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셜미디어의 주요 시에 나타난 탈(脫)재현적인 경향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57(2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의 주요 시를 대상으로 탈재현적인 경향을 검토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소셜미디어에 이상옥, 제페토, 하상욱 등의 시가 게시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들의 시는 기존의 시와 달리 유사성·동일성의 논리를 위반․전복한 채로 현실속의 대상을 직접 재현하지 않거나, 그 대상의 특성과 거의 관계없는 내용을 서술하는 탈재현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이들의 시에 대한 그간의 검토는 주로 멀티미디어와 소통방식·창작방법에 대한 것이었지만, 소셜미디어의 시적 출현 현상에서 재현이라는 핵심적인 시학적 이슈에 대해서 별반 주목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웠다.
이 글에서는 들뢰즈와 푸코의 탈재현 논의를 참조해서 소셜미디어의 주요 시를 분석했다. 먼저 이상옥의 디카시에서는 시적 화자가 디지털사진 속 대상의 초점을 흐릿하게 하고 그 대상을 의도적으로 오인․착각하거나, 유사성의 논리를 전복시키는 디아그람을 만드는 방식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포착했다. 그의 디카시에서는 인물이 초점화되지 않았고(디카시 「늘푸른식물원」), 대상이 오인·착각됐으며(디카시 「나그네」), 사물이 기호·점 등의 디아그람(디카시 「물풀」)으로 표현됐다. 그리고 제페토의 댓글형태 시에서는 여러 언론사에서 생산하고 포털뉴스담당자가 선별․편집한 포털뉴스의 관점·태도를 상대화하거나, 포털뉴스 속 사회적 타자의 타자성을 드러냄으로써 비유 사적인 차이가 만들어졌다. 시 「그 쇳물 쓰지 마라」에서 포털뉴스 속 사건에 대한 재현이 아니라 시적 화자의 의견이 제시됐고, 시 「명복을 빌며」에서는 사회적 타자에게 관심을 보이고 사회적 타자의 차이를 인정·이해했다. 마지막으로 하상욱의 시에서는 재현 대상의 모습과 거의 관계없는 정서․관념을 연상하거나, 그 대상을 이중적으로 은폐하는 환유적인 방식의 수수께끼 형식을 지닌 상사물들이 나타났다. 그의 시에서는 재현 대상의 모습보다 그 대상에서 연상된 정서․관념이 중요했고(시 「하상욱 단편시집 ‘다 쓴 치약’ 中에서」), 연상의 연쇄 과정에서 재현 대상의 모습이 지워진 서술물이 형상화됐다(「하상욱 단편시집 ‘수수료’ 中에서」).
이렇게 볼 때 재현 대상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포착하고, 원글과 댓글의 상호작용에서 비유사적인 차이를 만들어내며, 재현 대상을 지우는 상사물을 보여준 소셜미디어의 주요 시는 탈재현적인 경향을 지녔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탈재현적인 경향은 소셜미디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응·적응하는 한국시의 한 특징을 잘 설명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poems of Lee Sang-ok, Geppeto, and Ha Sang-wook published on social media regarding their use of de-representation. While existing poetry was mainly reproduced by the logic of similarity to the model, their poems do not represent the model directly, or they present content almost independ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First, Lee Sang-ok took a picture and wrote a poem, and in the process, the similarity to the model was destroyed and the object in the picture was intentionally mistaken and made into a diagram. In this way, Lee Sang-ok tried to capture the invisible. Second, Geppetto commented on the portal news in the form of lyric poetry. Geppetto relativized the news editor’s views and attitudes and revealed the otherness of the social others in the news, thereby pointing up their dis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astly, Ha Sang-wook published an e-book that collected his lyric poetry. His lyric poetry did not represent the object but reminisces about emotions and ideas that had little to do with it. He also used a mystery to conceal the object, through which the subject has been conceal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3-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1 | 1.35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