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생기적 유물론으로 바라본 메타버스의 행위성 = Agency of Metavers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Vital Materialism
저자
김소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3-171(1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s the COVID-19 pandemic proves, unpredictable inhuman factors are having a profound impact on the entire landscape of humans and the world. Not only the real world but also the metaverse represented by the virtual world are the same. This is because, in the metaverse, not only the disembodied human in the virtual world mediated by humans in the real world, but also material and immaterial elements based on technology show new behaviors. The reason this study reexamines the metaverse is not to cheer for the current discourse, but to view all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metaverse as acta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by borrowing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which views humans and non-humans as equal ‘actants’. Specifically,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metaverse are regarded as vital actants, an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structure and agency are examined. To this end, we focus on the emergent assemblage of actants and distributed behavior,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vital materialism. In order to link the above discussion to the metaverse, a comprehensive definition is attempted by reviewing the existing concept of the metaverse. Afterwards, based on the vital actants and expanded definitions, we try to approach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actants from various angles. This research direction is to assert that the metaverse does not mean only a transcendent virtual world separated from the physical real world, but is a world connected to the real world and a world where nature and digital meet, a world full of many actants. This is because the metaverse is an extended world and a fusion world in which the natural ecosystem is mediated by the digital ecosystem.
더보기코로나19 팬데믹이 증명하듯, 예측 불허한 비인간적 요소가 인간과 세계의 정경(landscape)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실세계뿐만 아니라 가상세계로 대표되는 메타버스도 마찬가지이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의 인간이 매개된 가상세계의 탈육화된 인간뿐 아니라, 기술 기반의 물질적·비물질적 요소들이 새로운 행위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메타버스를 다시 소환하는 이유는 작금의 담론에 환호하려는 것이 아니라,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행위 주체로 바라보기 위함이다. 이에 본고는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한 ‘행위소(actant)’로 바라보는 제인 베넷(Jane Bennett)의 ‘생기적 유물론(Vital Materialism)’을 빌려와 메타버스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의 구성요소를 생기적 행위소로 간주하고, 구조 와 행위성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생기적 유물론의 주요 개념인 행위소의 창발적 배치와 분산적 행위성에 주목한다. 전술한 논의를 메타버스로 연동하기에 앞서, 메타버스에 관한 기존의 개념을 재검토하여 포괄적인 정의를 시도한다. 이후 생기적 행위소와 확장된 정의를 바탕으로, 행위 주체들의 상호 관계를 다각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방향은 메타버스가 물리적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초월적 가상의 세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세계와 연결된 세계이자 자연과 디지털이 만난 상호세계로서, 수많은 행위소들이 우글거리는 세계임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메타버스는 자연 생태 시스템이 디지털 생태 시스템에 매개된 확장세계이자 융합세계이기 때문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7 | 2.031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