량 신장 방안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Pre-service Art Teachers’ Creative Teaching Capacity through the Backward Curriculum Design Mod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2(1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mproving creative teaching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Backward Design and creative learning strategies in art educa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a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freshme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rough the course on ‘Introduction to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The research method is an action research that reflects the research activities of the researcher herself in parallel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pursued a deep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art and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by repeating the spiral circulation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observing and reflec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e checklist of participation in observation, record of the course including the learner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compare the competence levels of preliminary teachers' creative teaching capacity.‘Introduction to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course for freshmen which is the only common essential art educ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curriculum is composed with the Backward Design model, so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an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led to extend creative teaching capacity by executing various creative learning strategies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like visual metaph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reative learning strategies that were continuously carried ou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service teachers' creative teaching capacity. Positive changes were also observed in terms of students' awareness of visual metaphor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tinuous creative pedagogical practice is the main determinant of pre-service teachers' creative teaching capacity. Raising creativity is possible through practice of competency oriented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은유를 활용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기반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미술과 창의적 교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2016년 2학기 <초등미술교육론> 강의에서 창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실천자인 연구자 자신의 교수 행위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을 추구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로서 연구자는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실행, 관찰, 성찰하는 나선형적 순환 과정을 반복하면서 미술과창의성 교육 상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실천을 추구하였다. 또한 참여관찰, 학습자 토론을 포함한 수업과정의 기록, 학습 결과물인 과제의 평가와 창의 교육 관련 행동 관찰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과 예비교사 창의역량 검사도구를 활용한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수렴적 병렬 혼합연구의 방식을 취하였다. 한편 해당 강좌는 1학년 전 학생이 수강하는 1학점 과목으로 대학 내 유일한 공통 필수 미술교육 기초 과목이다. 연구자는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Backward Design)에 따라 미술교육의 기본적인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아울러 예비교사들이 시각적 은유와 같이 다양한 창의적 학습 전략을 직접 실행해 봄으로써 창의적 교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적으로 실시한 미술과 창의 교육 프로그램의경험 여부가 미술과 창의적 교수 역량의 하위 요소인 예비교사의 사고력, 상상력, 독창성 신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창의성 개념에 대한 인식 증진 및 미술교과에 대한 인식 개선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적 은유를 활용하도록 하는 창의적 교수법 실행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교수 역량 신장에 공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수 역량은 일상의 미적 현상과 문제해결을 새로운 각도로 발견하는 교사창의성과 미술과 교사 전문성을 기초로, 체계적인 역량 중심의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의 실천을 통해가능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03-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1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2007-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9 | 1.375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