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전문학 대중화를 위한 인문서 출간의 한 방법 = Methods of Current Succession and Popularization of Classics by publishing essay book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8(34쪽)
제공처
본고는 한국 고전문학을 현재에 계승하는 여러 방법 중에서 인문서 출간을 통한 대중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인문서 출간은 일회성 투고와는 달리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것이기에 고전문학의 가치와는 별개로 상업적 출판으로서의 제약이 따른다. 그런 제약은 편집에 따른 것에서부터 내용적 구성과 컨셉을 설정하고 서술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인문서 출간은 우리 고전의 가치와 의미를 대중적으로 확산하는 유효한 방식이기에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인문서를 통해 대중화하는 여러 방법들이 모두 그러하겠지만, 특히 인문서를 통한 고전문학 계승에서 유념해야 할 것은 결국 고전문학이 존재하던 모습 그대로 전달하려는 집필자의 의지와 지향성이다. 물론 고전문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기에, 상황에 따라 부분적인 개요, 단편적 교훈에 머물게 되거나, 전문적이고 지적인 부분에만 집중할 수도 있다. 이런 방법 모두 나름의 가치가 있으나, 고전을 고전답게 계승하는 방법으로서는 고전이 문학으로서 자리하던 그 모습 그대로를 설명하고 풀이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이렇게 고전이 문학 작품이었다는 총체성을 놓지 않는 상황에서 해당 내용 전체를 보여주려 노력하며, 가치의 강요나 설득이 아닌 설명과 풀이를 통한 제시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고전 계승에 중요한 방법으로, 고전문학이 문학의 본령대로 존재하게 하는 길이다.
고전의 현재적 계승은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다각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우리 고전을 현재에 효과적으로 전달・발전시킴으로써 고전의 가치를 이해하게 하고, 오늘의 삶을 되새기게 하며, 미래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inheriting classics today is because classics are valuable. There has been a great endeavor to inherit classics today, and it will be continued in many different methods. This article specifically examined the methods of spreading classics through publishing of essay book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classics is the nature of literature itself. So, we should be able to write an classic novel itself. Nevertheless publication has its own commercial viability.
Therefore, it was clarified that the inheritance of classics should aim for inclusive extension by embracing ourselves and everything around that classics had. We must be focused that classic’s totality more than unessential things such as what is real, what is more valuable and what should we do, or what we would do. Naturally what is important that explanation of classic is needed, learn a lesson through the text are good, intellectual play is inevitable inevitable and so on. But how and what classic novels had been is more important than.
Thus, the inheritance of classics should be accomplished with the effort to find genuineness of ourselves and the true value of classics in addition to the studies of our classics’ authenticity and endeavor to inherit them.
Finally we should listen to what classics said. Since this is the proper function of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its existe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