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歸去來兮辭」의 주제 호응구의 형성과 唐宋 시가에의 영향 = Formation of GuiQuLaiXiCi (「歸去來兮辭」)'s Subject-Related Echoing Words and Its Influence on Poetry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중언어문화연구(The Journal of Study on Language and Culture of Korea and Chin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7-247(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는 「歸去來兮辭」의 주제 관련 호응구의 형성과 唐宋代 시가에의 영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歸去來兮辭」에서 주제 호응구인 ‘歸去來兮’와 ‘已矣乎’는 先秦 시기의 『論語』 등 산문과 『楚辭』 등 운문을 수용하여 형성되었다. 그 중 ‘歸去來兮’는 주제를 함축한 표현이고 ‘已矣乎’는 ‘亂辭’에 해당되어 마무리에 관여되는 역할을 하는데 양자는 수미 호응 관계에 있다. 의미상으로 ‘歸去來兮’는 ‘歸’에 중점이 놓여 상황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되며 ‘已矣乎’는 본래 ‘끝나다’라는 절망의 의미에서 ‘그만두다’라는 달관의 의미로 변용되었다.
‘歸去來兮’와 ‘已矣乎’의 호응구는 唐宋代에 문학 언어로서 辭 이외에 詩, 詞 등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고 和陶辭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로 작품에서 호응구의 표현이 같이 쓰이거나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쓰이는 양상을 보이는데 작가가 관직에의 뜻을 이루지 못하였거나 불우한 처지에 놓였을 때 빈번히 사용함은 물론, 기타 상황에서도 상투적으로 ‘歸去來兮’와 ‘已矣乎’를 원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echoing words related to the theme of GuiQuLaiXiCi(「歸去來兮辭」) and its influence on poetry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n GuiQuLaiXiCi(「歸去來兮辭」), “GuiQuLaiXi(歸去來兮)” and “YiYiHu(已矣乎)”, which are echoing words of the expression of the theme, were formed by incorporating prose such as LunYu(『論語』) and verses such as ChuCi(『楚辭』) from the pre-Qin period. Of them, “GuiQuLaiXi” is an expression that implies the theme, while “Yi Yi Hu” corresponds to ‘Luan Ci(亂辭)’ and plays a role in ending, and the two are in a relationship of responses at the beginning and ending of each other. In terms of interpretation, “GuiQuLaiXi” focuses on “going back,” and “YiYiHu” originally meant “ending,” which indicates despair, but was transformed into the meaning of “quitting.” The range of use of the echoing words “GuiQuLaiXi” and “YiYiHu” was gradually expanded as a literary language after Tao Yuanming(陶淵明).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is influence led to the expansion of echoing words to include ‘Shi(詩)’ and ‘Ci(詞)’ in addition to ‘Ci(辭)’, and the ethos for the prosperity of ‘HeTaoCi(和陶辭; composing a rhyme in Tao’s poetry)’ was formed by Su Shi(蘇軾). In particular, in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after Tao Yuanming, the aspect of formalization of the expressions of echoing words like fixed frames was shown as they were used together or one of them was used alone. A tendency is seen where not only were echoing words used frequently, mainly when the writer could not achieve his/her goal in public office or was in an unfortunate situation, but were also habitually quoted in other situa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