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플랫폼을 둘러싼 삼체(三體) 문제 – 공정거래법 적용을 통한 소비자 보호 필요성 = The Three-Body Problem Surrounding Platforms: A Case for Consumer Protection via th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최근 우월한 지위를 가진 플랫폼 사업자로부터 플랫폼 이용자,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부 플랫폼 이용자군의 공동행위를 허용함으로써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회적·법적 논의가 무르익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는 당초 플랫폼의 중개를 통해 용역을 거래하는 플랫폼 종사자와 근로자의 외형상 유사성에 주목하여 이들에게 근로3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되어, 최근에는 자영업자 등 다른 플랫폼 이용자군의 공동행위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 이용자들의 공동행위를 허용하여 또 다른 우월적 지위를 지닌 시장주체를 창설하는 것은 플랫폼 사업자의 우월적 지위로 인한 폐해로부터 플랫폼 이용자, 소비자를 보호하는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으며, 이는 오히려 문제의 본질을 흐릴 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업자, 집단화된 플랫폼 이용자의 우월적 지위로 인한 폐해를 오롯이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악수가 될 수 있다.
본 고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플랫폼 이용자의 공동행위를 허용하는 것은 플랫폼 사업자의 우월적 지위에서 비롯되는 폐해를 교정하는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없다는 점, 플랫폼 종사자의 노동법상 지위를 고려하여 공동행위를 허용하더라도 그 범위는 최소한도로 한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나아가,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플랫폼 사업자의 착취적 남용행위에 대한 적극적인 공정거래법 적용·집행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In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the need to protect platform users and consumers from the dominant market powers of platform operato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allowing collective actions among certain groups of platform users could counterbalance the market force of these dominant entities. This discourse originated from the argument that workers engaged in services mediated by platforms share apparent similarities with employees, warranting the provision of labor rights. Recently, the debate has evolved to advocate for the allowance of collective actions among other groups of platform users, such as independent contractors.
However, permitting collective actions among platform users to counteract one dominant market entity with another cannot fundamentally resolve the issues stemming from the superior position of platform operators. Instead, it may obscure the core issues and inadvertently shift the burden of exploitation and dominance from platform operators and organized platform users directly onto consumers.
This paper argues that allowing collective actions among platform users is not an appropriate mechanism to rectify the harms originating from the dominant status of platform operators. When considering the legal status of platform workers under labor law, any permission for collective action should be strictly limited. Furthermore, to protect consumers effectively, proactiv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of antitrust laws against exploitative abuses by platform operators are imperativ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