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박람회의 문학적 재현 = 염상섭 『광분(狂奔)』의 세계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67(25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염상섭이 조선박람회를 참관한 후 곧이어 『조선일보』에 연재한 장편소설 『광분』은 식민지 조선의 축소판인 박람회를 다시 민병천의 집으로 형상화하면서 조선박람회를 문학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염상섭이 『광분』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박람회의 스펙터클 자체보다는 조선박람회를 둘러싼 인물들의 욕망이다. 염상섭은 『광분』의 공간을 조선박람회를 축약한 민병천의 가옥으로 설정하여 무력하고 혼란한 경성의 현실을 재현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시기에 일어난 경성 학생운동과 박람회를 동시간의 사건으로 재구성하면서 보도통제의 현실을 은유하고 경성의 ‘군중’을 ‘민중’으로 재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박람회를 둘러싼 사건의 배경이 되는 등장인물들의 욕망을 촘촘히 묘사하여 사회의 동력이 개인의 욕망에 있음을 강조한다.
『광분』은 이와 같이1929년 경복궁에서 열린‘시정20주년기념 조선박람회’를 형상화하면서, 박람회의 규모와 전시물에 압도되거나 축제를 즐기는 대신 ‘박람회’가 ‘식민조선’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과 조선인들이 ‘박람회’라는 사건을 수용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광분』에서 박람회는 산업기술이 아니라 마치 경성인들의 욕망을 전시한 장과 같이 그려진다. 그들은 박람회의 스펙터클에 압도된 구경꾼이 되지 않고 개인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오히려 박람회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광분?은 개최세력이 의도한 ‘미디어’로서의 조선박람회가 가진 균열지점까지 재현해 내고 있다.
After visiting Chosun Expo, Yeom Sang-seop soon reproduced it as literature by embodying Chosun Expo that was a small version of colonized Chosun into Min Byeong-cheon’s house in his full-length novel, 『Gwangbun』, published serially in 『Chosun Ilbo』.
What Yeom Sang-seop focuses in 『Gwangbun』 is not the spectacles of Chosun Expo itself but the desire of characters concerned in that Chosun Expo. Yeom Sang-seop sets up the spatial background of 『Gwangbun』 as Min Byeong-cheon’s house which is a small version of Chosun Expo in order to reproduce the reality of Gyeongseong that is helpless and confusing. And he restructures the Gyeongseong Student Movement and Chosun Expo that happened in different periods as events that happened simultaneously so as to metaphorize the reality of the controlled news report and reproduce the ‘crowd’ in Gyeongseong as ‘people’. Also, he depicts the desire of characters which forms the background of the events happening around Chosun Expo in detail to highlight the fact that the drive in society is each individual’s desire.
As shown above, this study examines how 『Gwangbun』 embodies ‘Chosun Expo celeb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Gyeongseong’ held in Gyeongbok Palace in 1929 and investigates how ‘Chosun Expo’ displays ‘colonized Chosun’ and how people in Chosun accept the event of ‘Chosun Expo’ instead of being overwhelmed by the scale or spectacles of the exhibition or enjoying the festival.
In 『Gwangbun』, Chosun Expo is described as some kind of field that displays the desire of the people in Gyeongseong, not as industrial technology. They employ the exhibition instead of satisfying their own desire not becoming a spectator overwhelmed by the spectacles of it. Therefore, 『Gwangbun』 reproduces even the point of a crevice that Chosun Expo shows as the ‘media’ intended by the authority of holding the ev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esearch Institut for Humanities ->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8 | 0.86 | 0.0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