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生命과 障碍人 再活 : 醫療再活을 中心으로 = Life and Disability Rehabilitation
저자
강세윤 (가톨릭 의과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7
작성언어
Korean
KDC
473.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2-235(24쪽)
제공처
Today, all the nations are pursuing the construction of a prosperous society, and this type of society attempts to recognize the dignity of human beings in any circumstances. Seem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should be handled from the human rights point of view of a welfare society.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is a prerequisite in smoothly carrying out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people.
The traditional concept of disability focused on the physical anormality or behavioral differenc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in both economy and social environment, the classification of disability became more various, and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is problem on a medical level in relation to the social environment. This helps u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isability more clearly, and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goals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has had stance in charity, the prevention of social problems, and improvement in national and social productivity. But these cannot be regarded as the contemporary welfare ideology. Instead, they act negatively in establishing and realizing the ideology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The basic goal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is to eliminate the nonfunctional elements in society for them to recover and carry on each individual's life as a human being. Therefore, social welfare must be rooted on grounds that a man's dignity should be recognized under any circumstances, and the ideology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should also start with the respect for human life.
Examining some problems that our disability rehabilitation policy should solve under such understanding, a sound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roper training and increase in the opportunity to meet the disabled seem necessary.
Next is the problem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For them, the visibility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is very low, compared to the investment put into rehabilitation process, and so there is hardly an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m in the disability rehabilitation centers.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remain minorities even amongst the disabled. For their rehabilitation, various efforts - expans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mprovement in the environments, traveling clinic and home visite, abolition of restrictions on treating days on medical insurance - should be made. Next, we should pay our attention to th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disabled people.
Even if the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disability may be perfect and the welfare system, sound,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realize the social integration -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 without the appreciation of human rights. An effort to establish the disability welfare ideology that is based on human rights must be made by the disabled, government and civilian organizat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