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하수소저장: 고압수소, 액체수소, 암모니아의 비교 =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Comparison of High-pressure Hydrogen, Liquid Hydrogen, and Ammonia
불규칙하게 생산되는 재생 에너지의 효과적인 저장을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바로 수소 에너지이다. 수소 기반 사회의 실현을 위해, 수소의 친환경적인 생산 뿐 만 아니라 효과적인 저장은 매우 중요하다. 지하 수소 저장 기술은 천연가스를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에서 발전된 기술로서, 폐유가스전, 암염돔, 대수층, 암반공동을 포함한다. 지하 저장 시 수소는 고압 기체 수소, 액화 수소, 그리고 암모니아로 변환된다. 액화수소는 극저온의 저장 온도를 요구하고, 암모니아는 독성 물질로 별도의 취급을 요구하며, 변환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액화 수소는 다층 단열재 기술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암모니아는 분리막 반응기를 개발해 고순도 수소 추출에 성공했다. 암모니아 독성은 누출 감지 및 차단 설비를 강화한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중, 경제성과 환경, 상용화 측면에서 암모니아가 지하 저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One of the alternatives for effective storage of irregularly produced renewable energy is hydrogen energy. In order to realize a hydrogen-based society,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of hydrogen but also effective storage is very important.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has evolved from the technology for storing natural gas underground, and includes waste gas fields, salt domes, aquifers, and rock cavities. When stored underground, hydrogen is converted into high-pressure gaseous hydrogen, liquefied hydrogen, and ammonia. Liquefied hydrogen requires extremely low storage temperatures, and ammonia is a toxic substance that requires separate handling, and energy loss occurs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To compensate for this, research on liquefied hydrogen, such as multilayer insulation technology, is being conducted. Ammonia has successfully extracted high-purity hydrogen by developing a membrane reactor. Ammonia toxicity can be prevented by strengthening leak detection and blocking facilities. Among these, ammonia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underground storage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environment, and commercializ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