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파시즘 국가와 여성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5-146(32쪽)
제공처
이 논문은 극우파 전체주의 정권인 파시스트 정부의 여성 정책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무솔리니 지배 하의 이탈리아와 히틀러가 지배했던 나치 독일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파시스트 정권의 여성 정책은 근대 서구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다란 변화에 대한 깊은 거부감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여성 참정권 운동에서도 뚜렷하게 보여지듯이 여성 해방을 향한 움직임은 19세기 후반부의 인구 변화와 자유주의 사상의 확대와 함께 빠르게 진행되어 갔으며, 그러한 변화는 세계 대전과 함께 그 절정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와 같은 경향은 수많은 여성들이 전시 경제에 동원되고, 그들이 전후 1920년대에는 보다 자유스러운 대중 문화에 동참함으로써 되돌릴 수 없게 되었다. 파시즘은 그러한 상황에서 다시 한번 뚜렷하게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려는 것이었으며, 희미해지는 혹은 허물어져 가고 있는 남녀 영역의 경계를 다시금 확실하게 강조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파시스트 정부는 국가의 경제를 되살리고 다가오는 전쟁에 대비하기 위하여 사회의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야 했는데 그로 인하여 그들이 격렬하게 비난하며 막으려고 했던 그 변화들을 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던 것이었다. 즉 정치적 동원과 근대적인 사회 복지 정책, 그리고 정복 전쟁을 위한 준비 등으로 인하여 그들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과 가족생활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보기This article examines the fascist policy toward women. It mainly focuses on Mussolini’s Italy and Hitler’s Germany. Mussolini’s regime stood for returning women to home and hearth, restoring patriarchal authority, and confining female destiny to bearing babies. Benito Mussolini, like Hitler, vaunted his ability to promote economic change in order to build up national strength. At the same tim, however, he condemned and sought to forestall the social fallout that, at least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had accompanied rapid economic transformations. This conflict was especially visible in the regime’s attitudes toward women. On the one hand, fascists condemned all social practices customarily connected with the emancipation of women- from the vote and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to family planning. They also sought to extirpate the very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 self-interest that underlay women’s demands for equality and autonomy. On the other hand, fascism, in an effort to build up national economic strength and to mobilize all of Italian society’s resources- including the capacity of women to reproduce and nurture-inevitably promoted some of the very changes it sought to curb.
Many women in Germany may have expected the Nazi government genuinely to improve their situation, to put an end the see-saw politics which, depending on the general economic climate, sent women off to work, or kept them at home-or both. But they Nazi government disappointed them. The Nazis thrust women back into the home as custodians of race, culture, and sentiment, and they mobilized totalitarian organizations to penetrate deep into society and home life. The third Reich unabashedly promoted eugenicist precepts and its programs culminated in a frightful race war. Moreover if we compare Nazism’s ideological attitudes towards women with the regime’s actual policies, the contradictions are obvious. Although a woman’s place was supposed to be with the family, mothers continued to work in all sectors of the economy. Single women were by no means limited to 'womanly' occupations either. Motherhood was reduced to a short period between giving birth and sending children to school. The influence mothers were able to wield over their children was, however, vastly curtailed. National Socialist propaganda had promised largely to exclude women from public life, and to return them to the private domain; but the state apparatus simultaneously encroached upon the family sphere, leaving neither women nor children unaffected. Although Nazi leaders did t교 far as possible to put their concept of strict gender-specific segregation and division of labour into practice, the exigencies of the situation almost always ran counter to their intent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