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듐락테이트 및 LiNi0.6Co0.2Mn0.2O2(NCM622) 양극재를 이용한 슈와넬라 푸트레파시엔스의 혐기 조건 호흡에 따른 양극재 금속환원 및 추출 = Dissolution of metals in NCM622 cathode through the Dissimilatory process with Na-lactate by Shewanella putrefacie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51-558(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목적: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유가금속 자원을 Shewanella putrefaciens의 혐기성 미생물 호흡을 통해 환원 및 친환경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다.
방법:혐기성 조건에서 환경 미생물인 Shewanella putrefaciens를 사용하여 NCM622 양극재(LiNi0.6Co0.2Mn0.2O2)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의 금속 추출을 시도하였다. 금속 산화물 환원 과정을 모방하여 pH 7.5 조건에서 금속 추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및 토의:연구 결과,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으로 NCM622에 포함된 전체 금속의 약 26%가 중성(pH 7.5) 조건에서 추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산성 습식 공정과 달리 추가적인 화학물질 사용 없이 금속 추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환경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 가능성도 정량적으로 평가되었다.
결론:미생물 호흡을 이용한 금속 추출은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금속을 지속 가능하게 회수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며,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이 방법은 배터리 폐기물에 의한 중금속 오염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and consequent dissolution of Li, Ni, Co, and Mn from NCM622 cathodes in spent Li-ion batteries through the anaerobic respiration with Na-lactate by Shewanella putrefaciens.
Methods:The method involves using anaerobic microbial respiration to mimic dissimilatory metal oxide reduction, allowing metals to be leached from NCM622 cathodes (LiNi0.6Co0.2Mn0.2O2) under near-neutral pH conditions (~7.5).
Results and Discussion:The results show that approximately 26 wt% of the total Li, Ni, Co, and Mn were successfully leached into the solution within two weeks. This approach differs significantly from conventional acidic leaching processes, offering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alternative. In addition, we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solution of NCM622 when it is exposed in environmental systems.
Conclusion:In conclusion, microbial-based metal leaching presents a novel, sustainable pathway for recovering metals from spent Li-ion batteries, addressing environmental concerns and reducing dependence on traditional energy-intensive recovery method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